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논쟁! 철학 배틀
하타케야마 소우 지음, 이와모토 다쓰로 그림, 김경원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아빠에게 철학이란 다가가고 싶지만, 받아주지 않는 영역이란다. 철학이란 무엇일까? 아빠가 생각하는 철학이란, 사람에 과한 어떤 질문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는 것 정도로 이해하고 있어. 이 책은 철학이 무엇인지 간단히 정의 내리고 시작한단다. 어떤 주장에 대한 근거를 생각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일그리고왜 그럴까?’라는 묻는 대화라고 했어.

==================================

(5)

한마디로 철학이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어떤 주장에 대한 근거를 생각하거나 가치를 판단하고 음미하는 작업입니다. 가치나 본질에 대해왜 그럴까?’를 묻는대화입니다. 아주 쉽지 않나요? 철학은 바로 음미와 대화라는 행위 그 자체입니다.

==================================        

고대 그리스 사회는 타인과 대화를 많이 하곤 했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철학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했어. 이 책의 지은이는 일본의 유명한 학원 강사라고 하는구나. 대학에서는 철학을 전공하고 학원에서 윤리와 정치경제 담당을 하고 있대. 유명한 학원 강사이니 말을 재미있게 잘 하겠지? 그런 실력을 바탕으로 이 책을 쓰지 않았나 싶구나.

앞서 이야기했듯이 다른 사람과 한가지 주제를 가지고 대화하는 것도 철학이라고 했잖아. 즉 토론도 그런 것에 해당해. 이 책은 역사 속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가상 토론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단다. 주제는 모두 15가지이고, 각각의 주제는 사람마다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는 주제들이야. 그래서 각 철학자들은 논리적인 의견으로 각 주제에 대해 찬반으로 나뉘어 토론을 하게 된단다. 물론 소환된 철학자들은 그들이 생전에 주장했던 사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이야.

이 책을 읽는 이들은, 책 속의 토론을 보면서 각각의 철학자들이 어떤 주장들을 해왔는지 알게 된단다. 그래서 뒤로 갈수록 앞서 나왔던 철학자들이 다시 등장하게 되면 그 철학자는 어떻게 이야기할 것 같다고 예상도 할 수 있게 된단다. 그리고 책을 덮고 나면 관심이 가는 철학자가 생길 수도 있지. 그러면 그 철학자에 좀더 깊게 읽고 싶다면, 그 철학자가 쓴 책들이나 그 철학자에 관한 책들을 읽어보는 단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 같구나.

앞서 이야기했듯이 이 책에는 15개의 질문을 던지고, 상반된 두 개의 그룹의 철학자들의 토론을 하는 거야. 이쪽 사람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쪽 사람 이야기가 맞는 것 같고, 저쪽 사람 이야기를 들어보면 저쪽 사람 이야기가 맞는 것 같더구나. 그리고 각 토론을 읽기 전에 그 질문에 대해 아빠도 생각해 본단다. 아빠는 그 질문에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이야. 그리고 토론을 읽어본 다음에 아빠의 생각이 바뀐 경우가 있었을까? 없더구나. 아빠도 이제 나이를 먹어 생각의 유연성이 없어진 것인지, 오랜 시간 만들어진 생각이 잘 바뀌어지지 않는 나이가 된 것인지그렇지만, 상대방의 생각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나의 생각과 다를 뿐이라는 것은 아빠도 잘 알고 있어그럼, 됐지..

 

1.

그럼, 이 책에서 던진 15개의 질문 중에서 몇몇을 뽑아서 같이 이야기해보자꾸나. 15개를 모두 이야기했으면 좋겠지만, 시간이 너무 걸릴 것 같구나. 그래서 몇 개만 이야기 해보자꾸나. 각각의 질문에 대해서 철학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알아보고 말이야.

