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자들
올가 토카르추크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아빠는 노벨문학상 작가들의 책을 즐겨 읽는 편은 아니란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들의 책은 기본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았거든. 그런데 그걸 깨준 이가 있었으니, 올가 토카르추크라는 분이란다. 아빠가 작년에 올가 토카르추크의 제목도 외우기 어려운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라는 책을 재미있게 읽었거든. 그래서 그 이후에 올가 토카르추크가 쓴 책들을 몇 권 더 사들였단다.

그 중에 한 권을 이제서야 읽었단다. 제목은 <방랑자들> 그런데 이번에 읽은 <방랑자들>은 작년에 읽은 제목도 외우기 어려운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와는 사뭇 다른 책이로구나. <방랑자들>이 분명 장편소설이라고 알고 읽기 시작했는데, 도대체 줄거리를 종잡을 수 없었어. 왜냐하면 각각의 에피소들이 이어지지 않고 각각의 독립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거든. 그리고 그 형식도 소설의 형식을 띄는 것도 있고, 에세이의 형식을 띠는 것도 있고, 편지 형식도 있고, 심지어 어떤 에피소드는 한 문장으로 된 것도 있단다. 아빠가 책 표지에서 장편소설이라고 본 것이 확실한데도, 다시 책 표지를 확인해 보았단다. 역시나 장편소설이라고 써 있었어.

, 대단한 형식 파괴로구나. 소설의 형식이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이런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묶어 소설이라고 할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 역시 노벨문학상은 아무나 타는 것이 아니야, 이런 생각도 들었어. 그 많은 에피소들을 관통하는 제목이 바로 방랑자들이란다. 읽다 보면 제목을 여행자들로 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구나. 많은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나오고 여행을 하면서 본 책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여행을 하면서 느낀 생각들도 이야기하고, 갑자기 방랑과 여행의 차이점이 뭘까? 하는 생각이 들었단다. 그래서 사전을 뒤져보았단다. 간편하게 인터넷 국어사전을 찾아볼 수도 있지만, 종이로 된 국어사전을 펼쳐봤어.

방랑. 갈 곳을 정하지 않고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것. 예문 <김삿갓은 전국을 방랑하면서 시를 지었다.>

여행. 이것저것 두루 구경하려고 다른 고장이나 다른 나라에 가는 것. 예문 <삼촌은 혼자 유럽으로 여행을 떠났다.>

이런 차이가 있다고 하는구나.


1.

아무튼 이 책은 장편소설이지만, 줄거리 이야기해주기 참 곤란한 책이라는 거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에세이 같은 글도 있고 편지 형식의 글도 있고 소설의 형식의 글도 있단다. 여행이나 방랑하면 떠오르는 장소인 공항에서 일어나는 일, 기차에서 일어나는 일, 호스텔 같은 숙소에서 일어나는 일들도 있고, 그런 장소에서 만난 많은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도 있단다. 그래도 명색이 소설인데 소설 같은 글들도 있단다. 어떤 에피소드들은 단편 또는 중편 소설의 길이의 이야기가 그것이야. 하나의 에피소드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중간중간 에피소드들로 나뉘어서 이야기를 해주기도 한단다.

쿠니츠키라는 남자가 있는데 크로아티아에 여행을 왔다가 아내와 아이를 잃어버리고 경찰과 함께 찾는 이야기가 나온단다. 조그마한 섬이라서 갈 곳도 별로 없는데, 실종이 되어 걱정을 하며 찾는 것으로 에피소드가 일단락된단다. 그리고 한참 뒤쪽에 다른 에피소드에서 이야기가 이어지는데, 3일만에 아내와 아이가 안전하게 돌아왔단다. 그런데 그 3일동안 무엇을 했냐고 추궁하기 시작하고 아내가 한 이야기는 믿지 못하고, 강박증과 의심증이 심해졌어. 그리고 아내 몰래 휴가를 쓰고 아내의 뒤를 밟기도 하다가 들통이 나기도 했어. 결국 아내는 아이들 데리고 집을 나가 버렸지. 기분 좋아지려고 간 여행이었을 텐데, 최악의 결말이 되었구나.

또 하나 에피소드를 이야기해줄게. 아누슈카라는 여자가 있었어. 아들 피에티아가 있었는데, 불치병에 걸려서 늘 아누슈카가 보살펴 주어야 했단다. 하루는 시어머니가 피에티라를 보살펴 주셔서 외출을 할 수 있었어. 외출이라고 해봐야 기도하고 장보고 그런 거였지. 그런데 집에 돌아오다가 문득 걸음을 멈추고 뒤로 돌아섰어. 무작정 떠나고 싶었어. 기차를 타고 아무 곳에나 내리고 또 떠나고 밤이 되면 노숙하고 그렇게 지내다가 며칠이 지난 뒤에 다시 집으로 돌아왔단다. 아들을 보살피며 쳇바퀴처럼 살던 아누슈카. 멋진 여행은 아니지만 자신의 영혼에게 잠시 자유를 주었던 멋진 방랑이 아니었을까 싶더구나.

….

신의 구역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어. 주인공은 옛사랑으로부터 메일이 한 통 받았어. 메일을 읽어보자 그 사람이 누구인지 떠올랐어. 그는 불치병에 걸려서 시한부 인생을 살고 있다고 했어. 곁에는 누이밖에 없는데, 한번 와 달라고 부탁을 했단다. 편지를 받은 주인공은 남편에게 학회에 간다고 거짓말을 하고 유럽으로 떠났단다. 그 옛사랑을 만나려고... 그렇다고 그 옛사랑과 다시 무엇인가 하려는 것은 아니고 죽음을 앞둔 사람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생각에서였어. 그는 모르핀으로 고통을 참아가며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신세였단다. 삶 자체가 고통이었지. 그는 자신이 편하게 죽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했단다. 주인공은 그의 부탁을 들어주고 다시 집으로 돌아왔단다.

