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에서 다른 아이들은 모두 떠드는데 혼자 가만있는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자, 페미니즘을 상상하다
김세서리아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은 너무 서구적이야. 우리가 살고 있는 여기는 한국이고. 라는 말을 들었다.  

     나는 아직 페미니즘에 대해 거의 모르지만, 그 신선함에 살짝 젖어있는 상태였다.  그럴 때 들은 말은, 마치 내 생각이  

     아니라 '나'를 비난하는 것처럼 들려서 기분이 안 좋았던 게 사실이다. 내가 잘못 생각한 걸까 이런 생각이 들 무렵, 

     활동하고 있는 모임에서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난 이 책이라면 유교 나라인 우리나라에서 페미니즘이  

     어떻게 나아갈 수 있을 것인가 알려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다.  

 

         다 읽고 난 지금 공자와 페미니즘은 제대로 융화될 수 있지 않을 것 같다. 갈 길이 험난하다. 란 생각이 들어 머릿속 

     이 복잡하다. 1부와 2부에서까지는 어느 정도 조화가 가능하겠구나 싶었는데 3부에 가니 '이건 작가도 힘들어서 그냥 포 

     기해버린 건가'라는 느낌이 들었다.(제가 잘못 이해한 것일 수도)  전체적으로 보자면, 유교 사회의 이상사회인 '대동사 

     회'는 '크게 하나인 사회'이다. 오늘날 중요시되는, 그리고 서구에서 중요시되는 '개인'을 중요시하기 보다는 '공동체'를  

    중요시하는 것이 대동사회로 보인다. 따라서 여성주의의 가장 큰 장점인 차이를 이해하려고 함/ 소수자에 대한 인권 주 

    장/여성의 자아 실현 등은 순수한 유교적 유토피아인 대동사회에서는 실현되기 어렵게 보인다. 저자가 많은 분량을 할애 

    해 강조하듯이 '동일성'을 강조하다보면, 억압받는 사람들의 차이점과 잘못된 점이 무시되고, 없는 것처럼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내가 페미니즘에 대한 책을 읽다 제일 놀란 거는, 아마 내가 아는 모든 단체들 중에 소수자에 대한 인권보호, 권리 

      를 장하는 것 같아 보였단 점이다. 동성애자,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페미니즘은 모두 포용하려는 것처럼 보였다. 그 

      것 버거울 수도, 어쩌면 누구는 주제 넘는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나는 이런 소수자에 대한 의견을 열어놓았다는 점에 

      서  페미니즘이 장점을 지닌다고 본다. 그런데, 이런 장점들이 대동사회에 간다면 모두 사라져야 하나해서 걱정이다. 

      그리고 이제 공동체에 전적으로 헌신하기보다는 개인의 가치가 중시되는 우리사회에서 대동사회를 주장하는 것이 어쩌 

      면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는 사상이 아닌가 싶기도 했다. 

           물론, 저자는 유교와 페미니즘이 꼭 융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아니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은 이 둘의 만남이  

      허접해지지 않도록 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둘을 한 책에 같이 놓는다는게 위험해보인다고 인정하고 있다. 나는 저자의 

      시도는 가치있고, 앞으로 더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본다. 나 역시 살아가면서 유교와 페미니즘의 가치가 충돌하는 걸 

      당할 수 밖에 없을 거다.  

 

