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미얀마어가 공용어로 전체 인구의 90퍼센트 정도가 미얀마어를 이해하고 있다. 미얀마는 의무교육제(4년제)를 채택한 지가 오래지 않기 때문에 소수종족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미얀마어가 부분적으로 소통되지 않는다. 이들 소수종족이 구사하는 다양한 고유언어가 있고, 그 종류가 141종에 달한다는 조사통계가 있다. 미얀마어 이외에 영국 식민통치의 영향으로 영어가 폭 넓게 통용되며,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도어(Hindi)와꾸앙뚱(廣東)어가 부분적으로 소통된다.
주요 종족과 분포(도표2 참조) 상황은 다음과 같다.
주종족인 버마(Burma)족은 에야워 강을 중심으로 한 중부 평야지대와 태국과 국경을 이루는 동부 고원지대의 남쪽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은미작산지와 벵갈 만의 서쪽해안 지역을 장악하고 있어서 역사를 통하여미얀마의 가장 중요한 종족으로 자리를 잡았다.
산(Shan)은 미얀마 중부의 샨 주의 해발 1,000m 이상의 고원지대와계곡에 거주하는 종족이다. 샨족을 지칭하는 샨(Shan)은 ‘자유로운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 지역은 태국과 라오스 및 중국의 국경과 마주하고 있어서 오래 전부터 국경무역이 성했다. 교역품 중 아편은 오랫동안 주요 교역품목 중의 하나였다. - P3

까렌(Karen)족으로 오랫동안 널리 알려져 온 꺼잉(Kayin)은 300만 정도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주로 서부 고원지대의 샨족의 거주지역남부에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오랫동안 태국과 미얀마의 국경지대에서 밀수품에 대한 통행세를 받아왔으나, 현재는 정부군에 의해 태국으로 내몰려 있는 상태이다. 정치적 활동에 간여하지 않는 대부분의 꺼인족들은화전방식으로 농사를 짓거나, 코끼리 사육과 길들이기, 코끼리를 이용한벌목, 광산에서 주석 등의 광물을 캐서 생활하고 있다. - P4

친(Chin)은 미얀마의 소수종족들 중 외부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종족이다. 친족은 총 인구가 100만 명 정도인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인도와 방글라데시에 흩어져 살고 있다. 산악지대에서 살아온 이들 친족들은 네팔(Nepal)의 구르카(Gurka) 종족과 마찬가지로 영국식민 통치시기에 식민지 군대에서 강인함으로 용맹을 떨쳤다.
까친(Kachin)족들은 미얀마 최북단에 위치한 까친 주에 근거한다. 미얀마의 산악지대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고산(高山族)들은 대개까친족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들은 애니미즘(animism)에 가까운 종교관습을 가지고 있으며, 막내가 상속하는 특이한 가족제도를 가지고 있다.
몽(Mon)의 인구는 130만 명가량이며 미얀마의 중남부 해안지역에군거하고 있다. 이들은 대체로 버마족에 동화된 것으로 보이나, 미얀마에 불교문화를 전파한 주요 종족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많은 소수종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정부가 공식으로 확인한 종족 수는 135 종족으로 발표된 적이 있다. 아직도 외국인으로 등록되어있는 중국인과 인도인들이 있는데, 이들은 지난 1993년 군사정부에 의해서 각각 5만8천 명과 3만4천 명으로 조사되었다. - P5

III. 국토와 지형
미얀마는 북서쪽으로 방글라데시와 인도 북동쪽으로 중국, 동쪽으로는 라오스 남동쪽으로 태국의 5개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총 국토면적은 약 68만㎢로 대륙부 동남아 국가들 중 가장 크며 한반도 전체의 3배정도이다.
미얀마의 지형은 그 성격에 따라 동부 고원지대, 중부 평야지대, 서부산악지대, 그리고 벵갈(Bengal) 만 연안의 라카인(Rakhine) 연안 지역으로 구분한다. - P5

IV. 기후
미얀마는 국토가 남북으로 2,040km에 달하며 북으로 중국대륙 운남성(雲南省)의 남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태국 및 인도와 긴 국경을 맞대고 있다. 이 나라는 전체적으로 열대와 아열대에 속하여 고온다습한 열대몬순기후대이다. 건기와 우기는 대체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우기는 벵갈(Bengal) 만(灣)에서 남서 계절풍(Monsoon)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5월 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약 5개월간이다. 이기간 중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5,000㎜ 가량의 비가 내린다. 건기 중 기온이 가장 낮은 기간은 11월부터 2월까지 4개월간이고 이 기간 중 평균 최저기온은 17℃이다. - P7

