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쪽

내가 자꾸 깨친다 깨친다 하는 것은 사람이 그런 깨칠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지

그렇지 않다면 만날 노력해도 소용이 없을 것입니다.

한번 생각해 보시오. 땅 밑에 금이 많이 있는 줄 알면,

거기에 금이 꼭 있을 것 같아서 땅을 파면 금이 나오지만,

암만 파도 금이 없을 것 같으면 헛일이지 않겠습니까?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중생에게 부처님과 같은 그런 능력이 없다면

아무리 깨치는 공부를 해도 헛일입니다.

문제는 그 광맥이 사람 사람 마다에 다 있나 없나 하는 것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는 인간에게 그런 무진장한 대광맥, 

금광과는 비교할 수 없는 무진장의 대광맥이 

사람 사람 가슴속에 다 있다는 것을 발견하셨습니다.

이것을 개발하고 이것을 소개한 것이 불교의 근본 생명선입니다.



46쪽

무엇보다도 정신적으로 모든 생각을 쉬어 버리는 것, 이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모든 구하는 생각, 이것이 마음에 들어 있으면 아무리 섭생을 잘해도 소용이 없거든요.

그런 구하는 생각을 어느 정도 떨쳐 버렸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을 쉬고 사는 이것이 건강에 좀 도움이 되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 듭니다.



79쪽

그러면 왜 우리는 '중생'이라고 하고, '사바세계'라고 하는가?

내가 비유로써 말하는데, 아무리 한낮에 해가 떠서 광명이 우주에 충만해 있더라도

눈먼 사람은 보지 못합니다.

그러나 설사 눈감은 사람이 광명을 보지 못한다 해도 광명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언제든지 해는 떠서 온 우주를 비추고 있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중생이 본래 부처이고 현실 이대로가 절대이지만

우리가 눈을 감고 있어서 본시 부처인 중생을 바로 보지 못하고,

본시 절대인 이 현실을 바로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마음의 눈을 바로 뜨면, 광명을 따로 찾을 것 없고 극락을 따로 찾을 것도,

부처를 따로 찾을 것도 없습니다.

그리하면 이리 가도 부처, 저리 가도 부처, 여기도 극락세계, 저기도 극락세계,

이렇게 되면 모든 것이 자동적으로 해결되지 않느냐 말입니다.



85쪽

흔히 '용서를 하자. 용서를 하자'고 하는데, 불교의 근본사상에 용서란 없습니다.

용서란 내가 잘하고 남이 잘못됐다는 것인데,

모든 것의 책임은 나한테 있는 것이며, 

남을 용서한다는 것은 남의 인격을 근본적으로 모독하는 것이 됩니다.

설사 어떤 사람이 칼로 나를 찌른다 할지라도 

찌르게 한 것의 근본 책임은 나한테 있는 겁니다.

그러므로 내가 '참회'를 해야지 저 사람을 '용서'하다니요.

그래서 우리 불교사전에서 '용서'라는 말을 빼야 한다고 늘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97쪽

어떤 언론이든지 사회의 공기라는 것, 

불편부당(不偏不黨)해야 한다는 근본정신을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어떤 기관이나 단체의 이용물이 되어서는 절대로 안 됩니다.

아무리 어려운 환경, 곤란한 환경에 처하더라도 춘추필봉(春秋筆鋒) 

말 그대로 시퍼런 필봉을 세워 나가야만 사회에 공헌을 하고

사회에 대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지, 

만약 언론이 근본정신을 버린다면 사회와 인류에 해를 주지 않겠어요?

지금도 잘하고 있겠지만,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공명정대한 필봉으로

춘추필봉을 발휘하면 사회를 잘 선도하는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살릴 수 있겠지요.




102쪽

어떤 단체의 지도자라고 하면 근본 전제가 사리사욕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의 지도자라면 오직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 사는 사람이 되어야지요.

정치하는 사람이 사리사욕을 위해서 산다고 하면 그것은 자살이 되고 맙니다.

어떤 단체의 지도자라면 그 단체를 위해서 사는 사람이 되어야 하겠죠.

그렇게 하려면 사리사욕에서 완전히 떠나야 합니다.

사리사욕을 채우려 하면 그 단체는 무너지고 맙니다.

그것을 버려야만 국가도 살고 민족도 살고 단체도 살고 자기 자신도 사는 것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자기 욕심을 채우려고 정치를 결국엔 국가와 민족에 큰 손해를 줄 뿐만 아니라

자기도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됩니다.

지도자의 자격이란 참으로 사리사욕을 완전히 버린 

무아(無我)사상에서 전체를 위해 사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