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경 -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손정미 지음 / 샘터사 / 2014년 10월
평점 :
예전에는 역사소설은 거의 조선시대 소설이 주류였다. 가끔.. 어쩌다 가끔 고구려와 고려에 대해서 나오긴 했다. 하지만 신라..라는 나라는 그렇게 좋은 이야기를 듣지 못했던 듯 하다. 그런데 요즈음 부쩍 신라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하긴 천년의 시간을 가진 신라이기에 무한한 이야기 소재를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우리나라 남쪽 자그마한 변방지역이어서 그랬는지 그다지 각광 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최근에 나온 "황금보검" 같은 책을 통하여 우리나라를 밝히고 다른나라와 무역의 중심으로 그려지고 있어 경주인근에 사는 나로서는 반가운 일이다. 지역의 역사가 재조명되고 있기 때문인것 같아서 말이다.
왕경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중에서 가장 힘이 없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직전에 시대적 배경과 상황을 그시대의 중심인 젊은이들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그려내간다..가장 힘이 센 고구려 귀족의 자재 준수와 백제의 충신 윤충의 딸 정이의 몸종..이자 대타역을 맡은 정이.. 그리고 역동의 시대를 살아간 신라의 김유.. 세명을 통해서 바라본 백제의 상황..고구려의 격변하는 정세도..통일을 준비하는 신라를 엿볼수 있다. 그들이 모두 통일을 준비하는 신라인 수도 왕경으로 모이게 된다. 왕경으로 오게된 사연은 다르지만 우연한 기회에 셋이 같은 장소에서 각자의 눈과 사연으로 격변하는 시대에 각자의 방법으로 반응하는 것이 재미나게 그려져 있다.
삼국시대 신라의 왕경은 황금보검에서와 같이 화려하다. 전쟁의 기운이 밑바닥에 깔려있지만 그러함 때문에 더 화려하고 자유롭게 비춰지는 것 같다. 귀족자재나 귀족녀들은 마음에 맞으면 마음에 드는 남녀끼리 바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 귀족의 집도 금까지 입혀서 금입택 집이 많고.. 여자들도 귀거리 같은 장신구는 물론이고 사향까지 공공연하게 쓰이는 듯 하다. 작은 나라 수도에 황룡사와 9층탑을 중건하여 그 주변 놀이를 하면서도 남녀의 자연스러운 만남을 조성해 주는 듯 하다. 계림의 자녀로 태어나면 화랑이라는 무리에 들어가야하고.. 화랑은 전쟁이 터지면 바로 전쟁터에 가서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하는 단점이 있다. 용맹히 싸워서 죽어서라도 이름을 가져와야만이 대우받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어서 어중간하게 살아서 돌아올수가 없는 것이다. 언제 자신이 전쟁터에 가서 죽을지도 모르니까..그렇기에 살아있을때 바로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을 택했던 듯 하다.
지금의 통일된 나라에서 태어났다면 서로가 절친한 친구가 되었을텐데... 각자의 이해관계때문에 친하고 싶은 마음과 죽이고 싶은 마음이 공존되어 있는 모습을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친구가 될수 있는 상황에 적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그래도 젊은이 답게 장안과 서역 및 다른나라의 물건을 보면서 세상을 꿈꾸고 있다.
신라가 통일해서 우리나라 영토가 줄었다고 이야기를 많이 하지만 그래도 통일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계속 준비하는 사람이 중요한 듯 하다. 고구려는 힘이 강하기에 신라와 백제를 버려두고 무리한 당나라를 멸하고자 했지만 너무 강한 연개소문의 힘 뒤에 남은 것이 없어 그대로 무녀져 내렸다. 강한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힘이 없어도 차근차근 준비하는 사람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