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은 동서고금의 현상이지만, 오늘날 우리가 이를 ‘빈곤‘이란개념으로 문제화하고, 이에 개입하기 위한 대상으로서 ‘빈민the poor"
을 구성하게 된 것은 근대 이후다. 유럽에서는 중세 말엽부터 화폐경제가 발달하고 인클로저로 토지를 잃은 농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들었다. 당시의 지식인들은 남루한 사람들의 무리와 그 집합적 삶의 양태를 ‘사회‘라는, 개인과 국가를 매개하는 영역으로 새롭게 포착하고, 빈곤과 빈민을 (종교적•개인적 문제가 아닌)‘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 P28

의존이 인간의 생존과 실존에 있어 고유한 양태임에도 우리는 어째서 이를 말하기 꺼리거나 특정한 상황에만 적용할까? 단도직입적으로, 빈곤은 어째서 ‘의존‘ 의존성‘ ‘의존적‘과 같은 표현들이가장 명시적인 부정성을 띤채 범람하는 현장이 되었을까?
역사적으로, 빈곤에 대한 경멸과 노동에 대한 찬양은 동전의 양면인 경우가 많았다. 가난한 사람들을 기독교적 동정의 대상으로 여겼던 중세 유럽에서도 흑사병으로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지자 이들의 노동 회피를 문제 삼는 정책이 등장했다. - P68

 노동을 기피하고 부랑 생활을 일삼는 경멸스러운 ‘걸인‘과 노동력을 상실하여 기독교 윤리에 따른 자선으로 구제받아야 할 ‘빈민pauvre‘이 14세기 중반 프랑스 국왕 칙령에서 분명히 구분되어 있었다는 점은 흥미롭다.(홍용진 2016 : 75-77) 오늘날까지도 공공부조 체계를 갖춘 대부분의 나라에서 노동능력의 유무에 따라 수급자를 관리하는 제도나, 노동 의지에 따라 자격 있는 빈민과 그렇지 않은 빈민을 구분하는 관행은 여전히 지배적이다. 살면서 ‘어떤 의존을 하는가‘를 묻기보다, 노동을 척도로 의존이나 자립이냐‘를 판별하는 흐름이 대세가 되었다. 이때 노동이 갖는 의미는 제한적이다. 직접 물건을 만들어 팔든 자신의 노동력을 팔든, 경제적인 생산관계에 편입된 노동
‘밥벌이‘가 가능한 노동이 의존과 자립을 나누는 기준이 되었다.
노동 의지에 따라 다른 형태의 빈민 통치가 작동했다는 점은, 빈곤이 단순히 부에 대응하는 경제적 개념이 아니라 품행의 심사장이었음을 뜻한다. 조반나 프로카치는 이 점에 주목해 18-19 세기 유럽에서 사회적 빈곤에 관한 문제의식이 등장하는 과정을 살폈다. 당시 유럽에서 부의 증대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던 고전적 정치경제학은 빈곤을 풍요의 대응물로 취급하면서 ‘빈곤의 정치‘가 갖는 유용성에 별반 주목하지 않았다. 반면 주변화된 영역이던 사회경제학은 빈곤을 자본주의 메커니즘이나 소유권과 연결하기보다 사회유대의 붕괴, 제도의 미비, 개인의 도덕적 결함으로 문제화하면서, 문제의 진단과 처방을 둘러싼 일련의 지식과 통치 기술을 고안했다.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