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을 빼야하는 이유

 

 

 

 

 

                      나는 곧 인도에 도착할 것이다, 길을 모르니

                      릭샤를 부를 것이다

 

                      체중 미달로 병역이 면제된

                      본희 형보다 가냘픈 사내에게,

                      꽃을 밟아도 꽃잎 하나 다치지 않을

                      피천득 선생만큼 가벼운 남자에게

                      몸을 맡길 것이다

 

                      사내는 나를 옮겨 실으며

                      눈으로 물을 것이다

                      - 뭐가 들어서 이렇게

                      볼록하지요?

 

                      그러고는 옛날 서울역 지게꾼처럼

                      기를 쓰고 일어나며 페달을 밟을 것이다

                      릭샤가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할 때

                      맨발의 사내는

                      혼잣말처럼 또 이렇게 물을 것이다

                      - 무슨 물건이 이렇게,

                      무겁지요?   (P.12 )

 

 

 

 

 

 

                     예토(穢土)라서 꽃이 핀다

 

 

 

 

 

                        대여섯 살 먹은 여자아이와 서너 살 사내아이

                        어린 남매가 나란히 앉아 똥을 눈다

                        먼저 일을 마친 동생이 엉거주춤 엉덩이를 쳐든다

                        제 일도 못 다 본 누나가

                        제 일은 미뤄놓고 동생의 밑을 닦아준다

                        손으로,

                        꽃잎 같은 손으로

 

                        안개가 걷히면서 망고나무 숲이 보인다

                        인도의 아침이다  (P.13 )

 

 

 

 

 

 

                      설산 가는 길 2

 

 

 

 

 

                          식당에도 여관에도 장마당에도

                          인간의 상품보다는

                          하늘나라 물건이 흔하더군

 

                          세숫물도 목욕물도

                          산과 짐승과 사람이 함께 쓰더군

 

                          물건 참 오래 쓰고 곱게 쓰더군

                          만년(萬年) 묵은 눈이

                          아직도

                          새것이더군  (P.15 )

 

 

 

 

 

 

                        은각사 가는 길

 

 

 

 

                              머리가 하얗게 센 남자와 아직 그렇게

                              온통 하얗지는 않는 여자가 찻길을 건넌다.

                              어린 오누이처럼 손을 꼭 붙잡고,

                              남은 팔은 하늘 향해 치켜들고.

 

                              느릿느릿 햇살의 여울을 건너는

                              은어 두 마리.

                              건물 옥상에서 내려다보면 더 예쁠 것이다

                              하늘에서 보면

                              더더욱 아름다울 것이다.  (P.27 )

 

 

 

 

 

 

                        새의 얼굴

 

 

 

 

                                어떻게 생긴

                                새가

                                저렇게 슬피

                                울까

 

                                딱하고 안타깝고

                                궁금해서

                                밤새 잠을 못 이룬 어떤 편집자가

                                자기가 만드는 시집에는

                                꼭

                                시인의

                                얼굴을

                                넣어야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 뒤로부터, 시집에는 으레

                                새의 얼굴이

                                실렸다.  (P.58 )

 

 

 

 

 

 

                           함민복씨의 직장

 

 

 

 

                                  ......다음은 신랑의 직장 동료 분들 나오세요.

                                  기념사진 촬영이 있겠습니다.......

                                  여직원의 안내에 따라 빼곡히 삼열 횡대!

                                  나도 그 틈에 가 끼었다.

                                  얼굴이나 나올까 걱정하면서

                                  짧은 목을 한껏 늘였다.

 

                                  지상에는 일가붙이도 몇 남지 않아서

                                  생각보다 훨씬 더 쓸쓸할 수도 있던

                                  함씨의 늦은 결혼식에

                                  직장 동료들이 많이 와주었다.

                                  부산에서도 오고 천안에서도 왔다

                                  장호원에서도 왔다

 

                                  오랜만에 만난 동업의 일꾼들이

                                  늦도록 마시고 떠들며

                                  난생처음 비행기를 타고 제주도로 떠난

                                  함씨의 첫날밤을 이야기했다.

                                  여남은 명은 새벽까지 술집을 돌았고

                                  서넛은 월요일부터 취해서 출근했다

 

                                  직원이 몇이라던가,

                                  어떤 사람은 수천 명이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수만 명이라고도 하는

                                  시인 함민복씨의 직장,

 

                                  문학은 대기업이다.  (P.70 )

 

 

 

 

                                                -윤제림 詩集, <새의 얼굴>-에서

 

 

 

 

 

 

 

 

 

       시인의 말

 

       어깨에 고장이 생겨서, 한 쪽 팔을 잘 쓰지 못한다. 당연히

    다른 한쪽이 수고가 많다. 일 없는 이쪽 팔은 하릴없이 두

    곱의 일을 떠안게 된 저쪽에 미안해서, 숨도 몰래 쉬는 눈치

    다. 가만히 매달려 있다.

       팔이 둘인 것이 새삼 고맙다. 양팔이 날개가 아닌 것이, 내

    가 조류가 아닌 것이 다행스럽다.

       어떤 시간이 와도 시절을 탓하지 않고, 어떤 세상이 와도

    공밥은 먹지 않게 되기를 바랄 뿐이다.

        내 시는 조화와 평화를 꿈꾼다.

