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크맨
애나 번스 지음, 홍한별 옮김 / 창비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영어권 문학상으로 유명한 부커상을 받은 <밀크맨>이라는 책을 읽었단다. 아빠가 부커상 수상작을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괜찮았던 기억이 있어서 기대를 하고 책을 펼쳤단다. 그리고 이 책을 먼저 읽은 이들의 평가들도 좋았어. 역시책에 대한 취향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었단다. 지은이 애나 번스가 이 소설을 통해서 무엇을 이야기하려는 것은 알겠는데, 한 문장, 한 문장 호흡이 너무 길어서 읽기 쉽지 않았단다. 그렇다 보니 이야기 전개도 무척 느렸어. 그 이야기 전개가 느린 것을 작가의 섬세한 글 솜씨로 메꾸고 있지만, 그 기다림은 아빠한테는 쉽지 않았어. 아무튼 여느 소설과는 다른 문체로 전개되긴 했단다.

그리고 독특한 것은 등장인물의 이름이 한번도 나오지 않았어. 주인공 가 겪은 일과 생각하는 것으로 소설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등장인물도 이름이 아닌 와의 관계나 별명으로 부르고 있단다. 이 책을 읽다 보니 문득 예전에 아빠가 시도해보려고 했던 글쓰기가 생각이 나더구나. 소설가들은 오랫동안 꾸준한 글쓰기를 할 수 있는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 그리고 같은 글이라도 재미있으면서 길게 늘여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어. 그러면서 아빠도 한번 그런 글쓰기를 시도해보려고 했지. 그렇다고 소설을 쓰겠다는 것은 아니고, 취미로 긴 글쓰기를 한번 해보고 싶었지. 어떤 평범한 하루를 세밀하게 묘사해서 아주 길게 써보는 거야.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하고 회사에서 일하고 다시 퇴근해서 집에 하루를 마무리하는, 한 줄로 끝낼 수 있는 하루 일과를 아주 길게 한 번 써보려고 했었단다. 결과는 출근하기 전까지 쓰는 것도 못 마치고 그만 두었단다. 역시 창작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생각과 함께

그런데 이 소설이 약간 그런 글쓰기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 어떤 일에 대한 이야기를 쓸 때, 그것에 대한 얽히고 설킨 이야기들과 관련된 사람들에 설명 등이 이어졌단다. 이 소설에 대한 호평이 여러 매체를 통해서 이루어졌지만, 이런 늘어지는 글쓰기 때문인지, 미국의 <뉴욕 타임스> “20페이지짜리 단편을 한없이 늘려놓은, 읽기 고통스럽지만 그만한 가치는 없는 작품이라며 이례적으로 혹평하기도 했다는구나.

지은이는 애나 번스라는 사람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작가인데, 다른 사람들도 아마 그랬을 거야. 왜냐하면 20년 작품활동을 했지만, 작품 수도 적고 알려져 있지 않은 무명 작가였다고 하거든. 이 작품이 부커상에 수상하면서 유명해진 것이야. 더욱이 여러 출판사에서 출간을 거절당하다가 간신이 출간되었다고 하니, 그 출판사가 아니었다면 여전히 무명의 작가로 지내고 있지 않았을까 싶구나.


1.

소설의 배경은 1970년대 북아일랜드란다. 북아일랜드라고 하면 영국 연방의 한 국가라는 것만이 아빠가 아는 전부란다. 이 소설을 보면 당시 북아일랜드는 내전 비슷한 상황인 것 같았어. 서로 반대편 사람들을 죽이기도 하고 말이야. 주인공 의 가족들 중에서도 죽은 이들이 여럿 있었거든. 그래서 좀 찾아봤단다. 북아일랜드 1970년대 상황이 어땠는지 말이야.

당시 북아일랜드는 두 진영으로 나뉘어져 있었다고 했어. 영국 연방에 속해 있기를 바라는 조직과 북아일랜드가 독립을 해서 아일랜드와 통일을 원하는 조직으로 나뉘어져 있었대. 그리고 두 조직은 서로 무력 충돌도 잦았는데, 그것이 1990년대까지 이어졌고, 이런 무력 충돌로 인해 수천 명이 죽고 수만 명이 다쳤다고 하는구나. 1990년대라면 불과 수십 년 전이니까, 아직도 당시 아픔을 안고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지은이는 등장인물의 이름을 쓰지 않은 것처럼, 각 지명이나 나라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단다. 영국은 물 건너라고 했고, 아일랜드는 국경 건너로 했어. 그밖에 길 건너’, ‘길 저쪽’, ‘길 이쪽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단다.

