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 아작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모두 읽고 표지를 다시 보았다. 소설의 내용을 표지에 모두 담은 디자이너 분의 능력이 놀랍다. 내용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예쁘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일러스트이다.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중력의 임무》의 표지도 깔끔하면서 멋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까지 읽으니 출판사에 호감이 간다.

 

이 책은 1956년에 발표된 SF 소설이므로 시대상을 감안하고 보았다. 아빠와 엄마의 전통적인 캐릭터성과 그 밖의 캐릭터들의 고정관념에 따른 성역할들을 흐린 눈으로 보며 넘어갔다. 그래도 소설에 등장하는 학자들에 여성 캐릭터들을 분배해놓음으로써 면죄부를 주고 싶다. 뒤로 갈수록 부모님 이야기가 나오지 않기도 하고.... 우주선 안이라는 환경 안에서는 나름 신경 쓴 듯하다.

 

이 책의 두 가지 키워드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과 쌍둥이이다. 시간의 상대성으로 인하여 지구에 남아있는 쌍둥이와 광속에 가깝게 움직이는 우주선 안의 쌍둥이의 시간이 서로 다르게 흘러간다. 여기까지는 널리 알려진 쌍둥이 역설이다. 자, 여기에 쌍둥이는 일반 사람들과 다른 특수한 관계라는 세간의 미신을 끼얹으면 어떻게 될까?

 

이 소설은 돈이 정말 정말 많은 가상의 단체를 등장시켜 우리의 상상을 현실로 실현한다. 정말 이런 일이 가능하다면 당사자인 쌍둥이들의 관계는 어떻게 될지, 물리학은 어떤 변화를 맞을지에 대해 나름 상상의 날개를 펼친다.

 

이야기를 읽을 때 상대성이론에 대한 물리학 지식이나 우주에 대한 천문학 지식은 크게 필요 없다. 만약 영화<인터스텔라>를 이미 보았다면 이해는 더 빨라진다. 여기에 부드럽게 읽히는 번역과 빠른 전개가 이야기를 읽는 재미를 더한다.

 

물리학은 쌍둥이의 관계와 성장을 묘사하기 위해 이용당했다고 표현해도 과장되지 않을 정도로 화자 톰에 대한 심리 묘사가 돋보인다. 나는 쌍둥이가 아니지만 앞부분에 톰이 팻에 대하여 생각하는 부분이 첫째로서 공감이 갔다. 쌍둥이라도 형제 관계는 애증인가 보다.

 

결말이 100퍼센트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해피엔딩에 닫힌 결말인 점에 별 네 개를 준다. 나머지 별 하나는 매끄러운 번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