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chapter1과 chapter 2로 나뉜다.

 

 1에 나오는 통역, 공무원과 2에 나온은 통역, 감 농사 청년을 같은 배우가 연기한다.

 

 1의 이야기는 영화 감독이 구상을 하러 일본 고조 시에 가서 공무원에게 고조 시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듣는 것이다. 그때 공무원이 통역하는 여자분에게 예전에 안내해 준 분과 닮았다면서 잠깐

 

말을 하는데 이게 2와 이어지는 듯 했다.

 

2에서는 고조?에 놀러 온 한국인 여자와 그녀를 관광안내소에서 본 감 농사짓는 청년의 만남을 그린다.

 

 첫눈에 여자에 반한 남자가 말을 걸고, 안내해 주겠다면서 여기저기 같이 다닌다.

 

여행지에서 상상하는 로맨스를 그린 것인데, 담백하게 표현한 것 같다.

 

 아쉬운 건, 여자가 남자친구가 있어서 둘이 이어지지 못한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안 읽은지 오래되었다. 취업준비를 한다고, 출판사가 날 좋아해주지 않는 것 같아

출판사에 들어갈 실력은 안되는 게 명백한 것 같아

어떻게 저렇게 책을 안 읽게 되었다. 그래도 서점은 들리면서 신간은 훑어보고 그랬는데, 얼마 전에는

책이 너무 사고 싶었다. 읽고 싶었다-기보다는 책을 사는 행위를 하고 싶었다.

 

그래서 살 책을 둘러보는데, 왠걸. 막상 사려고 하니까 무슨 책을 살지 모르겠는 거였다.

예전에는 사고싶은 책이 수두룩했는데. 그래서 좀 슬펐다.

왜 책을 평소에 안 읽는 사람들이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는 게 이해가 되었다.

 

엄두가 안나서, 무슨 책을 읽어야 좋은지 몰라서, 저 책은 돈 주고 사기는 좀 그런 거 같고. 근데 읽고 싶고.

근데 또 아닌거 같고. 그러다 다음 번에 사야지 하고 점점 책 고르기 힘들어지고, 안 읽게 되는 거 같다.

내가 딱 그러니까.

 

인터넷 서핑만 하고, 읽는 글이라고는 신문밖에 없으니까. 점점 글 읽는 게 힘들어지는 거 같아 걱정된다.

다시 책 읽기를 시작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주 금요일인 걸로 기억한다. 알라딘 서재 메인에 있던 어떤 분의 글을 읽었다. 대략  

       관계에서 미리 선을 긋지 말자. 마음을 열고 사람을 대하자. 란 요지의 글이었던 것 같다.  

        그 분의 말도 맞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게 쉽지 않은 거 같다. 두 사람이 만나는 과정에서도 

        상대방이 나에게 하는 태도, 눈빛, 말 등을 통해 그 사람이 나를 어느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지 느껴진다. 

        이 사람과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친구가 될 수 있을까. 나를 소중하게 생각할까. 등등  

         친한 사이라고 생각했지만, 상대방은 나만큼 나를 여기지 않는 것 같다고 느껴질 때의 기분은 정말 

          실망스럽다. 그리고 그 실망은 대개 나에 대한 자책, 의문으로 돌아온다.  

           3명인 관계는 이제 나한테 많이 익숙하지만 그래도 가끔 불편하다. 북적이는 거리에서 다같이 나란히  

           못 간다거나, 2명이 뭔가 계획하고 나중에 같이 하자고 할 때, 2명인 건 뭔가 아닌거 같아서 하게 되는 연락같은거. 

          연약하기 때문에 사람은 사람과 같이 있어야 한다는 말은 맞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하고 있는 독서모임에서 읽은 책 중, 고전 반열에 오른 책들이 있는데  

      [자유론],[자유로부터의 도피],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쉽게 풀어쓴 책, 고병권씨가 지은) 

     , [에밀]이다. 이런 책을 아주 조금 읽어보니 저자가 하는 이야기가 다 똑같은 거 같다고 느낀게 되었다. 

        편견에 휩싸이지 말고, 자기 자신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신을 성장하게 할 일을 찾고, 진정한 사랑을 해라.  

      다른 저자가 조금씩 다른 방향으로, 자신의 관점에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결론은 이거이지 않나 싶다.  

       그들은 저런, '진정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았을까 궁금하다. 책을 읽었지만, 그 길로 가는 방법은 각자가 하는  

       수밖에 없는 거 같다. 그래서 어려운 거고. 좀 삐딱하게 보자면, 너무 바른 말만 해서 '아~네~, 근데 그건 저도  

        이 책 굳이 읽지 않아도 알고 있는 거라고요.'라고 할 때도 가끔 있다. 그래서 좀 일탈의 방편으로 추리소설이나 

        소설을 읽고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 긴 기간이 드디어 끝났다. '드디어'란 말을 붙일만큼 힘들었던 건 아니고 끝난게 '아싸'라고 할 것도 아니다. 

    어찌되었든 드디어. 물론 일개 자원봉사자가 3개월 일주일에 한번씩 나간다고 축제에 대해 뭘 알겠냐만은  

     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던 건 역시 좋았고, 축제란 역시 들떠야 하는 것 같다. 나는 자원봉사자로 일하느냐  

     들뜨진 못했지만 말이다. 첫째 날은 열심히 했지만 둘째날에는 지쳐서 기운이 안 났던 것도 사실이고  

      집 늦게 가면서, 찜질방 가면서까지 정리해준 민플들도 많았지만 본인은 굳이 집에 갔다는 것도 찝찝하고.  

      그랬다. 나는 자원봉사자였지만, 직원이라면 이 이틀 간의 축제를 어떻게 볼까 생각했었다. 그 사람들한테는 이 이틀이 

      자기네 일년의 결실이고, 내년을 살아가게 할 이틀일 거다. 나는 물품보관소를 해서 현장의 직접적인 분위기는 거의  

       못 느꼈다. 아무래도 관객을 직접 응대하는 입장 동선, earth 친구들이 더 많이 느끼지 않았을까 .  

        나만해도 계속 물품보관소에 있다 잠깐 도와주러 갔었는데 정말 실감 났었다. 스태프란 옷을 입고 있기 때문에  

        질문하는 사람들. 물론 난 하나도 답변을 못해드렸지만.  

         정말 관객이 좋은거야 라고 말했던 순간, 시덥지 않은 썰렁한  그리고 저질개그를 하던 같은 팀 아이들  

          나중에 좋은 기억으로 남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