먼저 빈부의 격차에 대한 생각이야.. 빈부의 격차를 용인해야 하는가, 아니면 조절을 해서 격차를 줄여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야. 지구 상의 상위 20%의 사람들이 세계 부의 80%를 차지하고 있대. 우리나라도 신자유주의 경제의 영향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빈부의 격차가 커지고 있어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폴리스적 동물이라고 주장으로 했고,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 다르게 배분되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고 했어. 애덤 스미스도 비슷한 입장을 보였는데, 그는 보이지 않는 손을 주장하면서 정부의 개입을 반대했던 사람이란다. 즉 개인적인 격차는 인정을 했고, 그런 개인들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전체 이익이 된다고 주장했어. 아리스토텔레스와 애덤 스미스와 달리, 마르크스와 롤스는 빈부의 격차는 강제로라도 조절해야 한다고 생각했어. 마르크스는 빈부의 격차가 차이 나는 이유는 자본가가 노동자의 잉여가치를 수탈하기 때문이라고 했어. 그래서 빈부의 격차의 원인인 자본주주의가 붕괴되고 공산주의가 생겨나야 한다고 주장했어. 존 롤스라는 사람은무지의 베일이라는 말을 만들어냈어. 무지의 베일은 자연적, 사회적 환경을 배제하고 보는 관점으로 공정함을 정의하는 것인데, 그가 이야기하는 공정함은정치적 평등, 사회 경제적 평동을 주장했는데,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불평등한 사회에서 태어나기 때문에 올바른 경쟁을 할 수 없다고 했단다. 그래서 빈부의 격차는 사회 문제로 보고 접근해야 한다고 했어. 아빠는 어느 정도 사람에 따른 빈부의 격차가 생길 수 있지만, 극심한 빈부의 격차는 조절을 해야 한다는 생각한단다.

.

다음 주제는 살인은 절대악인가라는 질문이야. 당연히 사람을 죽이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어떤 사람은 어쩔 수 없는 살인도 있다면 반론을 하는 이도 있단다. 제레미 반담과 모리 오가이가가 그런 사람들이야. 옛날에 미뇨네트 호 사건이 있었대. 미뇨네트 호라는 배에서 조난을 당한 다섯 명이 있었는데, 그 중에 네 명이 한 명을 죽이고 그 시체를 먹으면 살아남아서 결국 구조되어 귀환한 사건이었대. 그렇게 한 사람을 죽이지 않았다면 모두 죽었을 것이라서 했어. 그렇다면 그들의 살인은 정당한가? 아빠는 그 엽기적인 사건을 보고 있을 수 없는 죄라고 생각했어. 그런데 제레미 벤담은 사회 전체의 쾌락을 중심으로 봤단다. 그가 주장한 유명한 것 중에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란 것이 있단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해서라면 소수의 희생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어. 그러니까 미뇨네트 호 사건도 그냥 있었으면 다섯 명 모두 죽었고, 한 명이 희생하면서 네 명이 살아남았기 때문에 그 살인을 최대 다수를 위한 어쩔 수 없는 희생이라고 주장했어. 그에 반해 칸트는 인간의 존엄성을 중요하게 생각했어. 그래서 그 어떤 살인도 용납할 수 없다고 했어.. 살인 그 자체가 인간의 존엄성을 박탈하는 것이기 때문이야. 살인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일종의 정언명령이라고 했어. 정언명령이란 어떤 이유도 붙일 수 없는 절대적인 명령이라는 뜻이야. 이런 명령을 따르는 것은 의무의 윤리하고 했어. 루스라는 사람도 비슷한 주장을 했는데, 인간은 자기애와 연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살인은 안 된다고 했어. 여기서 연민이란 타자를 향한 자기애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타인에 대한 배려를 이야기하는 것이야.

.

얼마 전에 아빠가 일본 소설 <고백>을 읽었잖아. 그 소설에서 다루었던 내용 중에 하나가 소년법이라는 것이었어. 어린 아이들의 범죄에 대해서 용서를 해주는 것이야. 이것은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여러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도인데, 그 찬반 논란은 여전한데, 이 책에서도 그 주제를 다뤘단다. 어린 아이들의 범죄로 마찬가지로 엄벌을 주어야 한다는 의견과 지금처럼 소년법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토론을 했어. 아리스토텔레스는 엄벌을 주장하면서, 손해를 입게 되면 나이를 불문하고 그만큼 손해를 안겨주어야 한다고 주장했어. 형벌로 사회를 조정하고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생각했어. 하지만 존 스튜어트 밀은 양심의 가책이라는 내적 제재가 사회 질서 유지에 중요하다고 했어. 형벌도 결국은 인간을 교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년법으로 조절해야 하는 거야. 공자는 소년의 죄는 소년 자신 뿐만 아니라 가정, 사회, 정치에 문제가 있다고 보았어. 그렇게 때문에 어린 아이들의 죄는 엄벌을 주면 안 된다고 했어.

.