2. 주요 도시
1) 양공(Yangon)에야워디강 하구의 델타평원에 위치한 양공은 양공행정주의 명칭이자 미얀마의 수도이다. 양공은 ‘적을 무찌름‘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1755년 몽(Mon)과의 전쟁에서 알라웅퍼야(Alaungpaya) 왕이 승리하여 더공(Dagon)을 점령한 후, 더공을 양공으로 개칭한 사실(史實)에서 연유한 것이다. 1824년 영국과의 제1차 전쟁에서 미얀마가 패한 후 양공 지역은 영국 식민통치의 필요에 의해서 조선소를 비롯한 각종 공장시설이 건립되면서 번창하게 되었다. 2005년 현재 양공시청이 추정한 양공의 인구는 6백만 명에 달한다.
2) 만들래(Mandalay)
양공으로부터 에워디강을 따라 북쪽으로 약 620km 떨어진 만들래는 양공 시 다음으로 큰 미얀마 제2의 도시이다. 꽁바웅 왕조의 민돈(Mindon) 왕에 의해서 건설된 왕궁이 이곳에 있다. 1857년부터 민돈 왕이 건설했다는 이 도시는 불교전설에 따라 이룩된 것이다. 이에 따라 미얀마문화와 불교의 중심도시라 일컬어지고 있다. 인구 60만(1996년 추정치)의이 도시는 68만㎢ 면적 미얀마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곳에서 버마족 이외의 다른 소수종족들과의 접촉이 용이하다. 또한 만들래는 중국의 꾸밍시와 연결되는 미얀마 국경무역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데, 중국 민항기가 주2회 운항하고 있다. - P12

3) 버고(Bago)
양공과 만들래를 잇는 도로와 철도망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버고 행정주의 수도로 인구는 32만 명(1996년 추정치) 수준이다. 중부 평야지대에서 생산되는 쌀과 목재의 중간 집산지로 유명하다. 특히 1월과 2월의쌀 수확기에는 미작문화(文化)의 장관을 볼 수 있다. 2차 세계대전 중 2만 7천 명의 연합군 희생을 기리는 영국군 전몰장병 유적지가 이곳에 있다.
4) 몰먀잉(Mawlamyine)
땅르윈(Thanlwin) 강과 안다만(Andaman) 해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있는 항구도시로 22만의 인구(1996년 추정치)가 거주하고 있다. 이 도시는 몽(Mon) 주의 중심도시이며, 양공과 만들래, 그리고 버고에 이어 미얀마 제4의 도시이다. - P12

1. 중국
네윈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정책을 추구하면서 화교(華橋)의 경제활동을 봉쇄하여 미얀마-중국 관계가 소원했으나, 1971년에 이르러 외교관계가 정상화 되었다. 이 때부터 1985년까지 양국의 최고 지도자들의 교차방문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이 기간 중 네윈은 총 다섯 차례(1971년,
1975년, 1977년, 1980년, 1985년) 베이징을 방문하였고, 덩샤오핑(1978년)등 중국 지도자들도 양공을 답방하였다.
베이징 정부는 중국 대륙의 서남부 개발과 관련하여 미얀마를 통한 인도양 진출의 교두보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중국-인도 간의 국경분쟁이 해소된 이후에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은 대 인도 협력관계 강화에도 외교력을 집중하고 있다. 땅쉐(1996년 1월) SPDC 의장을 비롯하여 마웅에(1996년 10월 2000년 6월)SPDC 부의장 등 대부분의 SPDC 위원들이 베이징을 방문하였으며, 리펑(1994년 12월) 총리를 비롯하여, 장쩌민(2002년 12월) 국가주석 등 많은 베이징 지도자들도 양공을 방문하여 관심사를 논의하고 양국 간의 협조관계 증진에 노력하였다.
미얀마는 소수종족의 반정부활동에 중국측의 긴밀한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미얀마는 중국산 재래식 무기와 탄약 수입에 중국측의 협력을 요청하고 있으며, 중국도 미얀마의 양공만 인근에 해군 기지를 임차하려는 협상을 전개하고 있다. - P16

2. 태국
미얀마와 태국은 역사적으로 가깝고도 먼 ‘애증(愛)관계‘의 이웃나라이다. 총 연장 1,800km의 국경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국경분쟁의 요인도 많다. 특히 마약재배와 밀매에 태국의 고산(高山族)들과 미얀마 북동부 산악지대의 소수종족들 간의 협조가 양국 정부를 어렵게만들고 있다. 미얀마-태국 양국은 양국의 협조관계 증진으로 보다 많은실질적인 이익을 제고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1979년 당시 미얀마의 최고 실력자 네윈이 태국을 방문하였고, 1980년태국의 쁘렘 수상이 답방하였다. 1980년 쁘렘 수상 양공 방문시 양국 간의 영해(海) 확정에 관한 협정이 이루어진 바 있다. 미얀마 군사정부에 대한 외부의 비협조 관계로 양공 정부는 태국을 통하여 국제적 고립을 탈피(脫皮)하려고 유화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태국도 국제적으로 고립되어있는 미얀마를 지지. 지원함으로써 투자와 경제 진출을 선점(先占)할 수있다는 양국의 입장이 맞아 떨어져서 상생(相生)관계로 발전하고 있다.
태국이 더 적극적이다. 2001년 6월 딱신 태국 수상의 미얀마 방문으로양국 외무장관의 정기 교환 방문을 제안하였으며, 이 때부터 양국의 외무장관과 국방장관이 긴밀한 교차 방문을 통해서 미얀마-태국 양국의 주요현안인 군사분야의 협력 문제를 비롯해서 경제협력 문제, 마약퇴치 문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 P16

