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킬박사와 하이드 ㅣ 마카롱 에디션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음, 박찬원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5년 3월
평점 :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아빠가 어렸을 때 책 읽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는 않았어. 하지만 초등학교 시절 어떤 여름에
읽었던 책들이 기억이 나는구나. 초등학교 4학년인가 5학년 때였던 것 같아. 여름방학인데, 친구들과 노는 것도 지치고 딱히 할 것이 없을 때 외삼촌댁에 갔다가 사촌형들이 읽던 책들을 살펴보게 되었단다. 그 중에 세계문학 문고판들이 눈에 들어왔어. 좀 읽다가 어려워서
관두기 일쑤였는데, 셜록 홈즈 시리즈를 비롯하여 몇 편은 눈에 들어와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단다. 그 중에 하나가 <지킬박사와 하이드씨>였어. 여름날 방안에 선풍기 틀고 배 깔고 한 페이지 한 페이지
넘겨 보던 기억이 생생하구나.
오늘날 <지킬박사와 하이드>라고 하면
원작 소설보다 각색된 뮤지컬로 더 유명하단다. 지금까지 본 뮤지컬을 손으로 헤아릴 수 있는 아빠도, 그 한 손가락이 바로 <지킬박사와 하이드>이니 말이야. 어떤 사람은 그 뮤지컬만 손으로 셀 수 없을 만큼
본 사람도 있다고 하는구나. 그렇게 유명해진 뮤지컬 덕에 원작 소설도 끊임없이 출간되고 있는 것 아닌가
싶구나.
…
아빠도 어린 시절 읽어보긴 했지만,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싶었어. 얼마 전에 <프랑켄슈타인>을
읽었잖아. 그런데 문득 이 소설이 연상되더구나. 그래서 읽고
싶은 마음을 좀 더 키워서 이번에 <지킬박사와 하이드>을
읽게 된 것이란다. 예전에 아빠가 초등학교 때 읽었을 때 소설의 제목은 ‘하이드’가 아니고 ‘하이드
씨’였던 것 같은데, 지금은 그냥 ‘하이드’더구나.
…
지은이는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소설이 유명해서 지은이는 누구였는지 잘 기억나지 않았는데,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이라는 사람이었구나. 그런데 왜 이렇게 이름이
낯익지? 책 뒤편의 작가 소개를 읽어봤는데, 아니, 이럴 수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바로 <보물섬>을 지은 그 사람이었던 거야. 얼마 전에 너희들도 <보물섬>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잖니… 오호, 신기하구나. 너희들에게 당장 이야기해주었잖아. 아빠가 지금 읽고 있는 소설을
쓴 사람이 누구인지 아니? ㅎㅎ 바로 너희들이 얼마 전에 읽은
<보물섬>의 지은이야… 그 사실을
안 너희들도 덩달아 좋아하고.. 별 것 아니지만, 몰랐던
사실을 하나 알게 된 기쁨에 작은 행복감마저 느껴지더구나.
.
1.
자, 그럼 이 책에서 나온 이야기들을 해줄게. 이
책의 제목이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지만, <지킬박사와 하이드>만 있는 것은 아니고, 지은이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중단편을 엮은 책이란다. 그래서
몇 편의 소설들이 있는데, 그 중에 몇 개 이야기해줄게.
처음은 당연히 <지킬박사와 하이드> 변호사
어터슨은 사촌 엔필드로부터 경험담을 하나 들었어. 어떤 밤에 아이를 짓밟는 나쁜 행동을 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의 모습이 혐오스럽게 생긴 사람이라면서 그 사람의 이름이 하이드라고 했어. 어터슨은 하이드를 본 적은 없지만, 그 이름은 잘 알고 있어서 놀랐어. 왜냐하면 어터슨의 오랜 친구이자 고객인 헨리 지킬 박사의 유언장에 그 이름이 적혀 있었거든. 헨리 지킬의 유언장에 따르면 자신이 죽거나 실종이 되면 자신의 모든 재산을 하이드에게 주라고 했어.
사촌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어터슨은 지킬의 유언장을 믿을 수 없었어. 더욱이 최근에 지킬의
행동이 좀 이상했거든.. 그리고 사람들과 만남을 피하고 은둔의 생활을 이어와서 더 이상했지. 어터슨은 또 다른 친구 래니언 박사를 찾아가 지킬에 대해 물어보니, 만난
지 오래되었다고 했어. 그렇게 걱정을 하고 있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지킬이 활기를 되찾고 옛모습을 되찾은
듯 했어.