                          

                                                                                          

 

 

 

 

 

 

 

 

 

윤준호, 라는 이름의 카피라이터가 있다. 1983년 오리콤을 시작으로 거손, 동방기획, 코래드, LGAD, O&M 등 여러 광고회사를 두루 거치며 뉴욕광고제, 한국방송광고대상, 중앙광고대상 등 국내외의 많은 광고상을 두루 휩쓸었다. 카피라이터 윤준호는 '윤제림'이란 이름으로 시를 쓰는 사람이기도 하다. 시력 25년의 중견 시인이다.

이렇듯 그 파급력에 있어 가장 빠르다 싶을 속도전을 자랑으로 아는 광고와 가장 느리다 싶을 굼뜸을 자존심으로 아는 시, 이 두 장르를 암수한몸처럼 운명으로 안고 살아가는 이가 바로 윤준호이자 윤제림이다. 또한 대학에서 카피를 가르치는 교수이기도 하다. 여러 학교 및 기관에서 광고 관련 강의를 계속 해오다 지난 2003년부터 서울예술대학 광고창작과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런 그의 삼십 년 이력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긴 책 한 권을 펴냈다. <카피는 거시기다>라는 책 제목 아래 '카피, 시, 혹은 아이디어를 위한 메타포 50'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메타포의 힘으로 카피에 대한 사유를 50개나 적어나갔다는 이야기다.

이 책은 '카피'와 '아이디어', 이 두 단어가 같은 말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카피'가 단순한 글쓰기의 산물이 아니라 인간의 모든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되는 모든 방법과 도구를 두루 활용하는 일이라는 데까지 그 초점을 맞췄다

 

 

 

        오늘 순한 詩集,을 읽었다.

        시집의 색깔도, 시인의 말도, 시집속의 詩들도

        다 순하고 즐거운 시들을 읽으니...내 마음도 순해지고 자꾸만

        좋아서 웃음이 부실부실 나왔다.

        광고쟁이로서의 '카피는 거시기다'도 좋았는데

        시인으로서의 '새의 얼굴'도 참 좋구나.

        이래저래 바쁘고 분주한 연말에...이런 느릿한 詩集을 읽으니

        비로소 찬찬하고 차분한 올해의 마무리가 될 듯 싶다.

        좋은 벗들에게 선물할 생각에 더욱 기쁘고,

        오늘도 참 좋은 날이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12-27 18:09   좋아요 0 | URL
여섯 살 큰아이는 언제나 세 살 동생을 잘 챙기지요.
두 아이 노는 양 가만히 지켜보기만 해도
하루가 즐거워요.

시는 언제나 삶에서 스륵스륵 태어나요.

appletreeje 2013-12-27 21:58   좋아요 0 | URL
예~저도 이 시를 읽으며~
예쁜 벼리와 보라를 생각했답니다~
정말 시는 언제나 삶에서 스르르 태어나지요!

2013-12-27 19: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7 21: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7 2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7 2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후애(厚愛) 2013-12-27 21:52   좋아요 0 | URL
참 좋습니다~
저는 특히 <예토(穢土)라서 꽃이 핀다>, <새의 얼굴>이 마음에 듭니다.*^^*
오늘도 좋은 시들을 올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편안하고 행복한 주말 되세요~
건강은 꼭 챙기시구요.*^^*

appletreeje 2013-12-27 22:07   좋아요 0 | URL
저도 참 즐겁고 기쁜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후애님께서도 나중에 읽어 보시면 참으로 마음에
쏙~드실, 그런 詩集이예요~^^
<예토(穢土)라서 꽃이 핀다>, <새의 얼굴>
저도 참 좋았어요~

날씨가 많이 추워졌습니다. 더욱 더 건강 조심하시고,
언제나 몸도 마음도 편안하시고 좋은 날들 되시길 빌어요~*^^*

착한시경 2013-12-27 22:30   좋아요 0 | URL
내가 살을 빼야 하는 이유... 제목이 확 마음에 와 닿아 읽어봤는데,,, 슬픈 시네요..
트리제님 덕택에 늘 새롭고 좋은 시를 읽게 되어 서재에 오는게 참 좋네요...
연말이라 마음이 분주하기도 하고 우울하기도 하고... 그래도 이렇게 아름다운 시들과 책이 있으니
위안이 되네요^^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appletreeje 2013-12-28 15:04   좋아요 0 | URL
예..슬픈 시예요.^^
그런데 저도 살을 빼야 하는 이유가 너무 많군요..흑흑..
시경님께서는 별로 없을 것 같아요~ㅎㅎㅎ,
마음이 분주하기는 저도 마찬가지인데...이궁, 왜 우울하실까요..
우울해하지 마시고~착한시경님께서 너무나 기쁘고 즐거워하시는
책들과 함께, 행복하고 좋은 주말 되세요~*^^*

보슬비 2013-12-29 15:16   좋아요 0 | URL
'내가 살을 빼야하는 이유'를 읽고 뜨끔했어요. ^^;;

요즘 추워져서 운동도 게을러져요.
계속 따뜻하게 웅크리고 좋아하는 책만 읽고 싶어지는 계절이긴한가봅니다.

약속은 많고 운동은 않하고 체중계는 올라기기 귀찮고..... ㅎㅎ

appletreeje 2013-12-30 12:25   좋아요 0 | URL
저도요...ㅠㅠ
저야말로 모임이 있어 외출하지 않을때면
하루의 대부분을 거의 책상에 앉아 있기에(게다가, 심한 운동부족..)
이 겨울엔 체중계가 무섭답니다~^^;;;

비로그인 2014-03-10 00:48   좋아요 0 | URL
시인의 얼굴이 저도 참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