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쪽)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엔 불가능한 꿈을 지니자.


만일 우리가 낭만주의자이고

도저히 구제할 길 없는 이상주의자이며

우리는 불가능한 것을 이룩하려 한다고 말한다면

천 번이고 만 번이고 맞는 말이다

우리는 '그렇다'고 해야 할 것이다.

- 체 게바라



(23쪽)

그런데도 자신의 제자들에게는 시장의 무한경쟁으로 들어가라고 부추기는 교수들을 볼 때마다 진심으로 화가 난다.

"취업 못하는 건 순전히 너의 열정과 끈기가 부족하다"는 말, 그건 헛소리일 뿐이다.



(122쪽)

학생들이 가끔 논술이나 다른 시험, 혹은 교양을 쌓기 위해 어떤 신문을 봐야 하느냐고 물어온다.

이 책을 쓰기 전까지 나는 

"응, 보수적인 ㅇㅇ일보와 진보적인 ㅇㅇ신문을 함께 보렴.

기본적으로 균형 잡힌 시각을 잡아야지"라고 대답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 고백한다. 

그 대답은 결코 올바른 대답이 아니었다.

아니 어쩌면 비겁한 대답이었다.

보수와 진보를 뛰어넘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진 멋진 사람인 척 하는 동시에

일부 진영에서 가해질 공격을 피할 수 있는 묘수라고 생각해 부린 꼼수였다.

모두 나의 가식이었다.

'반성한다'. 이제 아주 홀가분하게 이야기할 수 있다.

"일보를 집어던져라!"라고.



(160쪽)

나는 글쓰기가 구체적인 문제에 부딪히는

한가지 방식이라고 믿는다.

더불어 자신의 독특한 감수성으로

삶을 바라보는 태도라고...

 - 체 게바라


(217쪽)

체는 여행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청춘은

 여행이다. 

시인 랭보의 <나의 방랑>이란 시에서처럼, 찢어진 주머니에 두 손을 내리 꽂은 채,

그저 길을 떠나가도 좋은 것이다.

여행은 그렇게 마음속에 품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피곤은 지친 몸, 금방이라도 무릎을 꿇고 쓰러져 쉬고 싶겠지만

우리의 의지는 그걸 용납해서는 안 된다.

때로는 육체의 한계를 극복해내는 새로운 삶을 향한 갈망이 

청춘의 전부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32쪽)

우리가 '다름'을 접하고 배우며 그 과정에서

자기만의 발전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 단순한 개인의 호기심 충족 때문은 아니다.

한국이라는 공동체의 운명과도 직결되는 문제다.

우리가 여행을 떠나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우리가 아직 보지 못한 세계에는 

'다른 것', '익숙하지 않은 낯선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다름'이 내 인생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가 있기에 우리는 여행을 떠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