쇼팽의 심장에 관한 이야기도 재미있었단다. 쇼팽이 폴란드 사람이잖니. , 그러고 보니 지은이 올가 토카르추크도 폴란드 사람이구나. 쇼팽이 파리에서 숨을 거두었고 장례식도 파리에서 했다고 하는구나. 쇼팽이 죽기 전까지 누이 루드비카가 보살펴 주었어. 쇼팽이 죽기 전에 늘 고향이 묻히고 싶다는 이야기를 했대. 그래서 루드비카는 쇼팽이 죽은 뒤에 쇼팽의 심장만 따로 떼어내고 치마 속에 숨겨서 폴란드 바르샤바로 가지고 와서 그곳에 매장을 했다는 하는구나. 그래서 쇼팽의 묘지는 파리에 있지만, 쇼팽의 심장은 바르샤바에 묻혀 있다고 하는구나.

….


2.

이 책은 앞서 이야기했지만 에세이 형식의 글도 많다고 했잖아. 그런 에세이들 중에 담긴 글들 중에 좋은 글들을 너희들에게 소개해 주고 싶기도 하구나. 두어 편 소개하면서 오늘 편지는 마칠게.

=======================

(83)

하지만 시간에 대해 나는 의견이 다르다. 모든 여행자의 시간은 수없이 많은 시간이 하나로 모인 결합체다. 그것은 혼돈의 대양 속에서 정리된 시간, 섬과 군도의 시간이다. 기차역의 시계가 만들어 내는 시간, 가는 곳마다 달라지는, 그때그때 약속된 시간이자 자오선의 시간이기에 그 시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날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시간이 사라져 버리고, 먼동이 크기가 무섭게 오후와 저녁의 발소리가 계단에서 들려온다. 그저 잠시 머무는 대도시에서의 빡빡한 시간은 하룻저녁을 송두리째 바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비행기에서 목격할 수 있는, 인적 없는 평원의 느긋한 시간이 있다.

=======================

(108)

뭔가를 글로 묘사한다는 건, 그것을 사용한 것과 비슷해서 결국엔 그것을 망가뜨리게 된다. 색깔이 엷어지고 모서리는 닮아서, 글로 적어 놓은 것들은 결국 희미해지고 사라져 버린다. 특히 장소에 관한 글이 그렇다. 여행 안내서들은 침략이나 전염병처럼 지구의 상당 부분을 파괴하고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 다양한 언어로 수백만 부를 찍으면서 해당 장소를 속박하고 약화시키고 그 윤곽을 지워 버렸다.

=======================

(346)

밤이 되면 세상 위로 지옥이 떠오른다. 가장 먼저 일어나는 현상은 공간의 형태를 파괴하는 것이다. 모든 곳을 더욱 비좁게 만들고, 더욱 거대하게 만들고, 움직일 수 없게 만든다. 세부 항목들은 사라지고 사물은 자신의 고유한 모양을 잃어버리며 쪼그라들어서 불분명해진다. 낮에는 아름답다혹은 유용하다고 말할 수 있었던 것들이 밤에는 마치 형태를 잃어버린 몸뚱이처럼 이전에 과연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짐작조차 하기 힘든 상태가 된다. 지옥에서는 모든 것이 가상으로 존재한다. 낮 시간에 드러난 형태의 다양성, 색의 현존, 음영 따위는 전부 헛된 것이 되어 버린다. 대체 그것들이 다 무슨 소용인지 알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


PS:

책의 첫 문장: 나는 서너 살이다.

책의 끝 문장: 어쩌면 우리는 새로 태어날 것이라고. 이번에는 적절한 시간, 적절한 장소에서.


심장. 그 신비는 확실히 밝혀졌다. 주먹 하나 정도 크기의 고르지 못한, 더러운 크림색 덩어리. 칙칙하고 보기 싫은 잿빛이 감도는 크림색, 크게 바로 우리 몸의 색깔이라는 걸 기억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나 벽지를 고른다면, 우리는 절대 그런 색을 원치 않을 것이다. 그것은 어둠의 색깔이자 내부의 색깔이다. 햇볕이 들지 않고 물질이 낯선 시선으로부터 음습하게 자신을 감추는 내부. 아무것도 과시할 게 없다. 하지만 피가 돌기 시작하면 화려한 치장이 허용된다. 피는 경고이고, 그 붉은빛은 경고의 신호다. 우리를 덮고 있던 조개껍데기가 열리고 세포 조직의 지속성이 깨질 수도 있다는.
실제로 우리 몸의 내부에는 아무런 색깔이 없다. 심장이 원활하게 혈액은 펌프질 할 때 혈액의 색깔은 콧물과 같다.
- P40

그는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인체는 전적으로 신비로운 대상이다. 아무리 정확하게 묘사한다고 해도 그것에 대해 완벽하게 아는 건 아니다. 그러니까 그것은 모든 것을 더욱 가까이 들여다보기 위해 열심히 유리를 갈면서 동시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엄청나게 어려운 언어를 창조했던 렌즈 연마공 스피노자, 그 철학자의 논리와 같은 것이다. 왜냐하면 흔히 말하듯 ‘보는 것이 아는 것’이므로. - P3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