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NOON 세트 - 전10권 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세트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외 지음, 황현산 외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8월
평점 :
품절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러시아 작가들은 우리나라에서 참 다양으로 이름으로 부르는 것 같구나. 러시아 발음 상 어쩔 수 없겠지만 말이야. 아빠가 이번에 읽은 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NOON 세트  일곱 번째 책 <벨낀 이야기>를 쓴 뿌쉬낀도 마찬가지푸슈킨이라고 하기도 하고, 푸시킨이라고 하기도 하고 말이야열린책들에서는 된소리를 강조해서 뿌쉬낀이라고 했단다. 뭐라고 불러야 할지

뿌쉬낀의 소설 중에 아빠가 읽은 것은 <대위의 딸>이라는 소설 한 편이란다. 아빠가 존경하는 유시민 님께서 추천해서 읽게 된 책인데,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있구나. 뿌쉬낀은 능력이 비해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못했어. 왜냐하면 서른여덟 살에 요절했거든. 바람난 아내의 정부와 결투를 했다가 허망하게 목숨을 잃었다고 하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로구나. 아빠가 예전에 뿌쉬낀의 단편 소설들을 모아 놓은 책을 산 기억이 있는데, 읽어보지 못하고 책장 어딘가에 꽂혀 있을 것 같은데, 어디에 꽂혀 있는지 못하겠구나.


1.

벨낀 이야기는 마치 벨낀이라는 실존 작가의 작품을 우연히 손에 넣은 후 소개하는 형식을 띠고 있지만, 이는 설정이며, 지은이 뿌쉬낀이 쓴 작품들이란다. 이 책에서 벨낀이 남겼다고 하는 소설은 총 다섯 편의 단편이란다. 정말 재미있었다, 이런 평은 못 하겠더구나. 그냥 그 시절 러시아의 일상들과 인간 심리는 예나 지금이나 다 비슷비슷하구나, 하는 이런 생각을 들게 한 작품들이었어. 각 작품 별로 아주 짧게 이야기를 해볼게.

1 마지막 한 발

퇴역 장군이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주는 형식의 소설이란다. 실비오라는 사람이 결투를 하게 되었는데, 그는 그 결투를 취소했어. 다른 사람들이 그를 겁쟁이라고 여겼지만, 실비오는 상대방이 결투 전 공포심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했어. 그 공포심을 생명을 소중히 여긴다는 뜻이고, 그런 생명을 소중이 여기는 사람을 죽일 수 없다는 생각이었지.

2 눈보라

귀족 출신의 마리야는 가난한 장교 블라지미르와 사랑에 빠졌지만, 부모의 반대로 인해 몰래 도망치기로 했단다. 외딴 교회에서 만나 결혼식을 치르기로 한단다. 그날 눈보라가 엄청나게 불었는데, 다행히 마리야는 다행히 그 교회에 도착을 했고, 캄캄한 교회에서 블라지미르와 결혼식을 치르고 집에 돌아왔단다. 하지만 블라지미르는 제 시간에 교회에 도착을 하지 못했지. 뭐야? 그런 교회에서 그 남자는? 이 일이 있고 마리야는 블라지미르와 헤어지게 되었어. 나중에 부르민이라는 남자에게 호의를 갖게 사귀게 되는데, 자신들의 비밀 이야기를 나누다가 깜짝 놀라게 된단다. 그 옛날 캄캄한 교회에서 블라지미르인줄 알았던 그 남자가 바로 부르민이었던 거야. 그들은 다시 한번 정식으로 결혼을 한단다.

3 장의사

장의사 쁘로호로프라는 사람의 이야기란다. 이웃집에서 열린 파티에 참석했다가 자신을 놀리는 듯한 대화에 화가 나서 집에 돌아왔단다. 그런데 자신이 장사 지냈던, 죽은 이들이 찾아왔단다. 자신의 관 값을 속였다면서 쁘로호로프를 비난하는 이도 있었단다. 자실 쁘로호로프는 관 값이나 장례비를 속여서 돈을 벌었는데, 그걸 안 죽은 이들이 알고 그를 찾아온 것이란다. 느낌상 꿈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뽀로호로프의 꿈이었단다. 그 꿈이 크리스마스 캐롤의 스크루지 영감처럼 그를 반성하게 했으려나.

4 역참지기

시골 역참에 들렀던 기병 장교가 역참지기 노인의 딸 두냐에 사랑에 빠지고 그 장교는 두냐를 데리고 도망을 갔어. 역참지기 노인은 장교의 집을 찾아왔지만 딸을 만나지 못하고 돌아갔단다. 얼마 뒤 노인은 죽고, 두냐는 노인의 무덤에 찾아오게 된다는 이야기. 굳이 아버지를 그렇게 외면할 필요가 있었나 싶구나.

5 귀족아가씨 - 시골처녀

사이가 좋지 않은 두 집안 무롬스키 집안의 딸 리자와 베리스또프 집안의 아들 알렉세이의 사랑이야기란다. 사이가 좋지 않은 두 집안의 이루어질 없는 사랑이야기는 사랑 이야기의 단골 소재거리구나. 리자는 집안의 반대가 심할 거라는 생각하고 아꿀리나라는 농부의 딸로 변장을 하고 알렉세이를 만나게 된단다. 알렉세이는 아꿀리나와 사랑에 빠지게 되었지. 그런데 그 사이에 무롬스키와 베리스또프 집안의 사이가 좋아져서 리자와 알렉세이를 결혼시키려고 했단다. 그런데 알렉세이는 자신이 진정 사랑하는 아꿀리나를 저버릴 수 없었어. 무롬스키의 집에 찾아가 그 이야기를 하려고 했는데..... 리자가 바로 아꿀리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단다. 로미오와 줄리엣과 달리 해피 엔딩이구나 ㅎㅎ 결혼 이후에도 행복하게 잘 살았으려나?

....

, 이상으로 벨낀 이야기에 실린 다섯 편의 이야기를 간단히 소개해 보았단다. 그리고 앞으로 한 동안 독서 편지는 좀더 짧게 쓰려고 해. 너희들이 각자 공부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길어진 코로나 펜데믹에 주말에 아빠는 책 읽는 시간이 예전보다 많아져서 그런지 예전보다 읽은 책이 쌓이는 속도가 빨라진 것 같아. 그래서 독서 편지가 엄청나게 밀려버렸어. 그거 따라잡을 동안은 좀 짧게 쓰려고 하니 양해 바람.^^ , 그럼 오늘은 이만.


PS:

책의 첫 문장: 바야흐로 독자 대중에서 소개될 I. P. 벨낀의 의야기들을 간행하려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간략하나마 고인이 된 저자의 전기를 수록함으로써 우리 나라 문학 애호가들의 지극히 당연한 호기심을 부분적으로나마  만족시켜 주길 희망하였다.

책의 끝 문장: 독자 여러분은 대단원을 묘사해야 하는 불필요한 의미에서 나를 해방시켜 주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