樹話에 대하여

 

                                                       -김영태

 

 

 

 

 

                       아무때나 저는

                       실물보다 아름다운 祭器와

                       제기 안에 들은 마른 열매 두 개를

                       보러 가곤 합니다

 

                       이 조그마한 소품은

                       凡夫인 제게

                       평범하지 말기를

                       애써 강요하지는 않았습니다만

                       樹話가 그린 제기는 아무리 봐도

                       비뚤어진 선이

                       아래로 처진

                       그릇 모양과

                       오래 덧발라 피 마른 색

                       작고 쓸쓸한 열매가

                       평범해지면 못 쓴다구!

                       꾸지람을 대신하곤 합니다

 

                       말년에는 그의 붓이 點이 됐습니다 별 하나 별 둘 그리운 얼굴로 변했

                    습니다 점 찍으려고 구부린 樹話의 큰 키가 저같이 볼품없는 제자도 자

                    네와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꼬, 점 중에 끼워 주었을 때 그의 손

                    바닥이 조아린 저의 머리꼭지에 살며시 내려와 쓸어주곤 했습니다

 

                                                                                                        (1978 )

 

 

 

 

 

 

 어제 저녁, 김환기 화백의 탄생 100주년에 맞춰 나온 <김환기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에 대한 책소개를 읽었다. 오래 전에 잃어버린 김환기 화백의 책,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를 생각했고, 그 시간에 대해 다시 생각했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는 김광섭 시인의 '저녁에'의 마지막 귀절을 빌어 樹話 김환기 화백이 뉴욕생활 11년 말년에 그린 작품의 제목이다. 수많은 인연들을 하나하나의 點으로 사람들과 고국에 대한 그리움,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우주적 윤회를 그린 작품이다

 내가 1995년에 김환기 화백의 에세이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를 사서 읽고 그리고 몇년이 지나고 어떤 개인사적인 변동의 시기에 있었을때, 그리고 몇 번의 이동이 있었을 때 아마 이 책을 잃어 버린 듯 하다. 이 책뿐만 아니라 요절화가 최욱경의 책이나 권진규의 화집, 그리고 김환기나 박수근 이중섭.. 장욱진의 화집등 아끼고 사랑했던 많은 책들을 그 시기에 잃어 버린 듯 하다.

 그리고 세월이 많이 지나고 나는 이제 그 책들에 대해 잊고 있었고, 그 시간들에 대해서도 또한 잊고 있었다.

 그런 나에게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가 다시 찾아 왔다.

 혼란과 어쩌면 피폐하기까지 했지만, 지금 생각해 보니 그래도 그때는 꿈이 어두운 밤하늘 속에서 반짝이는 별처럼.. 깜박깜박 눈에 잘 보이지는 않아도 그래도 조그만 별빛으로 삶 안에 빛나고 있었던 것 같다.

 김영태 시인의 '樹話에 대하여'도  오랜 시간동안 사랑했는데 이 詩도 역시 잊고 있다가 오늘 아침 다시 찾아 읽었다. 내가 사랑했던 이 詩人도 이제는 별이 되어 떠났다.

 인터넷 책방이 없었던 시간에 발품을 팔아 화랑으로 미술관으로 서점으로 삶의 기쁜 꿈들을 가슴속에 가득 담아 무엇인가 희망을 기다리고 사람과 사람에 대해 아름다운 정을 나누던 그 시간이 떠올랐던 어제 저녁이었다.

 다시 일어나 걷는다. 지금도 앞으로도 우리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

 부디 우리 무엇이 되더라도 아름답게 다시 만나자.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림모노로그 2013-04-05 10:20   좋아요 0 | URL
제목에서 부터 가슴이 짠하네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전 정호승 시인의 우리가 어느 별에서 만났기에 이토록 애타게 그리워하는가 와 같은 애잔함이 드네요 ~ 제가 가장 좋아하는 노래이고 시인데 ㅋ
김환기님의 책이 나무늘보님의 가슴 한 켠에 남겨 놓은 의미를 저도 느껴보고 싶어요.
전 아직 이 분의 책을 만나지 못했거든요 ㅎㅎ
덕분에 좋은 책 알게 되어 기쁩니다 ㅎㅎ
누군가의 무엇이 되기 위해 오늘도 ^^ 힘찬 하루를 열어봅니다 ㅎㅎ

appletreeje 2013-04-05 13:53   좋아요 1 | URL
이번에 새로 나온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는, <간송 전형필>의 저자이신 이충렬님이 쓰신 김환기 정본 전기이고
제가 읽었던 책은, 김환기 화백의 산문집이었는데 절판 되었던 책을 환기미술관에서 2005년에 새로 나왔네요.^^
늘 누군가의 무엇이 되시는 드림님!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

2013-04-05 10: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4-05 13: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3-04-05 10:49   좋아요 0 | URL
아름다운 나라에서 아름다운 숨결로 즐겁게 만나겠지요

appletreeje 2013-04-05 13:24   좋아요 0 | URL
예~그러리라 믿습니다. ^^

수이 2013-04-05 14:53   좋아요 1 | URL
'아름답게 다시 만나요' 언제 어디에서고! 나무늘보님~ :)

appletreeje 2013-04-05 15:12   좋아요 0 | URL
예~~그래요. 우리 모두요, *^^*

mira 2013-04-05 17:39   좋아요 0 | URL
저도 이책 기대하고 있어요

appletreeje 2013-04-05 23:25   좋아요 0 | URL
저도요~^^
mira-da님! 반갑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후애(厚愛) 2013-04-05 20:34   좋아요 0 | URL
다 읽어보고 싶네요.^^
좋은 책들 알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appletreeje 2013-04-05 23:30   좋아요 0 | URL
정말 다 읽어보고 싶은 책들이 너무나 많지요~^^
이건 우리 알라디너들의 공통고민이겠지요~?

후애님! 편안하고 포근한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