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야기 보따리 한국사 ㅣ 역사 친구 1
소와역사연구실 지음, 안지혜 그림 / 소와당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울아들이 보고 보고 또 보고 하는 책이다. 나보다 이 책을 더 기다렸던듯 더 반가워 한다. 울아들이 역사이야기를 유독 좋아한다. 읽을 때마다 "어머니 이땐 이랬데..저땐 이랬나봐.." 이런식으로 이야기를 해준다. 이 책을 읽고도 많은 이야길 내게 전해준다. 말 그대로 이야기 보따리에서 이야기를 해 주듯 하기 때문이다. 한장을 넘길때마다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 책은 기원전부터 대한민국으로 거듭나서 휴전선을 넘은 소까지의 이야기가 나온다. 거의 근 현대사이다. 이렇게 한권으로 된 책은 이 책 아님 없다. 이 책 한권만 있으면 우리나라의 이야기가 한손에 있는 것이다. 게다가 아이들이 보기좋게 만화그림에다 만화로 풀어내기도 한다.
가장 기초적인 선사시대부터 한눈에 볼수 있다. 흥수이야기는 처음들어보는 이야기다. 잘못 읽어 홍수로 읽었다. 이러니 편견이나 아는척이 좋지 않은 것인가 보다. 흥수이야기는 동굴안에 어린이 뼈가 나타난데서 연유한 이야기다. 그 뼈를 발견한 사람 이름이 "흥수" 라서 그 뼈를 흥수라고 한단다.
사람들은 편견으로 인해 그리고 오류로 인해 우리네 역사를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편견을 버리고 역사적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아이들에게 이야기 해줬으면 좋겠다. 우리네 아이들에겐 우리역사가 장대한 만큼 자존감을 심어줄 수 있는 역사이야기를 해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도 이 책은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연대순도 그렇고 모든것이 깔끔하게 정리되는 느낌을 준다.
처음 기본 연대를 집어준다. 선사시대이전, 선사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이렇게 시대의 단락을 끊어서 이야기 해준다. 죽 연결되어 간혹 아이들이 헷갈려 하는데 그걸 없애 준것 같다. 또한 그 연대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될 주목적 3가지를 먼저 조목 조목 설명해준다. 그 다음 이야기에 들어가는데 연대표로 표기를 기본으로 하고 그 연대에 독특한 이야기는 서술적이지만 간략하게 전해준다. 가령 위에서도 이야기했지만 흥수이야기나 견훤이야기나 왕권이야기 같은거다. 아이들한테 이성계의 왕꿈 꾼 이야기도 해준다. 처음엔 한자를 이해할까라고 생각했는데 요즘 아이들은 거의다 한자급수를 치니까 왕자정돈 알 수 있을것 같았다. 그렇게 많은 이야기를 통하여 역사 상식도 알게 되고 역사를 이해하는데 좀더 쉽게 아이들에게 접근할 수 있을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