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래겸朴來謙(1780~1842)은 본관은 밀양 자는 공익公益, 호는 만오晚悟·탑서塔西다. 경상도慶尙道구미龜尾 봉곡蓮谷에서 박선호의 셋째 아들로 출생했다. 1810년부터 1811년까지 가주서假主書로봉직했고, 그 후 주서注書, 정언正言, 지평持平, 장령掌슈 등을 역임했다. 1819년 부안현감에임명되었다. 1822년 암행어사에, 1827 년 함경도 북평사에 제수되었다. 또 1829년 영의정 이상황이 심양정사로 갈 때 서장관으로 임명되어 수행했다.
그는 이러한 체험을 바탕으로 43살에 평안남도 암행어사의 경험을 담은 <서수일기西日記 >, 48살에 함경도때의 공무를 기록한 <북막일기幕日記>, 50살에 서장관으로 양을 다녀온 견문을 담은 <심사일기>등 3권의 일기를 남겼다.
1833년 예조참판參判參判으로 있을 때 동지부사로 임명되어 두 번째 연행을 다녀왔다.
1837년부터 1840년까지 여러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신병을 핑계로 사직했다.
- P8

<서수일기>는 1책 35장의 필사본筆寫本으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홍문관 부교리로 있던 박래겸朴來謙(1780~1842)이43세의 나이로 1822년 3월 16일부터 동년 7월 28일까지 장장 126일 동안 평안남도 암행어사로 활약했던 당시의 일기로, 다른 어떤 기록보다 생생한 암행어사의 모습을 담고 있다.
<서수일기>의 주된 내용은 일자와 날씨, 경유한 장소, 해당 장소의 대략적 형세, 명승지에 대한 감상, 다닌 거리, 해당 고을 수령의 성명 등이다. 서계별단 등과 같은 공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메모의 성격도 없지 않다. 염탐한 기록을 수시로 정리하고 있는 모습이 일기에 등장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무엇보다 유명한 지역 인사들을 직접 내방하거나 서북 문인들의 분노와 탄식에공감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또 하층 사람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생생한 모습을 기록하는 등, 신분을 숨기지 않았다면 불가능한 정보들을 얻었다는점도 큰 소득이라 할 수 있다. - P9

4월 16일
관서의 돌로 된 집들

비 때문에 출발할 수가 없었다. 저녁이 되자 조금 개여서 진흙탕을 무릅쓰고 영원군에 들어갔는데,
고을 수령은 이병규였다. 고을이 깊은 산골에 있었는데 (그 정도가) 거의 맹산보다도 심했다. 고을의 터가 좁고, 앞으로는 큰 냇물을 굽어보고 있었다. 민가 백여호가 모두 돌로 기와를 대신하고 있어기와집이나 초가집은 하나도 없었다. 대체로 관서에는 돌로 된 집이 많기는 했으나, 이 고을은 더욱 심했다. 영정이 안산 아래에서 마을을 굽어보고 있고 큰 냇물로 둘러싸여 있어서, 시원한 것이참 좋았다. 이날, 5리를 다녔다.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