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등

 

 

 

                          울고 싶을 때 울고

                          떠나고 싶을 때 떠나라

                          어떤 미동(微動)으로 꽃은 피었느니

                          곡진하게

                          피었다 졌느니

                          꽃은 당신이 쥐고 있다 놓아버린 모든 것

                          울고 싶을 때 울고

                          떠나고 싶을 때 떠나라

                          마음이 불러

                          둥근 알뿌리를 인 채

                          듣는

                          저녁 종소리  (P.18 )

 

 

 

 

                     수필

 

 

 

                           씨감자는 반을 잘라서 묻지

                           자른 곳에 검은 재를 발라서 묻지

                           그리고 잊어먹지

                           공들여 잊어먹지

                           이마를 짚어주고 가던 손을 잊지

                           옆의 흙을 가져와 묻어주던 시간을 아예 잊어먹지

                           아니, 아주 잊어먹지 않을 만큼만 잊어먹지

                           눈매에서 싹이 오르지

                           아주 잊어먹지 않을 만큼만 싹이 오르지, 꽃이 피지

 

                           잘려나간 반을 흙 속에서 생각하지

                           눈감고 오래도록 생각하지

                           들키고 싶지 않을 만큼만 공들여 생각하지

                           그 사이 반이 하나가 되지

 

                           하나가 둘이 되고 셋이 되고

                           마음 가는 대로

                           열이 되지  (P.20 )

 

 

 

 

                       끼니

 

 

                              1

                           병실에 누운 채 곡기를 끊으신 아버지가

                           그날 아침엔 밥을 가져오라 하셨다

                           너무 반가워 나는 뛰어가

                           미음을 가져왔다

                           아버지는 아주 작은 소리로

                           그냥 밥을 가져오라고 하셨다

                           아주 천천히 오래오래

                           아버지는 밥을 드셨다

                           그리고 다음날 돌아가셨다

 

 

                               2

                           우리는 원래와 달리 난폭해진다

                           하찮고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걸기도 한다

                           가진게 그것뿐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한겨울, 서울역 지하도를 지나다가

                           한 노숙자가 자고 있던 동료를 흔들어 깨워

                           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먹어둬!

                           이게 마지막일지 모르잖아  (P.22 )

 

 

 

 

                        꼬리는 개를 흔들고

 

 

 

                            버림받은 후에도 여전히 같은 자리에서

                            주인을 기다리는 개야

 

                            주인은 어디에 있는가

                            있기는 한 것인가

 

                            빨랫줄에서 한 바구니 마른 빨래를 담아와 개면서

                            하염없이 저렇게 누군가를 기다리다보면

                            내가 기다리는 사람도 분명 저 길을 따라 올 것 같은

                            밑도 끝도 없는 생각

                            항상 먼저 너를 버린 나,

                            모든 과오는 네가 아닌 나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생각

 

                            개는 여전히 흰 목수국 옆

                            쨍쨍 해가 내리는 길 한복판을 지킨 채

                            앉아 있고

                            수국이 수국의 시간과 대적하지 않듯

                            누가 불러도 짖거나 꼬리 치지 않는,

                            진짜 자신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뚫어지게 쳐다보면서

                            지독한 기억 속으로

                            느릿느릿 오는 허기 속으로

 

                            끝끝내 버림받았다는 것을 믿지 않는

                            개야  (P.34 )

 

 

 

                                                        -고영민 詩集, <사슴공원에서>-

 

 

 

 

 

 

 

 

 

 

 

 

 

 

 

 

 

 

 

 

 

 

 

 

 

       

 

