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말이란 건 그냥 말이 아니란다, 아가. 말은 우리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한 단순한 도구 이상이야. 말은 그 자체로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말로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지. 그건 절대 일방통행이 아니야.”
나는 엄마의 말을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열심히 고개를 끄덕였고, 자랑스러움에 가슴이 부풀어 올랐다. 나는 이보다다 더 똑똑한 엄마를
기대할 수 없었다.
“말을 부드러운 무기라고 생각하면 된단다, 아가. 네가 아버지가 모르는 말을 썼을 때 아버지가 왜 상처를 받았다고
생각하니? 알겠니?”
(182)
어느 날 너는 우리에게 자기는 왜 할아버지, 할머니가
없냐고 물었다. “금주는 할아버지가 둘인데, 어째서 난 영이야?” 네가 투덜댔다. 나는 돌아가셨다고 대답했다. 이 대답은 우리를 새로운 질문의 무한루프로 빨아들였다. “돌아가신
게 뭐야?” 그건 죽은 걸 뜻한단다. “죽었다는 게 무슨
뜻이야?” 더 이상 여기에 우리와 함께 있지 않다는 뜻이란다. 하늘나라로
가서 돌아올 수 없다는 뜻이야. “하늘나라에서는 뭘 해?” 누구도
확실히 알지는 못한단다, 미희야. “왜?”
(189)
네가 내게서 제일 처음 배운 것들 중 하나는 이야기를 꾸며내는 기술이었다. 학교에서 너는 똑똑해서 모든 과목을 잘했다. 딱 하나 생활총화만
빼고. 매주 진행되는 이 자아비판 시간에 모두들 돌아가며 자신이 당을 상대로 저지른 죄-위대한 수령 동지의 이상에 반하는 말이나 행동 또는 정신력 일탈-를
고백해야 했다. 그것은 소학교 때부터 아이들이 다른 사람뿐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 염탐하도록 훈련시킨다. 당은 그것을 반성하라고 표현하지만, 다른 세상에서는 그것을 자기
감시라고 부를 것이다. 정말 골칫거리는 너의 반응이었다. “엄마, 선생님이 고백할 게 절대 없는데 자꾸 고백하라고 강요해! 그래놓고
글쎄 내가 진실을 말하지 않고 거짓말을 해서 죄를 짓고 있다고 화를 내며 소리 지르며 뭐야!”
(232-233)
나는 우리 결혼의 첫 번째 미세한 균열을 찾아내기 위해 내 기억을 샅샅이 뒤졌다. 언제부터 우리 자신을 우리가 딱하게 여겼던 다른 평범한 부부들과 다름없는 존재로 보기 시작했을까. 예를 들어 식당에서 서로의 얼굴이 아닌 서로의 어깨 너머 빈 공간을 쳐다보는 부부. 이제 싸우고 싶지도 않을 만큼 서로에 대한 관심이 고갈된 부부. 마지막으로
잠자리를 한 것이 언제인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 부부. 오로지 자식 때문에 함께 사는 부부처럼 말이다.
(267-268)
정말 이상한 광경이군. 미희는 생각했다. 혜산에서 나고 자란 그녀는 이미 국경 건너편의 광경에 익숙했다. 그러나
반대편에서 자신의 마을을 돌아보는 것은 그녀가 전에 경험한 적 없는 상황이었다. 어둠 속에서 낮게 그려진
회색 스카이라인이 너무도 친숙하면서도 너무도 낯설어 보였다. 그것은 마치 영혼이 몸 밖으로 빠져나와
자신의 얼굴 위에 둥둥 떠서 자신의 잠든 모습을 바라보는 유체 이탈과 같은 경험이었다. 국경을 넘기
위해 이동해야 했던 그 짧은 물리적 거리가 그녀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기 시작했다.
(317-318)
미희는 마치 납치범이 존재하지 않는데도 협상에 임하고 있는 것 같았다. 당신이 이 아이가 다른 평범한 아이들처럼 살아서 성장하게 해준다면, 무슨
짓이든 하겠어요. 내 몸에서 무엇이건 가져가도 해준다면, 무슨
짓이든 하겠어요. 내 몸에서 무엇이건 가져가도 좋고 내게 당신이 원하는 다른 어떤 비극을 줘도 좋아요. 내 다리를 앗아 가도 좋고, 내 눈을 앗아 가도 좋고, 심지어 내가 간 뒤에 이 아이가 정상적으로 살 거라고 보장만 해준다면 내 목숨을 가져가도 좋아요. 깨어 있으면서 고통스러워하는 나의 작은 핏덩이를 위해 아무것도 해줄 수 없음을 아느니 차라리 영원히 잠들겠어요.
(333)
갓 태어난 아람이는 하나의 블랙홀이었고 우리는 그 블랙홀에 기꺼이 빨려 들어갔다. 울음과 단속적인 짧은 잠과 수시로 폭발하는 식욕으로 우리의 잠을 앗아 가고 우리의 모든 일상을 거꾸로 뒤집어놓은
완벽한 폭풍이었다. 동시에 아람이는 우리가 깨어 있는 모든 시간을 경이로움으로 채웠다. 그 아이는 우리가 지금은 잊은 어린 시절의 놀라운 경험들-우리가
이 세상의 신참자로서 주변 세상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어떻게 모든 평범한 물건이나 사람이 우리의 무한한
호기심에 불을 붙였는지-을 떠오르게 해주었다. 삶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한 누군가의 곁에 있는 것은 그토록 정신이 고양되는 경험이다.
(380)
“내가 전에 갈망한 적 없던 흙을 갈망하게 되면
그냥 먹는 거지. 내 몸을 새것처럼 보존해서 110세까지
살려고 애쓸 생각은 없어.” 묵 할머니가 킬킬거렸다. 그녀는
카르페디엠은 안 그래도 충분히 무모한 10대들에게 설파할 것이 아니라고, 그녀처럼 쪼그라든 늙은 몸들을 위한 경구라고 말했다. “오늘을 즐겨라. 그야말로 내일이 없을지도 모르잖나.” 그녀가 속삭이고는 또 다시
킬킬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