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운 책을 하나 만난것 같다. 일단 가제본책을 접한것이 나의 첫경험이다. 그동안은 항상 정형화된 책을 봐 왔지만 가제본 책은 연극대본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옆에서 보는 다른이들도 책 읽는 나의 모습이 일반적인 독서법이 아닌 다른 모습으로 보여졌으리라.. 그래서 어떤것인지 궁금함을 느끼고 물어오기도 했다. 색다른 경험이었고.. 새로운 경험이었다..

두번째로는 이것이 철학책이라는 것이다. 청년과 학자의 문답형으로 되어있긴 하지만 철학책이라는 것에는 두말할 여지가 없다. 대부분 철학책이라면 딱딱하게 여겨졌을 것이다. 나 또한 그러했으니까.. 웬만하면 장르를 가리지 않는 나이지만, 되도록이면 철학책은 손이 잘 가지 않는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한 내가 이 책을 아주 재미나게 읽고 있다. 더군다나 철학책을 말이다. 이또한 특별한 경험이었다. 새로운 것에 도전했다는 성취감까지 느낄수 있었다.

 

이 책에서는 철학자 "알프레드 아들러"의 철학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라 대충 넘어가려고 했는데.. 서시히 재미를 더해줘서 한번 찾아 봤다. "알프레드 아들러"는 프로이트와 조금 늦게 태어났지만 같은 시대를 살다간 철학자이다. 오스트리아와 미국의 정신의학자이기도 하고 심리학자이다. 개인심리학의 창시자.. 이기도 하다.

청년은 프로이트의 원인론..을 공부한 학생인것 같다. 요즘 유행하는 사람유형..기질론.. 같은 것을 많이 섭렵한듯하다. 그래서 자신이 과거에 살았던 원인에 의해서..또한 기질에 의해서 현재의 사람이 행동하니까, 그행동은 변하지도 않고 바뀌어지지도 않는다는 이야기였다. 하지만 철학자는 과거는 과거일뿐... 그것과 지금은 아무 상관관계가 없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렇게 이야길 하면서 아들러의 심리학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다. 요즘 원인론과 기질형이 유행하고 있기도 하고 대부분 들어왔기때문에 나또한 청년과 같은 생각이었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는... 하지만 아들러의 "목적론"을 이야기하면서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목표를 정하고 행동하라고 이야길 한다. 그중에서 예를 들어 이야기한 모든 것이 읽는 나의 경우와도 맞는듯하였다.

 

맞는 나의 경우란.. 어느순간 현재의 틀에 나를 가두고 그속에서 사람들에게 튀지말고 살것을 정해버렸다. 조금이라도 큰 목소리가 나면 사람의 중심에 들어가게 되는거니까 소리가 점점 들어가게 되고, 무대공포증이 생기면서 마이크공포증도 함께 오게 되는 것이다. 여러사람과 함께 노래할 때는 잘 나오던 목소리가 마이크만 손에 쥐게 되면 목소리가 나오지 않게 되니까 말이다.

 

이 책속에서 나의 닮은 점을 찾아가게 되고.. 앞으로의 나의 삶의 결정에도 도움이 될것 같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이 책을 차근차근 읽어보길 권하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