주인공이 살고 있는 동네는 북아일랜드 독립을 원하는 조직이 활보하던 집단이란다. 주인공의 당시 나이는 열여덟 살. 풋풋한 봄과 같은 때로구나. 주인공은 길을 걸으면서 책 읽는 것을 좋아하고, 달리기도 좋아하는 평범한 문학소녀였어. 10남매 중에 넷째 딸인 주인공.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무력 충돌은 식구들 중에 몇몇이 죽었단다. 그런 주인공에 시련이 다가온 것은 한 사이코 같은 사람 때문이야.


2.

무장독립투쟁의 중요 인사이자 그 지역에서 유명한 밀크맨이란 별명을 가진 사람이 있었어. 나이는 마흔한 살. 어느날 그 밀크맨이 길을 걸으면 책을 걷고 있던 주인공에 말을 건 것이었어. 그런데 그것이 한번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주인공에게 말을 걸었어. 주인공의 가족을 안는 척 하면서 말을 걸었는데, 주인공은 불쾌했단다. 누가 봐도 수작부리는 것이었어. 하지만 주인공은 어떻게 대처하는지 몰랐어. 동네 어른한테는 늘 예의 발라야 하는 줄 알았지,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던 거야.

======================

(17)

열여덟살 때 나는 개인공간 침해라는 게 뭔지 몰랐고 누군가가 접근하는 것을 꺼리거나 거부할 권리가 나에게 있다는 것도 몰랐다. 그때는 누가 친절과 애정을 베푼답시고 다가오면 그 사람이 하고 싶은 말을 다 하고 빨리 가버리기를 속으로 빌거나 가능한 순간이 오면 내가 얼른 예의 바르게 자리를 뜨는 게 최선이었다.

======================

몇 번이 지나자 밀크맨은 주인공에 대한 사사로운 것과 스케줄까지 다 알고 있었어. 완전 스토커였지. 그런데 이 소문이 어떻게 났냐면, 밀크맨과 주인공이 사귄다. 유부남이었던 밀크맨을 주인공이 꼬셨다. 불륜이다. 이렇게 소문을 내어 주인공은 그 사회에서 욕이란 욕은 다 먹었단다. 가족들도 주인공의 말을 믿지 않았어. 엄마도 소문을 듣고 주인공한테 비난을 했단다. 사실대로 말했지만, 엄마도 주인공의 말을 믿지 않았고, 그러니까 결혼이나 빨리 하라고 했단다. 1970년대 북아일랜드는 십대 후반이면 결혼하던 풍습이 있었나 봐. 그러니 주인공의 엄마가 이런 잔소리를 하지.

밀크맨을 피하기 위해 남자 친구는 아니지만, 좀 친한 어쩌면 남자친구와 좀 더 친하게 지내긴 했지만, ‘어쩌면 남자친구와도 정식 남자친구가 되는 것도 서로 마음이 잘 맞지 않았어. 더 황당한 것은 밀크맨의 여자친구로 소문이 나면서, 반대 조직의 감시 대상이 되기도 했단다. 자신도 모르게 사진도 찍히고 그랬어. 그리고 밀크맨에게 잘 보이기 위한 이들이 주인공을 찾아오기도 하고

그들의 조직 내에는 명망 받고 영웅 대접을 받는 밀크맨그로 인해 더욱 주인공이 받고 있는 피해는 알아주지 않고, 삶과 영혼이 피폐해져 간단다. 그러다가 밀크맨이 반대파에 의해 죽음을 당한단다. 그를 영웅으로 받들던 이들은 슬퍼했겠지만, 주인공 입장에서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을 수도 있었을 거야. 하지만 이번에는 밀크맨의 죽음에 두고 또 소문을 내어 주인공과 엮는단다. 아무런 근거도 없는 가짜 뉴스들주인공은 이 구렁텅이에서 어떻게 빠져 나올 수 있을까. 그래도 소설을 힘겹게 따라 읽어가다 보면, 마지막에서 희망을 만나게 된단다. 어찌되었든 해피 엔딩.

