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잘해요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고] 스포일러 포함/기억력에 의한 내용상 오류 있을 수 있음.


[지나친 기대는 금물]

알라딘 북플을 하게 되면서, 모르는 작가들이 아직도 상당히 많다는 걸 알게 되었다. 북플에 사람들이 책을 읽고 올리는 글들을 보면, 그들이 읽은 책을 읽고 싶을 때가 많다. 그리고 그들을 통해 알게 된 책과 작가들도 많아졌다. 시간은 제한적이고 읽고 싶은 책은 많고이번에 읽은 이 책도 북플을 통해서 알게 된 작가다. 이기호. 그의 최신작을 읽은 사람들이 그에 대한 극찬을 했다. 얼마 전에 새로 알게 된 우리나라 작가들의 책들을 재미있게 읽어서, 이 사람의 책도 읽어보았다. 예전에 그가 쓴 <사과는 잘해요>라는 책을 집어 들었다. 지은이 이기호는 이 소설을 쓰기 전까지는 단편 소설들만 썼다고 한다. 그리고 이 소설이 그의 첫번째 장편소설이다. 너무 기대를 해서인지, 별로였다. 그리 유쾌하지도 않았고, 단편소설만 써오다가 쓴 장편이라서 그런지단편소설에 살을 붙여 장편 소설을 만든 느낌도 들었다. 두 주인공이 정상인이 아닌 지체장애를 가지고 있다고손 쳐도 이야기가 너무 억지스럽다고 생각했다. 개인적인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이 한편으로 실망을 했다고 그의 다른 소설들을 읽어보지 않을 이유는 없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그의 소설들을 또 만났으면 좋겠다.

 

[진만과 시봉]

주인공 진만이라는 사람은 복지시설에 있었다. 진만이는 지체아였다. 언젠지 모르지만 아버지가 그를 복지시설로 데리고 왔다. 그곳에서 그는 친구 시봉이를 만났다. 시봉이는 부모님들이 모두 돌아가시고, 동생과 살다가 봉고차에 실려서 복지시설로 왔다. 그들은 그곳에서 포장하는 일 등을 했다. 시봉의 의지로 온 것이 아니다. , 이 복지시설은 사람들일 납치해와서 가두고 일을 시키는 불법단체였다. 폭력을 일삼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여자의 경우 성폭행도 당했고, 자살한 사람들도 둘이나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어떤 사람이 붙들려와서는 가만 있지 않았다. 이곳의 실태를 그들이 포장한 물건에 넣어서 밖으로 알렸다. 그래서 경찰이 그 복지시설로 들이닥쳤고, 원장을 비롯하여 불법 복지사들은 모두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 일로 복지시설은 폐쇄가 되었고, 진만과 시봉은 그곳에서 나왔다. 하지만, 복지시설의 반복적인 일과에 익숙한 그들에게 바깥세상은 폭력은 사라졌지만, 그 외 모든 것이 낯설고 불편했다. 진만과 시봉은 갈 곳이 없었어. 시봉의 집으로 갔다. 시봉의 집에는 욕 잘하는 시봉의 여동생 시연과 도박으로 돈을 날리는 여동생의 나이 많은 남자친구, 뿔테안경남으로 부르는 이가 있었다. 그들은 싸움이 일상이었다

갈 곳 없는 진만과 시봉은 그곳에 살기 시작했다. 처음 며칠은 시봉의 여동생이 그냥 봐줬지만, 며칠 지나자 제발 나가서 돈 좀 벌어오라는 닦달로 인해 거리로 나섰지만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었다. 복지시설에서 맨날 얻어 맞고 미안하다는 사과를 줄곧 했던 일들이 생각났다. 그들이 가장 잘하는 것은 미안하다고 사과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대신 사과해주는 사업(?)을 시작했다. 뿔테안경남은 그것이 사업이 될 수도 있다 생각해서 동참했다. 누가 그들에게 그런 것을 의뢰할까 생각했다. 그런데 어떤 남자가 자신의 전부인에게 사과를 해달라고 했다. 첫 의뢰인이었다. 진만과 시봉은 날마다 그 부인이 운영하는 분식점에 갔다. 그리고 의뢰남의 아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했다. 의뢰남은 진만과 시봉이 아들을 만날 수 있게 해준 것에 고마워하고, 비용을 지불했다. 뿔테안경남에게…

나중에 진만과 시봉은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그들은 아직 의뢰남의 전부인으로부터 사과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 돈은 받으면 안된다고 생각했다. 그 받은 돈이 합당한 돈이 되려면, 의뢰남의 전부인을 계속 찾아갔고, 사과를 받아달라고 했더니, 전부인이 대신 죽어줄 수 있냐고 화를 내면서 한 말을 곧이곧대로 듣고, 누군가 죽어야 사과를 받는 것이고, 받은 돈이 제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그들은 술 취해 정신 잃은 뿔테안경남을 데리고 와서, 목 매달게 해서 죽였다. 경찰은 이 사건을 자살 사건으로 생각하여 종결시켰다.

 

[사과를 못해요]

그들이 머물렀던 복지시설들의 복지사들이 감옥 생활을 청산하고 밖으로 나왔다. 그들은 복수의 화신이 되어 진만과 시봉을 찾아왔다. 그들은 그들의 죄가 낱낱이 써있는 원장의 일기장을 가지고 오라고 했다. 그 일기장은 진만과 시봉이 가지고 있었다. 진만은 시봉만 그들에게 남겨두고 일기장을 가지고 오라고 했다. 만일 갔다가 오지 않으면 시봉을 죽인다고 했다. 진만은 일기장을 가지러 시봉의 여동생 시연의 집에 왔다가 그는 다시 나가지 않았다. 그러면서, 예전에 시봉에게 미리 해둔 사과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했다. 그 일로 친구 시봉이 죽어도 이미 사과를 했기 때문에 문제될 거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지체장애였다. 그래서 이 말도 안되는 상황을 이해해야했다. 그런데 시연이 자살기도해서 정신을 잃은 것을 발견했다. 시연을 병원에 데려다 주고, 거리로 나선 진만. 곁에 시봉이 없고 혼자였다. 그제서야 자신이 한 행동이 잘못된 행동이라고 후회를 하고, 시봉이 잡혀 있던 산으로 갔지만, 그곳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다시 병원으로 온 진만은 정신을 차린 시연을 얻고 집으로 향했다.

그렇게 소설은 끝이 났는데, 무엇을 이야기하려는지 잘 몰랐다. 책 뒷편에 평론가의 설명이 있는데, 그것도 크게 공감이 가지 않았다.

결혼은 그의 다른 책을 읽어보자. 특히 단편 소설을

 

 

※ 이 리뷰는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를 수정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