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분석에서는 이 근원적 계율을 상징적 거세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우리는 이것을 말의 계율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 계율중의 계율이 규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계율은 인간이 언어를사용하는 존재인 이상, 인간의 집이 언어의 집인 이상, 인간의존재는 언어를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이 계율에따르면 ‘말‘이 인간의 삶을 인간답게 만들고, 인간의 가슴에 상실의 경험을 전달하고, 욕망이 힘을 발휘하도록 만든다. 무슨 뜻인가? 인간의 삶이 인간다워지고 동물의 삶과 구별되는 것은 언어와 말에 노출되기 때문이라는 뜻이다. - P41

불가능성의경험은 언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인간에게 삶의 인간화를위한 하나의 조건으로 삶의 상실을 강요하는 하나의 분리 도구처럼 작동하는 것이 곧 언어다. 이 상실은 그러나 도덕적 속죄일종의 결핍 혹은 질병처럼 간주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 P42

노이로제와 도착증은각각 희생적 차원에서 한계를 예찬하는 행위(노이로제)와 모든한계의 경험을 거부하는 쾌락의 강조 행위(도착증)를 가리킨다.
둘 다 고통과 질병을 가져오는 잘못된 길들이다. - P42

노이로제 환자가 삶의 피난처와 절대적 보장으로서 이상적 ‘타자‘를 존재케 할 목적으로 한계에 대한 병적 열정을 품고 있는 반면, 도착증 환자는 한계를 꾸미고 장식한다. 그러나 그것은 오로지 그 한계를 지속적으로 위반하기 위해서, 불가능성을 부인하고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일 뿐이다. - P43

한계의 경험을 도입하는 것은 거세의 법칙이지만, 동시에치명적 쾌락의 심연으로부터 인간의 구원을 약속하는 것 역시거세의 법칙이다. 이 법칙이 욕망을 치명적 쾌락과 전혀 다른 종류의 쾌락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고 보고 지지한다면, 우리는 욕망이 삶을 억압한다기보다는 오히려 해방한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바로 이것이 부모와 아들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일 아닌가?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행동(중상)에는 긍정적인 의도(포지티브 인텐션)가 있다!
이것은 NLP의 전제이다. 그만 두고 싶은데도 그만 둘 수 없는행동들, 불쾌하게만 느껴지는 여러 가지 증상들에도 긍정적인 의도가 깔려 있다는 것이다. 본인은 알아차리지 못하더라도 뒤(무의식)에는 반드시 그것이 있다. - P157

우리는 먼저 스스로, 혹은 서로에게 ‘그 행동을 하면 무엇을 얻을 수 있습니까? 라는 질문으로 몇 가지가 되든지 그 밑바닥에 있는 긍정적인 의도를 발견해야 하는 것이다. - P161

그런데 긍정적인 의도를 깊이 파 들어가 보면 의식의 밑바닥에는자기방어, 자기승인, 애정과 같은 상태들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담배의 예에서도 ‘마음이 가라앉는다, 기분전환이 된다‘ 라는 것은 실은 피곤하거나 마음이 초조할 때의 자기방어책의 의미가 있고 ‘어른처럼 느껴져요, 매력적이고 멋지게 보이는 것 같다‘라는 대답에는 자기승인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 P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관계에서 은근히 무서운 사람 특징

1. 조용해보이지만 상대방을 잘 파악하고 있다.

2. 인간관계에 있어 아쉬움이 없다.

3. 평소엔 남을 잘 이해해 주지만 선을 넘으면 칼같이 손절한다 - P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앞에서 영화가 상영되고 있는 듯한 느낌으로 그 사람에게 그 행동을연기하도록 한 다음, 이번에는 자기가 그 영화 속으로 들어가 자기가 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을 이미지 한다. 지금까지 소개한 엑서사이즈는 두 사람이 같이 하는 것이 많았지만, 이 모델링은 한 사람이라도 할 수 있다.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앵커링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가이드의 손이 상대방의 몸에 닿는 타이밍입니다. 상대방의 상태를 충분히 캘리브레이션해서 리소스풀한 상태가 최고조에 달하기 직전이 앵커링하기에 가장 적절한 타이밍이죠. - P124

의식 가운데 있는 시간의 흐름은 대체로 한 줄기 선으로 되어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타임 라인‘ 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사람들은 각각 서로 다른 타임 라인을 가지고 있다.  - P125

타임 라인과 앵커링 연습에서 과거의 체험을 기억할 때, 실제로 이 타임 라인에 따라 과거의 방향으로 이동해 보고, 미래의 일을이미지하여 그릴 때에는 미래의 방향으로 이동해 보면 보다 선명하게 시각, 청각 그리고 체감각으로 된 이미지들을 떠올릴 수 있을것이다. 지금 당장 자리에서 일어나 자신의 타임 라인을 바닥에 설정하고 몸을 움직여 보자.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