           이 책에서 아쉬운 점을 이야기하자면 책이 유교와 페미니즘의 입장을 각각 들어보고 조화를 모색하려 했지만 뒷부 

     분로 갈수록 이론적 부분에 치중하는 모습이 보였다는 점이다. 또, '보살핌'이란 주제를 예로 들어보면, 이 주제에서 

     도 핌의 전통적 개념과 어떻게 현대적으로 변모해야 하는지 말로만 설명한 느낌이다. 다른 부분에서도 이런 느낌 

     은 지우기 힘들다. 저자가 논쟁을 끝까지 밀어붙이지 않고 조화를 꾀한것 같기도 하고, 그게 이 책이 '학문적/이론적'으 

     로 접근려는 점때문에 가진 한계일지도 모른다. 다만, 이 책이 너무 이론쪽으로 치중된 것 같아서 아쉬웠고, 조화점 또 

     한 (분에 넘은 말이지만 어떻게 보면) 누구나 조금만 생각하면 낼 수 있는 주장이라는 점이 아쉬웠다. 책에 실제 생활과  

    관련된 이야기/ 문제점을 더 많이 넣었다면 더 좋은 책이 되었을 거란 생각을 한다. 동양철학을 잘  모르는 내가 제대로  

    못  읽어서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 같기도 하다. 페미니즘을 공부하고 관심있는 분들이 읽어본다면 좋을거라 본다. 아마 

    내가 읽지 못한 것들을 읽어낼 수 있으실 거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음 이 책을 본 건 '자유'라는 주제로 독서모임 때 읽을 책을 고르다가 '자유'란 글자만  들어가면 책을 모조리 쓸어모으고  

 있을때였다. 그러다 아는 분이 이 책을 들고 온 걸 보고 와! 했더니, 이 분이 얼마 뒤에 빌려주셨다.(나도 이런 사람이 되고  

싶다. 빌려줄 수 있는)  감사한 마음으로 책을 넘기기 시작했는데, 오랜만에 접한 사회과학서라 (비록 '에세이'란 타이틀을  

고 나왔긴하지만...저에겐) 그 특유의 스타일에 적응하기 힘들었다.  

 

 이 글이 리뷰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당연히 한 가지. 리뷰를 쓸만큼 책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저 한번 훑어본 것에 

 불과하기에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꼭 다시 보고 싶다. 이 책은 1967년에 나온 거라고 하는데, 지금 읽어도 신선한데 

 그 당시에는 어땠을지 상상이 가지 않는다.  자살자의 심정을 자살자의 내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라고 한다. 

 이 책을 읽고나니, 자살한 분들에게 '무조건 살아야 해'라는 말이 어쩌면 그들에게 폭력적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그래도 작가의 생각에 100퍼센트 긍정할 수도 없다. 내가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그런 것일 수도 있어 더 이상의  

 말은 알지도 못하면서 떠드는 것 같아 그만해야 겠다.  

 

  '자살'에 대한 생각. 이 책이 독일이나 유럽권에서는 얼마나 유명한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는 그다지 유명한 거 같지  

  않다. 아마도 작가의 생각이 위험할 수도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자살심리상담자들은 이 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다. 자살자에 대한 개인의 생각은 대체로 심리학자들에 의해 규정되는 게 대부분이라, 그들의 의견이 바뀌지 않는  

  한, 대다수의 의견 또한 바뀌지 않을 것이란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런 책을 접할 수 있게 해준, 산책자 에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아아아아앙  한 2주동안은 우울해서, 리뷰를 쓰고 싶은 책을 읽지못해서  

          리뷰를 쓰지 못하고(?) 안쓰고 있었는데 내가 리뷰 쓴지 이제 1주일도 넘었는데 사람들이 왜 들어오는지  모르겠다. 

       아아아아앙아아아 이번 달 목표는 지난 달 방문자수 넘기기였는데, 이미 달성되어서 .. 뭔가 이상하다. 

       난 아무것도 한 게 없는데 이상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스플라이스 - Splic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 영화를 꼭 보고 싶었고, 봤다. 

    보고 난 다음에 '내가 이 영화를 꼭 보고 싶어했을까?' 생각해보았다.  

    나는 인간과 다른 생명체, 그것도 인간이 직접 '만들어낸' 생명체가 어떻게 살 것인지, 미래에는 어떤  

     조합이 가능할지에 대해 '눈으로' 보고 싶었다. 게다가 신문에서 이 감독이 과학자들에게 시나리오 검토를  

     받았는데 "충분히 현실가능성이 있다"라고 해서 더 보고 싶어졌었다. 

 

      우선, 모든 종들의 특성에서 알맞은 걸 골라내 인간의 유전자와 결합한 점이 놀라웠다. 이렇게 탄생한 '드렌'의  

    성장과정을 영상으로( 비록 상상의 결과물이라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또, '드렌'과 같은 신생명체가 탄생할 경우 인간은 그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었다. 