      똥구멍으로 시를 읽다

      겨울산을 오르다 갑자기 똥이 마려워
      배낭 속 휴지를 찾으니 없다
      휴지가 될 만한 종이라곤
      들고 온 신작시집 한 권이 전부
      다른 계절 같으면 잎새가 지천의 휴지이련만
      그런 궁여지책도 이 계절의 산은
      허락지 않는다
      할 수 없이 들려온 시집의 낱장을
      무례하게도 찢는다
      무릎까지 바지를 내리고 산중턱에 걸터앉아
      그분의 시를 정성껏 읽는다
      읽은 시를 천천히 손아귀로 구긴다
      구기고, 구기고, 구긴다
      이 낱장의 종이가 한 시인을 버리고,
      한 권 시집을 버리고, 자신이 시였음을 버리고
      머물던 자신의 페이지마저 버려
      온전히 한 장 휴지일 때까지
      무참히 구기고, 구기고, 구긴다
      펼쳐보니 나를 훑고 지나가도 아프지 않을 만큼
      결이 부들부들해져 있었다
      한 장 종이가 내 밑을 천천히 지나간다
      아, 부드럽게 읽힌다
      다시 반으로 접어 읽고,
      또다시 반으로 접어 읽는다          -고영민, <악어>-에서.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28 16: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8 2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8 18: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8 20: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후애(厚愛) 2013-02-28 19:32   좋아요 0 | URL
책 선물 감사합니다!^^
저도 가끔씩 울고 싶을 때가 있는데 참다보니 병이 되는 것 같아요.
정말 울고 싶을 때 울어야겠어요..

appletreeje 2013-02-28 20:25   좋아요 0 | URL
즐겁게 받아 주시니, 제가 더 감사 드려요.^^
정말 울고 싶을 땐 울어야 할 것 같아요.
근데 저는 눈물이 잘 안나와요.^^;;
후애님! 행복한 밤 되세요~*^^*

숲노래 2013-03-16 22:10   좋아요 0 | URL
씨감자는 반토막뿐 아니라 서너 토막 자르기도 하고, 그냥 통째로 심기도 해요.
씨감자 이야기를 들으면,
저는 늘 이원수 님 동시가 떠올라요.
이원수 님 동시책 읽어 보셨나요?
참으로 아름답고, 이 아름다움을 아직 한국땅 어느 시인도
물려받거나 배우거나 이어받거나, 이녁 나름대로 삭히지 못했다고 느껴요.

저는 아이들한테 노랫말 몇 군데 바꾸어서 자장노래로 불러 주는데,
이원수 님 동시 <씨감자>는

.. 감자씨는 묵은 감자 재를 묻혀 심는다, 토막토막 자른 자리 재를 묻혀 심는다, 밭 가득 심고 나면 날 저물어 달밤, 감자는 아픈 몸 흙을 덮고 자네, 오다가 돌아보면 훤한 밭골에, 달빛이 내려와서 입을 맞춰 주누나 ..

이런 동시예요. 마지막 대목 "입을 맞추고 있네"만 '-고 있네'고 잘못된 일본 번역투라서 아이들한테는 "입을 맞춰 주누나"로 고쳐서 부르는데, 아무튼, 고영민 님 시도 참 좋구나 싶으면서, 살짝 한 가지 아쉽기도 해요.

appletreeje 2013-03-17 10:31   좋아요 0 | URL
아, <씨감자> 너무 아름답네요..
이원수님의 책은 '꼬마 옥이'만 읽었고 동시책은 아직 못 읽어 보았어요.
정말 아름다운 이원수님의 동시책을 저도 읽어야겠어요.
감사드립니다.~
함께살기님의 아기들은 참 행복한 아기들이에요.^^
아름다운 어버이가 들려 주시는, 아름다운 동시 자장노래를 듣고 잠드니까요.
함께살기님!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누군가 다녀갔듯이

 

 

 

                              하염없이 내리는

                              첫눈

                              이어지는 이승에

                              누군가 다녀갔듯이

                              비스듬히 고개 떨군

                              개잡초들과 다른

                              선비 하나 저만치

                              가던 길 멈추고

                              자꾸자꾸 되돌아보시는가

 

 

 

 

 

                         눈썹 연필(鉛筆)로 기다랗게

 

 

 

                               네 이마 아래 

                               봄날에                            

                               졸리운 듯

                               汽車가 멈췄다가 지나가는

                               정거장이 두 개 있고

 

 

 

 

