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집과 실패의 전쟁사
에릭 두르슈미트 지음, 강미경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이 지구에서 전쟁, 전투 또는 분쟁이 일어나지 않는 한 해가 있을까! 인간은 땅위에 발을 디디며 끊임없이 전쟁을 치러왔다. 따라서 전쟁은 인간사회의 모든 모순이 적나라하게 폭발하는 역사의 축소판으로 관심이 대상이 된다. 저자는 2차 대전 즉 히틀러로 인해 전쟁에 대한 탐구욕을 갖게 되었다한다. 이 책에는 저자가 고른 10개의 전투(전쟁)가 담겨있다. 10개의 전투는 원칙에 대한 무관심, 승리에 대한 집착, 콤플렉스와 자신감부재, 열정과 책임감 상실, 커뮤니케이션의 부재, 실패에 대한 감정적 대응, 기술발전에 대한 무지, 사적 감정에 대한 집착, 정보에 대한 긴장감 결여 그리고 시대의 흐름에 대한 무관심의 예이다. 읽다보면 지도자의 역량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그러나 더욱 큰 변수는 정작 '우연'과 '불확실성'이 함께 한다는 거다.

전략의 아버지 클라우제비츠는 말했다. "전쟁에서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요소는 지도자의 능력이고, 우연과 불확실성은 어떤 전쟁에서나 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라고.

탕가전투(1914년 11월 5일)는 좋은 사례이다. 탕가는 동아프리카 탄자니아지역에 있는 도시규모의 지역이다. 독일령 동아프리카 지역을 수비하는 포르베크대령(1차 대전 사상 가장 뛰어난 전술가 중 하나로 평가됨)은 인도에서 보내오는 친독일계의 정보를 통해 영국의 공격을 감지하고, 몇 안되는 독일교관으로 1천명의 원주민을 훈련시킨다. 그가 훈련시킨 부족은 잔인한 전쟁부족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군인'의 모습을 갖주게 되었다. 한편 당시 영국은 대영제국이라는 자부심으로 빛나는 에이트킨 소장이 이끌고 있었는데, 그는 인도용병으로 주축을 이룬 병사를 함대에 실었다. 불행하게도 이 부대는 제대로된 훈련은 커녕 서로 의사소통도 되지 않았다. 게다가 인도부대는 기관총을 너무 비싸고 병사를 게으르게 한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않았다.(기관총은 1898년 아프리카에서 광신적 종교집단과 싸우던 영국인이 개발했으며 일명 맥심이라 불림) 1914년 11월 2일 탕가 앞 바다에 나타난 에이트킨 소장은 정찰도 없이 망그로브 늪지대에 부대를 상륙시키고, 4일에는 사전정찰도 하지 않고 진격을 한다. 결과는 3백명의 영국병사의 시체뿐. 그 와중에도 시내에 진입한 구르카부대(네팔에 사는 용맹한 부족으로 반월도를 주로 씀)는 반격하는 원주민병사들과 피비린내나는 전투를 치른다. 이때 가장 중요한 요소-불확실성이 등장한다. 늪지는 죽은 나무로 둘러싸여 있는데, 나뭇가지에는 시가모양의 바구니들이 빽빽하게 매달려 있다. 이 바구니에는 무서울정도로 공격적이고 거대한 크기의 아프리카벌을 치려고 걸어둔 것인데, 포격소리와 총탄으로 인해 벌집을 쑤셔 놓은 현상이 된 것이다. 벌통에서 쏟아져 나온 성난 벌들은 영국군을 공격했고, 그들의 화가 다 풀린 후에는 사상자가 독일군 70명, 유럽인 15명, 원주민 병사 54명인데 비해 영국군은 800명이 죽고 800명은 다치거나 행불자가 되었다. 패배한 영국함대는 몸바사로 돌아갔다.

이 책에 기록된 전투를 읽다보면 죽어간 군인이나 민간인이 숫자로 쓰인다. 그들은 전투시엔 일종의 무기가 되어 선다. 얼치기 지도자는 그들의 죽음을  되지도 않는 변명으로 자위하고 그 뒤에 숨는다. 지금도 우리사는 세상 어디에선 총성이 나고 폭탄이 터진다. 그리고 우리땅도 외면하고 싶지만 엄청난 무기들이 맞서고 있다. 현명하고 성실한 그리고 패배에서 교훈을 거두는 지도자가 필요한 때이다.

덧붙인 글-읽다보면 화도 나지만, 다 읽고 나니 실패만큼 소중한 선생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