======================

(492)

저수지 공원 방향으로 가는 보도 위로 뛰어내리면서 나는 빛을 다시 내쉬었고 그순간, 나는 거의 웃었다.

======================

아빠가 밀크맨과 주인공 관계에 초점을 맞춰 짧게 이야기를 했지만, 이 소설에는 엄마와 진짜 밀크맨의 사랑도 나오고, 주인공의 자매들에 대한 이야기도 있고, 알약 소녀, 핵소년 등 독특한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단다. 다만 아주 느리고 섬세한 문체로 이야기해주고 있단다. 오늘은 이만힘들게 읽은 책은 너희들에게 이야기해주기도 힘들구나.


PS:

책의 첫 문장 : 아무개 아들 아무개가 내 가슴을 총으로 찌르고 고양이 같은 년이라고 하면서 나를 쏘려고 한 날이 밀크맨이 죽은 날이었다.

책의 끝 문장 : 저수지 공원 방향으로 가는 보도 위로 뛰어내리면서 나는 빛을 다시 내쉬었고 그순간, 나는 거의 웃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깨어 있고 귀를 세우고 루머건 현실이건 전부 주시한다고 해서 일어날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도 아니고 이미 일어난 일에 개입하거나 일어난 일을 되돌릴 수도 없다. 아는 것은 힘이 아니고 안전이나 안도감도 아니고, 어떤 사람에는 힘, 안전, 안도감의 정반대 것일 수도 있다. 예민하게 깨어 있다보면 자극이 계속 쌓여 고조되기 마련인데 그런 스트레스를 해소할 출구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가 걸으면서 책을 읽는 것은 알지 않으려고 일부러 하는 행동이다. 경계하지 않으려고 경계하는 것이다. - P102

"누구나 사는 게 힘들다는 거. 자기만 힘든 게 아닌데 왜 특별 대접을 해줘야 하니? 힘든 일도 기쁜 일도 마찬가지로 받아들이며 살아가고 자기를 추슬러 존중을 받을 것이지. 그런 사람도 있단다, 딸아. 고통을 한껏 누리는 사람보다도 오히려 더 정신병을 일으킬 이유가 많은 사람, 고통스러운 이유가 더 많은 사람도 있어. 그런데도 어둠에 굴복하거나 한탄에 빠지지 않고 용기 있게 자기 갈 길을 가고 굴복하지 않는 사람들 말이야." - P129

고양이는 개처럼 사람을 따르지 않는다. 사람한테 관심이 없다. 사람의 자존감을 북돋워주리라고 기대할 수 없다. 고양이는 제 갈 길을 가고 제 할 일을 하고 사람에게 굴종하지 않고 사람에게 미안해하는 일도 없다. 고양이가 사과하는 건 본 적이 없는데 설령 고양이가 사과를 한다고 하더라도 틀림없이 진심이 아닐 것이다. - P140

그러니까 빛나는 것은 나쁘고, ‘너무 슬픈’ 것도 나쁘고 ‘너무 기쁜’ 것도 나쁘니 따라서 이도 저도 아닌 채로 살아야 했다. 또 생각도 하지 말아야 했다. 적어도 생각이 겉으로 드러나게 하면 안되므로 다들 자기 생각을 저 아래 깊이 안전하게 감추었다. 엄마와 아빠로 말할 것 같으면 아빠는 너무 ‘우울한 얼굴’ 쪽으로 갔고 엄마는 너무 강력하게 ‘위를 바라보는’ 쪽으로 가서 아빠는 주기적으로 신경쇠약을 일으켜 병원에 가야 했고 그 결과 엄마는 ‘위를 바라보는’ 것을 잊어버리고 아빠가 또 자기를 여기에 버려두고 가버렸다고 화를 냈다. 여러해 동안 나나 동생들은 아빠가 병원에 입원했다는 사실, 그것도 그냥 병원이 아니라 정신병원에 입원했다는 사실을 몰랐다. - P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