 

                                       작은 것

 

 

 

                                여기까지 오면서

                                힘겹게 견디었다

 

                                님프가 사는 水蓮의 바다

                                님프는 작다

                                이름도 없다

                                님프는 한줄기 가여운

                                황홀한 빛

 

                                님프는

                                이름도 없다

                                수련의 바다 빛 한줄기

 

 

 

 

                                               - 김영태 詩集, <누군가 다녀갔듯이>-에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28 13: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8 15: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보슬비 2013-03-01 20:08   좋아요 0 | URL
'눈썹 연필(鉛筆)로 기다랗게' 읽으니 예전에 읽었던 '영웅문'이 떠올랐어요. 당시 중국에서는 사랑하는 연인끼리만 여인의 눈썹을 그려줄수 있는데, 주인공 남자가 여주인공의 눈썹을 그려주는 장면이 참 섹시하다 느꼈었거든요. 잊고 있었는데 시 때문에 생각났네요. ^^

appletreeje 2013-03-02 12:58   좋아요 0 | URL
정말 이 시를 읽으며 저도 묘한 매혹을 느꼈어요.ㅎㅎ
보슬비님! 좋은 봄, 좋은 날 되세요.~*^^*
 
신기한 목탁 소리 보림 시그림책
한승원 글, 김성희 그림 / 보림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탁 소리를 목판화로 재현하고 싶었다`는 그림 작가의 말처럼, 귀도 절벽이고 눈도 까막눈인 노스님이 날마다 목탁을 깎으시는 나무결, 같은 모습. 고요한 목탁 소리가 세상의 분별을 맑게 닦아 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27 15: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7 18: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후애(厚愛) 2013-02-27 17:13   좋아요 0 | URL
벌써 읽으셨어요?
정말 빠르십니다!^^
별 점이 다섯개.. 너무 궁금한데요.

행복한 오후 되세요.^*^

appletreeje 2013-02-27 18:06   좋아요 0 | URL
예~~읽고 참 좋았어요.^^
후애님도 그러실 것 같아요~~

후애님! 행복한 저녁 되세요.*^^*
 
추 선생님의 특별한 미술 수업 마음똑똑 (책콩 그림책) 24
패트리샤 폴라코 글.그림,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음성적 공간`을 볼 줄 아는 트리샤에게, 추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사물을 보는 법`과 예술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 아울러 `자신이 진정 사랑하는 일`을 하는 기쁨을 만나며..나도 트리샤처럼 몹시 행복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27 15: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7 18: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후애(厚愛) 2013-02-27 17:14   좋아요 0 | URL
패트리샤 폴라코 그림책은 한 번도 못 봤는데 이 책 은근히 기대가 됩니다.^^

appletreeje 2013-02-27 18:10   좋아요 0 | URL
<천둥 케이크>와 <할머니의 조각보>도 참 좋아요.^^
ㅎㅎ 은근히 기대하셔도 되실 그림책이에요~~

보슬비 2013-02-27 21:16   좋아요 0 | URL
평소 접하지 않는 그림체라 더 마음에 드는 작가예요.
나무늘보님 말씀대로 기대하셔도 좋아요.

저도 '천둥 케이크'와 '할머니 조각보' 좋았어요. 하나 더 첨가하자면 '꿀벌나무'도 좋아요.^^
 

 

 

 

                           남몰래 흐르는 눈물 24

 

 

 

 

                            너는 아프다고 한다

                            나만큼? 네게 말했었지

                            너는 아프구나, 남몰래 숨어 있는

                            우리 모두 아프구나

                            가슴과 가슴 그 안에

                            손 넣고 있어도

                            모자라는 듯한 덤덤함

                            우리가 좋아하던 그 曲을

                            듣고 있어도

                            [짐노페티] 말야,

                            그 곡은 만지면 없는

                            가만히 있으면 있는

                            뭐랄까 그게...

 

 

 

                                         -김영태 詩集, <남몰래 흐르는 눈물>-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26 17: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6 18: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6 19: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27 11:2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