    드렌을 만든 여자과학자인 엘사는 드렌을 딸처럼, 인간처럼 대한다. 반면, 남자과학자인 클리브는 드렌을 '실험물'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드렌과 엘사/클리브의 대결구도로 그들은 드렌을 '괴물'로 취급하게  

    되기에 이르지만 말이다.  

 

       어떤 이야기를 다 하더라도 아마 이 영화에서 가장 논란 거리가 되는 부분은 '드렌과 클리브/엘사와의 성교'일 것이다. 

     영화가 다 끝난뒤, 어떤 사람은 '더럽다' '막장이다' '쓰레기다' '불쾌하다'라고 했다. 나도 이 부분에 대해선 어느정도는  

     공감하지만, 그게 이 영화가 평가받아야 할 단 한가지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클리브와 드렌이 갑자기 사랑(?)을 나 

     누게 되는 이유는 클리브가 말했듯 '모르겠다'  엘사의 유전자가 드렌에게 섞여 있어서인지 아니면 클리브가 갑자기 드 

     렌에게 끌렸는지 말이다. 이 일이 있기 전까지 엘사는 드렌에게 절대적으로 잘해주었지만, 이제 엘사와 클리브는 자신들 

     이  이미  정해진 선을 넘었다며 드렌을 처치하려 한다.  

 

       영화 후반부에 드렌은 여성이 아닌, 남성 생명체로 바뀌었고 인간과 싸우 중간에 엘사를 강간한다. 난 처음에 드렌 

     이 클리브를 좋아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남성 생명체로 바뀌고 난 뒤에는 여성인 엘사를 강간하는 것을 보고 그게 어쩌 

     면  '좋아하는 감정'일 수도 있지만, 그저 종족 번식을 하거나 아니면 어렸을 때 보았던 엘사와 클리브의 성관계 장면을  

     보고 자기도 해보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리고 인간의 호기심상 이런 결합이 아예 불가능할 거라 보지 않는 

     다.

   

       뭐 이런점을 감안하더라도 인간과 다른 종의 육체적 결합은 충격적인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 결과가 그 '드렌'이라는  

    생명체에 있을까 싶다. 드렌에게 그런 것이 '가능하다'라고 알려준 것이 더 위험한 게 아닐까 싶다. 영화에서 드렌은 인간 

    처럼 길러지고, 영어를 배우며, 옷을 입는다. 그 점과 드렌의 외모를 인간과  유사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 

    는 것 같다. 드렌이 예뻐지고 싶어했던 것처럼, 드렌은 자신이 인간인지 제3의 생명체인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잘 몰 

    랐던 것 같다. 과학자들 또한 마찬가지이고 말이다. 이런 고민은, 예전의 A.I.라는 영화에서도 하게 했던 것 같은데, 이 영 

    화는 더 현실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만든 것 같다.  또한, 일단 생명체가 창조했다면 그  생명체에 대한 생명권이 그걸 만 

    든 인간에게 있지 아니면 그 생명체 자신에게 있는지도 생각해 볼 문제로 던져주었다.

 

      내가 드렌과 두 남녀 과학자의 결합보다 더 놀랬던 사실은 엘사가 드렌과의 아이(?)를 낳으려고 하기로 했다는 점이다. 

    그녀가 영화에서도 "이미 갈 데까지 갔다"고 했지만, 영화 후의 영화속 그녀는 아마 '너무 멀리' 간 게 아닌가 싶다. 남자  

    과학자의 캐릭터가 좀 더 온화하고, 도덕적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다리자는 입장인데, 엘사는 도덕적인 문제는 항상  

    존재하니까 일단 과학의 진보를 쟁취하고 나중에 생각하자는 캐릭터를 대변했다. 내가 일반인이어도 참 흥미로운 주제인 

    데 과학자 특히 유전쪽 과학자라면 얼마나 흥미롭고 살떨리는 주제일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