성선설과 성악설아빠가 어렸을 때 맹자는 성선설, 순자는 성악설을 주장했다고 외우곤 했어. 성선설은 착하게 태어나는 것이고, 성악설은 악하게 태어나서 나중에 착함을 배우게 된다고 것이야. 아기의 모습에서 악함을 본 순자가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아빠도 여전히 그렇게 생각하고 있단다. 순자는 인간은 교육에 의해 선행을 하는 것이지, 순자와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던 서양의 철학자가 있었어. 토머스 홉스는 자기 보존을 전제로 하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사회 정치는 상호 투쟁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했단다. 이와 반하여, 맹자는 인간은 태어나면서 사랑을 갖고 태어난다고 했어. 그래서 불행은 못 본 체 할 수 없다고 했어. 루소는 인간의 본성이 선해서 서로 도우면서 사회를 존속해 왔다면서 맹자와 비슷한 주장을 했단다. 아빠는 아무리 생각해도 어린 아이들에게서 악을 찾아낼 수 없더구나.

.

전쟁은 절대악인가? 라는 주제를 이야기했는데, 여기에 절대악이 아니고 어쩔 수 없는 전쟁이 있다고 하는 철학자들도 있어. 앞서 살인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도 나왔던 제레미 벤담이 나올 줄 알았어. 그가 주장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해서라면 어쩔 수 없는 살인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듯이 어쩔 수 없는 전쟁도 있을 수 있다고 주장을 했어. 책상머리에 앉아서 참 편하게 생각하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구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안에 이런 그의 생각들이 있었다니, 놀랍더구나. 아빠는 지금까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고 해서 적절한 분배와 보편적 복지를 주장하는 것인 줄 알았는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살인과 전쟁이라는 수단도 필요하다면 어쩔 수 없다는 주장이 들어있다니 말이야홉스라는 사람은 좀 다른 이유를 전쟁이 있을 수 있다고 했어. 자연권, 즉 자기 보존을 위한 전쟁은 용인할 수 있다는 것이었어. 살인에 관한 토론에서 어떠한 이유를 들어서라도 살인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한 칸트와 루소는 비슷한 이유로 어떠한 전쟁도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단다. 그래, 넓게 보면 전쟁도 살인행위에 포함되는 것이니까 말이야.

신은 존재하는가? 이 토론에서는 신이 죽었다고 주장한 니체의 등장할 것을 누구나 의심치 않았을 거야.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학자였으나, 공부를 하면 할수록 기독교의 가치가 허상이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그 생각의 끝에 신은 죽었다고 이야기를 하였단다. 그리고 신에 의지하지 말아야 인간이 더 강해질 수 있다고 이야기했대. 그리고 루트비히 포이어 바흐라는 사람은 헤겔의 제자였으나, 헤겔과 결별을 하게 된 이후 유물론을 주장하면서 신의 존재를 부정했다고 하는구나. 이와 반대로 인간의 나약함을 인정하고 인간의 지혜를 뛰어넘는 근원적 존재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신의 존재를 믿는 이가 있었으니, 종교개혁으로 유명한 칼뱅이라는 사람이었단다. 그리고 야스퍼스라는 사람은, 인간이 한계상황에 다다르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신을 찾게 되는 것을 보고 신은 있다고 주장하였다고 하는구나. 과연 신이 있을까? 없을까?

.

이 정도로 몇 가지 토론 주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단다. 이 책에는 15가지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했지만, 토론 주제는 찾으라고 하면 더 많은 토론 거리를 찾을 수 있을 거야. 그리고 그 주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펼칠 수도 있고 말이야. 아빠가 곰곰이 생각해 보니 너희들과도 어떤 주제를 놓고 토론을 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요즘 너희들이 빠져 있는 어벤져스의 주인공들에 관한 토론도 좋을 것 같고..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에 대한 토론도 좋을 것 같고.. 우리나라는 학교 교육 과정에서 토론 문화가 많이 부족한 것 같아.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아빠가 학교 다닐 때를 생각해 보면 어떤 회의를 하더라도 한 명이 앞에 나와서 회의를 진행한 게 전부였던 것 같거든토론식의 회의 진행을 해보는 것도 나쁠 것 같지 않은데 말이야

 

 

PS:

책의 첫 문장 : 에헴, 난 의장을 맡은 소크라테스라고 하네.

책의 끝 문장 : 지혜를 사랑하는 분들, 아무쪼록 행복한 삶을 살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