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의 생각은 상당히 상식적이다. ‘나‘가 본래적 현존재가 되고 ‘타자(공동 현존재)‘ 또한 본래성을 획득한 세계는 조화로운 곳이 된다는 말이므로..
반면
감정이입을 통한 타자의 이해를 ‘존재론적 제국주의‘라고 일갈하는 레비나스의 생각은 신선하다 못해 섬뜩하다. 그것은 절망적인 죽음과 맞닥뜨린 자만이 길어올릴 수 있는 생각 같다. 존재의 밑바닥을 경험한 사람이 길어올릴 수 있는 깨달음의 생명수 아니었을까?
인간은 경쟁하고, 타자를 이해할 수 없다. 그 순간 타자는 이해할 수 없고, 죽이고 싶은 존재라고 느끼게 된다. 그 죽이고 싶도록 이해 불가능한 타자의 타자성이야말로 알고 싶고 이해하고 싶은 형이상학적 욕망을 불러일으키게 되지 않는가? 그 과정을 통해 우리는 남을 그저 있는 그대로, 타자를 타자로 인정하게 된다.
아우슈비츠에서 가족을 잃은 레비나스는 그 고통스런 절망 끝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싶었을 것이다. 왜, 그들은 나의 가족을 죽였을까? 도저히 이해 안 되는 남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절망의 구렁텅이에서 벗어날 수 없었지 않을까?
나는 내게 묻는다. 내 안에 신성이 있는가? 그렇다면 나 말고 저 많은 사람들도 모두 나처럼 신성을 지닌 존재들인가? 그들을 신처럼 대해야 하는가?
나는 정말 다른 사람들을 조건 없이 믿을 수 있나? 그들 역시 내 안의 선하고자 하는 의도를 조건없이 믿을 수 있을까?
그건 참 이루어지기 어려운 경지일 것이다. 말로는 쉽지만 타자를 영적인 존재로 받아들이는 마음을 의식적이지 않게 그냥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된다면, 참 좋겠다.
그 순간 너와 나는 서로를 믿고 일상적 존재하기를 넘어서 서로의 눈을 보게 될 테고, 함께 행복에 충만하게 될 텐데..
레비나스의 생각을 좀 더 따라가며 알아 보자. 아우슈비츠의 끔찍한 상흔에서 벗어난 그의 사유의 도정을 더 따라가 보자.
결론적으로 하이데거는 "나"와 "타자"의 관계를,
① 비본래적인현존재들 사이의 관계, ② 본래적인 현존재와 비본래적인 현존재사이의 관계, ③ 본래적인 현존재들 사이의 관계
로 구분하고 있다. 이중③의 경우를 가장 바람직한 관계로 평가한다. 이런 의미에서 ‘인간 현존재는 자기 자신의 고유한 존재(본래성)를 찾아가야 한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은 "나"(인간 현존재)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또다른 "나"인 타자(공동 현존재)에게도 해당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레비나스의 비판은 하이데거에 대한 오해나 부정확한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P9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도 우리는 타자를 "나"와 비슷한 존재로 여기고 있는 셈이다. 즉 타자는 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 타자를 이해하고 있는 서구 철학을 레비나스는 "존재론적 제국주의"라고 비판하며, 여기에 후설과 하이데거 철학을 포함시킨다. 후설이나 하이데거 모두 타자를 주체와동일한 자로 여김으로써 타자의 타자성을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 P93
그러나 타자가 나와 다르다는 점이 타자를 죽여야 할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타자 역시고귀하고 소중한 그 자신의 "나"라는 존재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이렇게 타자를 경쟁과 정복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으로부터 그의 타자성을 인정할 때, 타자는 "나"에게 말을 건네기 시작하며 나는 타자의 말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레비나스는 물질적 욕구와 달리 형이상학적 욕망이라고 부른다. 형이상학적 욕망을 통해 "나"는 "나" 안에 갇혀 있던 자신의 존재로부터 타자를 향해 떠날 수있는 것이다. - P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