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잠시 호흡을 가다듬은 후 그는 ''에 관한 자신의 철학을 피력한다.

"말은 한 사람이 지닌 사상의 표현이다. 사상이 빈곤하면 말도 빈곤하다. 결국 말은 지적 능력의 표현이다."

 

 

(22)

말하기의 기본

1. 언제 어디서든 생각을 당당하게 주장하려면 확고한 소신을 가져야 한다.

주장의 옳고 그름이나 그 객관적 타당성을 떠나서 자신의 생각을 펼치는 데 주저함이 없으려면, 반드시 원칙과 소신이 있어야 한다. 이야기를 하고 있기는 한데 들을수록 입장이 무엇인지 헷갈리는 사람을 가끔 접한다. 소신. 즉 입장이 없는데 어쩔 수 없이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애매모호한 말보다는 차라리 침묵이 나올 수도 있다.

2. 문제의 핵심이나 본질을 회피하지 않아야 한다.

자신의 말만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상대방의 질문은 외면하면 안 된다. 그것이 문제의 핵심이라면 노무현 대통령처럼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해야 한다. 소신에 찬 발언에 단기적으로는 작은 논란과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긴 안목으로 보면 결코 나쁘지 않다. 두렵고 힘들더라도 문제의 본질에 마주서야 한다.

 

 

(29)

진실을 말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지도자의 용기라고 생각합니다.”

 

(32)

솔직함은 어떻게 전략이 되는가

1. ‘형식보다 내용으로 승부하라

살아온 내력의 진솔한 토로가 가공의 이야기보다 더 진한 감동을 준다. 감동은 표현에 있지 않다. 사실, 즉 팩트에 있는 것이다. 이야기를 억지로 꾸며낼 필요가 없다. 말하기의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삶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일부터 시작해보자. 지금은 표현 방법보다는 메시지의 내용으로 차별화가 되는 세상이다.

2. 양해를 구하려거든 가장 빠른 시점에 해야 한다.

처음부터 솔직하게 사실을 이야기하고 사과했다면 갈등이 커지지 않을 수 있는데, 급한 마음에 거짓말을 둘러대다가 사태를 키울 수 있다. 엄연한 사실을 은폐하거나 고의로 누락하려다가 나중에 사실이 밝혀지면 오히려 더 크고 거센 역풍을 맞게 된다. 문제가 생겼을 때는 그것을 즉시 외부에 밝히는 데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 시간을 끌지 않는 것이 좋다.

3. ‘못한 일도 감동이 될 수 있는 법

솔직함은 최고의 감동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당연히 그 내용에는 잘한 일만 포함되어선 안 된다. 실패의 사례도 있어야 하고, 부끄럽거나 쑥스러웠던 경험도 담겨야 한다. 자신의 허물조차 스스럼없이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화자의 생각에 공감하기 시작한다.

 

(72)

편지 100통을 써도 배달부가 전달을 안 한다.”

(안보관련 오찬 중 언론에 대한 아쉬움을 피력하며)

역사에는 흑백이 없다. 그러나 쓰는 사람은 흑백으로 쓰려고 한다.”

(KTX로 상경 중 참모들과의 오찬에서)

비단옷을 잘 차려입었는데, 조명이 없다.”

(이정우 정책기획위원과의 조찬, ‘정책내용이 중요한데 정치적 게임에서 지고 있다)

송판에 화살 꽂히는 듯싶은 감동이 없다.”

(광복절 경축사 관련 오찬에서 준비된 연설문에 대해)

조기 하선(下船)을 각오하고 정치적 게임을 해나가는 것이다. 칼만 던져주는 게 아니고 옷까지 남겨주고..”

(비서관들과의 조찬에서)

아무도 안 보는 밤중에 축국하는 것이다.”

(중앙언론사 논설 해설 책임자 오찬 간담회에서 한나라당이 제기하지 않는 국민투표 방안에 대해)

 

 

(111)

독재자는 힘으로 통치하고 민주주의 지도자는 말로써 통치한다.’ 그의 지론이다. 이 말처럼 민주주의 시대의 대통령은 독재자처럼 밀실에서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열린 마당에서의 대화와 토론으로 국정을 이끌어간다. 결국 말은 대통령의 통치수단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말하지 않는 대통령이란 성립할 수 없다. 참여정부 시절 사나흘 동안 대통령의 언급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은 적이 가끔 있었다. 대부분 공개 일정이 없기 때문이었다. 그럴 때면 언론에서는 대통령이 왜 침묵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대통령이 말이 많다고 비판하던 언론도 다르지 않았다. 이렇듯 일국의 대통령이라면 24시간 365, 언론의 기사 속에 살아 있을 수밖에 없다. 그 매개 수단은 물론 말이다. 대통령의 생각과 지향, 관심은 모두 말로써 표현된다. ‘말이 많은 대통령이란 국정 전반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다는 의미에 다름 아니다.

 

 

(159)

두괄식 화법의 강점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이야기하는 사람이 대화의 주제를 확실하게 파악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둘째, 주제에 대해 확고한 소신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역으로 말하면 확실한 지식과 소신이 있어야 두괄식 화법이 가능하다는 뜻이 된다. 서두에 분명한 입장을 밝히면, 듣는 이는 저 사람이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알고 있군하는 인상을 갖게 된다. 반대로 이야기의 시작부터 전제와 단서를 남발하거나 상황을 애매모호하게 설명하면 초점이 분산되고 장황스러워진다. 듣는 이도 지루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면 좋은 내용조차도 초점 없는 이야기로 오해할 수 있다. 핵심을 첫머리에 배치하는 일은 그만큼 중요하다

 

 

(224~225)

게가 구멍이 크면 죽는다.”

(외국 순방 시 엄청나게 큰 숙소 호텔을 보며)

안방이 단결하면 머슴이 괴롭다.”

(제천지역혁신토론회 환담)

젖만 짜도 될 텐데, 소를 잡자는 것이다.”

(오찬, 단기투기자본규제 문제에 대해)

쇠를 잘 치는 사람이 장구도 잘 친다

(정문수 신임 경제보좌관 조찬)

엉뚱한 길목에서 토끼 기다리고 있는 것 아닌가?”

(정문수 신임 경제보좌관 조찬)

저의 어머니는 모개(모과) 세 덩어리를 헤아리지 못하더라도 가장은 가장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이제 노무현은 대통령입니다.”

(전국 세무서장 초청 특장 연설)

혼삿말 하면 장삿말 하고, 장삿말 하는데 혼삿말 한다.”

(원내대표단 만찬)

돈 있으면 형님이고 돈 떨어지면 거지 대접 받는다.”

(개헌특위 오찬)

형님 떡도 싸고 맛있어야 사먹는다.”

(프놈펜에서 열린 한,캄보디아 정상회담, 캄보디아에 한국의 전력 관련 기업들이 들어오면 싸고 좋은 전력을 공급하게 될 것이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