…
그런데 어떤 유명한 하원 의원이 죽은 사고가 일어났어. 그 범인은 바로 하이드였어. 이 사건이 일어난 이후 지킬은 또 다시 실험실에 은둔 생활을 시작했어. 어터슨은
다시 걱정을 했는데, 어느날 지킬의 하인 풀의 연락을 받고 그의 집으로 갔어. 실험실에서 나오지도 않고 약품들을 사오라고만 시킨다는 거야. 그리고
목소리가 지킬 박사의 목소리가 아니라는 것이지. 어터슨이 와서 들어보니 목소리는 분명 전에 들어 본
적이 있는 하이드의 목소리였어. 하이드가 지킬을 죽였다고 확신했어. 무서웠지만
어터슨과 모여있던 사람들은 합심해서 문을 밀치고 지킬의 실험실에 들어갔어.
지킬은 없었어. 하이드만 쓰러져서 죽은 듯 했어. 지킬이
그 자리에 없다는 이야기를 아직 살아 있을 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이 있었어. 그런데 그 실험실에는 지킬이
쓴 장문의 편지가 있었단다. 편지의 내용은 충격적이었어. 지킬
박사는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다가 자신의 또 다른 모습으로 변신을 하는 약을 만들게 되었다고 했어. 그래서
하이드로 변신을 한 것이지. 지킬 박사는 명망 있고, 존경
받는 사람이었어. 그만큼 어쩌면 남의 시선을 의식하면 점잖게 살아야 했지. 하지만, 하이드로 변신을 하면 악행도 마음대로 저지를 수 있는, 어떤 면에서 보면 자유를 누렸어. 어떤 나쁜 짓을 해도 다시 약을
먹고 지킬의 모습으로 돌아오면 되니까…
그런데 어느날 잠에서 깨어났는데, 약을 먹지 않았는데도 하이드로 변하게 된 자신을 보았지. 당황했을 거야. 다시 약을 먹고 지킬 박사의 모습으로 변신했어. 그리고 한 동안 지킬 박사는 하이드로 변신하지 않았어. 다시 지킬
박사로 돌아올 수 없을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지. 하지만 욕망은 그를 움직였단다. 다시 하이드로 변신했어. 심지어 사람까지 죽였어. 그리고 이젠 약을 먹지 않고 있어도 툭하면 하이드로 변했어. 그래서
다시 지킬로 바꾸려고 약을 먹고, 하지만 또 얼마 안 있으면 또 하이드로 변했어. 그리고 이젠 약도 들지 않았어. 예전에 만들었던 약을 다시 만들려고
했지만, 소용없었지. 실험실에 하이드의 모습으로 숨어 지내던
지킬이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은 죽음뿐이었단다.
여기까지가 지킬박사와 하이드의 이야기란다. 인간은 누구나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 것 같구나. 그리고 이중성 중에 하나는 겉으로 잘 나타내지 않고 말이야. 겉으로
보여주지 않는 그 모습의 이름은 욕망인가? 그 욕망을 참으며 사는 것이 또 사람인 것 같구나. 가끔 유명 연예인들의 마약 사건이 터지는데, 그들에게 마약은 혹시
하이드로 변하게 했던 약물은 아니었나 싶구나.
.
2.
두 번째 소개된 <시체도둑>은 실제 있었던
일을 모티브로 삼았다고 하는구나. 전직 의사였지만 지금은 시골에서 술꾼으로 살아가고 있는 페츠. 그 시골에 온 옛 동료 맥팔레인을 만나는데 분위기가 이상했어. 페츠의
친구들은 그들의 관계를 추측해 보았어. 페츠와 맥팔레인은 의사 초년생일 때 그들의 스승(유명한 사람)의 심부름을 도맡았어.
해부 실험으로 쓸 시체를 몰래 거래하는 일이었어. 그런데 어느날 페츠가 알고 있던 사람이
시신을 온 것을 보고 깜짝 놀랐어. 며칠 전만 해도 건강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페츠는 이 시신들이 어떻게 오는지 궁금했고, 이 일에 대해 신고를
해보려고 했지만, 이미 빠져나올 수 없는 길에 들어선 거야. 어떤
날은 맥팔레인을 괴롭혔던 사람이 시신으로 왔어. 페츠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짐작이 갔지만 아무 질문도
할 수 없었단다. 나중에는 그들의 스승이 묘지에 있는 시신까지 가져오라고 시켰단다. 페츠와 맥팔레인은 두려웠지만 어쩔 수 없었어. 그들은 비가 쏟아지는
짙은 밤에 찾아가서 이제 막 장례식장을 마친 묘지를 파내서 시신을 가지고 왔어. 그런데 시신을 확인해보니, 얼마 전에 이미 시신을 해부까지 했던 맥팔레인을 괴롭혔다가 죽은 바로 그 사람이었던 것이야. 이 일인 있고 페츠는 의사를 그만두고 시골에 살게 된 것이고, 맥팔레인은
계속 의사일을 해서 성공을 거두었다는 이야기였어. 아빠가 줄거리를 제대로 기억하고 쓴 것인지 솔직히
잘 모르겠지만, 대충 이런 이야기였단다.