3. 아세안
미얀마 군사정부는 국제적인 고립을 탈피하기 위한 첫 번째 조처로 아세안 가입을 시도하였다. ‘아세안 10‘ 혹은 동남아의 아세안화(ASEANizationof Southeast Asia)를 추진해 온 주요 아세안 국가들도 1995년 4월 아세안-미얀마 간의 ‘건설적 개입(Constructive Engagement)‘을 추진해 왔다. 태국이 주도한 이 연계정책에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 싱가포르가 동참하였고, 미얀마 군사정부에 부정적인 대미(對美) 관계를 고려한 필리핀은 다소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미얀마는 1997년 7월 제30차 아세안 외무장관회담을 통하여 아세안 가입이 확정되었다. 이 때 이후로 미얀마 군사정부의 최고 지도자 땅쉐는 아세안 무대에 적극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1997년 12월에는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였고, 1998년 12월에는 베트남 (제6차 아세안 정상회담)을 방문하였다. 1999년 11월에는 필리핀을, 2000년 월에는 싱가포르(제7차 아세안 정상회담)를, 2001년 9월에는 다시 말레이사아, 같은 해 11월에는 브루나이의 아세안+3 정상회담에 참석하였다. 2002년 10월에도 캄보디아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담에 참석하였다. - P17

4. 미국
미얀마와 미국은 네윈 정부 이래로 계속해서 불편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1973년 네윈 정부는 AID 원조를 거부하고 일체의 간섭을 거절하였다.그러나 마약문제가 국제문제로 비화하고 미얀마도 북동부 국경의 소수종족 문제로 골치를 썩이면서 1975년부터 1976년 사이에 미얀마 정부는마약 단속을 위한 헬기 지원(18대)을 수용하였다. 미얀마-미국 관계는1980년 이후 다소 개선되었는데, 1981년에 미국은 총 3,500만 달러 규모의 무상원조를 미얀마에 지원하였다.
미얀마-미국 관계는 1988년 9월 SLORC 군사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급속도로 냉각되었다. 이에 대한 항의로 미국은 1991년 7월 대 미얀마 경제제재조치를 취하였으며, 1997년 4월에는 대 미얀마 투자금지 결정과함께 국제금융기구의 대 미얀마 금융지원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같은 해 5월에는 미국의 대 미얀마 제재조치를 매년 연장하는 조처를 취했다. 미국은 미얀마의 아세안 가입에도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SPDC 출범 이후에도 불편한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 - P18

5. 일본
일본은 미얀마 최대의 원조공여국이며 역사적으로 매우 돈독한 양자관계를 유지해 왔다. 1988년 9월 SLORC 정부 출범 후 원조 중단 등 양국관계가 일시 정지되기도 하였다. 일본은 역사적 관계와 최대의 원조공여국임을 내세워 서방세계를 대표하여 미얀마의 민주화와 인권문제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야권(野圈)과의 대화도 시도하고 있다. to folo일본은 미얀마에 다양한 형태의 유무상원조를 제공하고 있다. 무상원조도 점증(漸增)하고 있는데, 1990년에 3,000만 달러 규모가 1994년에는 1억 달러로 증액되었다. 1995년에는 1억 4,000만 달러, 1996년에는 다시 1억 5,000만 달러로 늘어났다. 일본의 경단련(경제단체연합회), 수출입은행, 상공회의소(JCCI) 등이 대 미얀마 원조를 대행하고 있다. 2001년 5월에는 일본 정부 차원의 원조로 2,800만 달러 규모의 수력발전소 건립에 필요한 무상원조를 실시한 바 있다. 일본측에서는 각료급 인사들이 자주 미얀마를 방문하고 있다. - P18

남·북한관계에 원칙적으로 중립을 표방하였으나, 1977년 당시 네윈대통령의 북한 공식방문 등으로 정치적으로 북한에 편향된 관계를 유지하여 왔다. 그러나 1983년 10월 아웅산 폭발사건이 북한의 소행으로 확인되자, 1983년 11월 버마 정부는 대 북한 정부승인을 취소하고 외교관계를단절하였으며, 버마 주재 북한대사관 전 직원을 추방하는 등의 외교조치를 단행하였다.
최근 들어 북한은 외교적 고립탈피 정책의 일환으로 유엔 등의 국제무대나 중국·태국·인도네시아 등 제3국에서 미얀마의 외교관이나 무관등과 접촉을 시도하는 등 관계재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00년 7월 미얀마 외무장관은 대한민국의 입장과 전체 아세안 회원국의 입장을 고려하여 북한의 아세안지역포럼(ARF) 가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태국 외무성을 통하여 공식화한 바 있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