시튼 탐정 동물기
야나기 코지 지음, 박현미 옮김 / 루비박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튼 탐정 동물기는 일반적인 탐정소설이 아니다. 기사를 위해 방문한 기자가 시튼이 예전에 출간했던 로보라는 늑대이야기를 에피소드로 들려주면서 기자와 대화를 하게된다. 시튼은 예전에 이아들이 편지를 책으로 엮으면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어린이의 편지를 보여준다. 그아이는 시튼 동물기를 읽은 다른 아이들과 다른 내용을 편지를 보냈다. “시튼씨, 나는 당신이 아죽 비겁하고 잔혹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이지 무지막지하고 심장이 없는 사람인빈다. 내가 당신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는 바는 그게 전부 입니다”란 편지를가 들어있는 아이들 에게라는 책을 보여준다. 다른 아이들은 모두 감명받았다, 동물을 이해하게 되었다는등의 일반적인 글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튼의 이야기를 듣선 그 기자는 그 편지의 주인공이 자신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기사를 작성했는데 시튼에게 들었던 카람포의 악마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늑대에대한 상식또한 들려준다. 취재때 들은 로보 이야기를 소설형식을 빌어 기사로 작성하게된다. 사람들은 그 이야기에 큰 반응을 보이고 다음편을 내 줄것을 신문사에 종용한다. 하지만 소설가가 아닌 기자가 또다시 글을 쓸수는 없다고 하지만 편집장은 그에게 소설을 강요하고 그는 시튼을 다시 찾아가 설명을 하고 동물과 관련된 또다른 에피소드를 요청한다. 시튼은 흔쾌히 그의 청을 수락하고 동물관련된 일들을 알려준다.
 

  이글이 다른 탐정소설과 다른점은 동물이 주인공이라는게 아니다. 사건을 푸는건 시튼이란 학자고 시튼은 동물의 행동에서 답을 찾는다.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건 동물이지만 그들의 습성과 특성들을 잘 알고있는 시튼이란 인물이 없었다면 비밀은 풀리지 않았을 것이라는게 이글이 다른 글과의 차별성을 나타내는 대목이다. 물론 책을 읽으면서 예전에 이솝우화 같은데서 읽었던 기억이난다. 특히 까마귀의 특성은 여러 글에서 본것같다. 까마귀는 빛을내는 물건을 엄청좋아해 자신의 집에 물어나르는 새라는것 말이다. 이렇듯 우리도 조금만 관찰력을 키운다면 시튼같은 학자는 되지 못할지라도 작은 문제정도는 풀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동물이나 식물등 과학자난 탐정 그리고 수사관등 많은 일들의 기초가 관찰이다 관찰력이 부족한 사람은 추리를 할수 없다. 그러고 보면 시튼은 뛰어난 관찰력으로 말못하는 짐들의 행동을 통해서 사건을 해결할수 있었다. 내가 많이 취약한 부분이 관찰인데 그러고 보면 나는 탐정을 하기에는 부적합한것 같다. 아마도 남들을 쓴 글을 읽고 즐기는거로 만족해야 할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