….
또 하나 <오랄라>라는 소설도 괜찮았어.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소재가 조금 식상하긴 했지만, 당대에는 호기심
가는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단다. 부상당한 장교가 의사의 조언으로 시골의 어떤 집에 요양을
가기로 했어. 그 집은 중년의 안주인과 아들 펠레페와 딸 오랄라가 있었어. 시골집의 안주인은 하루종일 의자에 앉아 졸기나 하는 그런 사람이었고, 아들
펠리페는 약간 덜 떨어진 사람이었어. 그에 반에 딸 오랄라는 지성과 미모를 고루 갖춘 사람 이었단다. 장교도 딸 오랄라를 한 눈에 반했어. 그래서 딸 오랄라와 썸씽이
이루어지고, 오랄라는 어떤 이유에 의해서인지 피하게 되고... 뭐
그렇고 그런 이야기란다. 이런 스토리는 영화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어.
그래서 아빠가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소재가 조금 식상하다고 한 것이란다. 그래도 이 이야기도
나름 재미있었단다.
….
이렇게 세편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었는데, 아빠가 나이를 먹으면서 점점 책을 덮고 난 후 기억이
사라지는 속도가 점점 빨리지는 것 같구나. 메모를 해놓지 않으면 줄거리가 가물가물하구나. 앞으로 메모를 잘 해놓던지, 아니면 일고 바로 너희들에게 이야기를
하던지 해야겠구나. 오늘은 여기까지 할게.
PS:
책의 첫 문장 : 어터슨 변호사는 무뚝뚝하게 생긴 사람으로 밝게 미소 짓는 법이 없었다.
책의 끝 문장 : 윤리적인 편협함 따위도 결코 없었고, 삶의
더 큰 제약들을 말하는 대신 그저 넌지시 알리거나 우리가 시간과 공간의 아라베스크에서 감지하는 것 같은 그런 종류의 느낌을 전달했다.
"설명하기가 쉽지 않아요. 외모를 보면 뭔가 정상이 아닙니다. 뭔가 불쾌하고 뭔가 아주 혐오스러워요. 이렇게 싫다는 느낌을 받은 사람은 정말 처음이었는데 그 이유를 딱히 알 수가 없어요. 어딘가 기형인 게 분명해요. 어디라고 꼬집어 얘기할 순 없지만 하여튼 기형의 분위기가 강하게 납니다. 정말 특이하게 생긴 사람인데 저로서는 도저히 묘사할 수가 없네요. 그래요, 할 수가 없어요. 설명이 안 되네요. 기억을 못 하는 건 아니에요. 지금도 눈 앞에 생생히 떠오르거든요." - P35
그 진실이란, 인간은 진정 하나가 아니라 둘이라는 것이다. 내가 둘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내 지식이 그 이상으로는 나아가지 못했기 대문이다. 같은 선상에서 혹자는 나를 뒤따를 것이고, 혹자는 나를 앞질러 나갈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되면 내가 감히 추측건대 인간은 결국 여러 개의 모순되면서도 각기 독립적인 인자들이 모인 집합체에 불과하다는 것이 알려지게 될 것이다. 내 경우, 내 삶의 본성이 한 방향으로만, 오직 한 방향으로만 절대적으로 전진했다. 그것은 도덕적 측면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나는 나란 인간 속에서 철저하고 근본적인 인간의 이중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내 의식 속에는 서로 갈등하고 있는 두 개의 본성이 있으며, 비록 내가 그중 어느 한쪽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하더라도, 그것은 근본적으로 내가 양쪽 모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찍이 애 과학적 발전의 경로를 통해 두 본성을 분리하는 기적이 정말로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기 전에도 나는 그러한 몽상을 즐기곤 했었다. - P106
그러나 나는 지금 고백함에 있어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이런 과학적 부분은 자세히 언급하지 않고자 한다. 첫째는, 우리 인간은 인생의 불운과 고난을 영원히 어깨에 짊어지고 가야 한다는 것, 그 짐을 던져버리려고 시도하면 그것이 더욱 낯설고 더욱 끔찍한 무게로 되돌아와 우리를 짓누른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둘째는, 불행히도, 내 이야기를 들으면 자명해지겠지만, 그 발견이 결국 불완전했기 때문이다. 그 당시에는 자연적 육체에서 정신을 구성하는 어떤 힘이 발산되어 빛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뿐 아니라 그 힘의 주도권을 빼앗은 후 제2의 형태와 모습으로 대체하는 약을 제조할 수 있었으니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그 제2의 형태라는 것 또한 내 영혼의 근저에 있는 요소들을 표현하고 그 특징을 갖추고 있는 것이었기에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 P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