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그리는 무늬 - 욕망하는 인문적 통찰의 힘
최진석 지음 / 소나무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도서관에서 마포 '한 도서관 한 책읽기'로 접하게 되었다.
평소 문학고전과 역사책을 즐겨본다.  원래 그런 것은 아니고 아이를 낳고 특히 그런 것 같다.
내가 왜 인문학책을 좋아하게 되었는지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어서 기뻤다. 
뭔지 모르지만 끌리는 그 기분을 이론적으로 잘 설명해 준 느낌이라고 할까?
 
서강대 철학과 최전석 교수가 쓴 이 책은 논리적이며 매끄럽고 여러번 읽어도 건질 것이 많은 책이다.
어렵지도 않고 쉽게 쓰여있어서 공감하기도 쉬웠다.
 
우리나라에 인문학 열풍이 부는 이유가 주체적이고 싶기 때문이라고 했다. 
중국이나 미국에 의존해왔고 사상과 철학까지도 수입해다 쓰던 우리가 우리자신이고
싶어하는 마음이 생겨서라고 설명하는데 일리가 있었다. 
내가 '우리'라는 공동체 안에 '나'를 가두고 있다고, 이념과 개념을 넘어서
나의 욕망을 찾아서 살라고 조언한다. 
이런 일들이 바로 인문학책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인문학은 시간적 여유와 경제적 여유가 있어서 즐기는 여유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더듬이(통찰력)이라고 한다. 
상인들은 시대의 흐름을 읽어나가야하고 더듬이가 발달해야하기에 인문학을 공부한다고...  
 
예전에 자기개발서에서 CEO들이 논어 스터디를 한다고 책에서 읽은 기억이 난다.
그 이유가 친목도모나 취미가 아니었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상인도 아니고 정치인도 아닌 나는 왜 인문학을 공부하고 인문학 책을 읽는가?
시대를 읽고 싶어서다.  내가 보는 이 세계를 바로 보고 싶어서다.
하루하루를 바쁘게 살아가는 나여서 다른 곳을 돌아볼 시간이 없지만
인문학책을 통해서 통찰하고 싶어서다.
 
근대는 '이성'에 촛점을 두었다면 현대는 '동물'에 촛점을 둔다고 한다.
인간이 이성적이라고 믿었지만 세계1,2차대전으로 인해서 인간의 이성에 의문을 품고 회의를 느꼈기에
패러다임이 바뀐게 아닐까?  나도 동물의 감각에 대해서 생각하는 중이었다.
인간도 동물이고 결국 인간은 '세련된' 동물에 지나지 않을까?
인간이 욕망 앞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나는 인간안에 내재하는 '동물'을 인정하고 동물적 감각을 키워야한다고 생각한다.
욕망은 부정적 단어라고 생각했지만 이 책을 읽고나서 긍적적인 단어인 욕망을 만났다.
 
내 안에 욕망을 들여다보고 진정한 나를 만나고 싶다.
'바람직함'을 벗어던지고 오롯한 나를 만나고 싶다.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고 칭찬받기를 원하는 과거의 내게 작별을 고하고 싶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고관념적 사회에서 가능할까?
그래서 인문학 열풍이 부는 걸 보면 사회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 예상된다.
나도 나답게 살고 싶다.
 
자기가 자기 존엄성을 갖지 못하고, 자기가 자기를 믿지 못하고, 자기가 자기를 사랑하지 못하게 되어 버리죠. 
이건 불행입니다.  인격적 왜곡을 피할 수 없습니다.  폭력은 여기에서 나옵니다.  111쪽
 
예술은 명사적으로 굳어진 나를 동사화하도록 자극시켜 주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121쪽
 
조선은 다른 토양에서 만들어진 수입품으로서의 이념을 끝까지 고수합니다.  왜 그랬을까요? 
리가 만든 것이 아니라서 우리가 변화시킬 능력이 없는 겁니다.  128쪽
 
우리 스스로의 메시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론을 가지고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문제에 접근해야 합니다.  그래서 문제에서 이론을 생산하는 주도적 힘을 가져야 합니다. 130쪽
 
전문가들이 자기만의 경색된 이론 틀로 실천가와 행동가들의 발목을 잡으면 안 됩니다. 
지식으로 무장한 이론가들이 쉽게 지위가 높아져서도 안 됩니다. 
전문가들은 행동가와 실천가들에게 사용되고 이용되어야 합니다. 146쪽
 
지식은 "아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모르는 곳으로 넘어갈 수 있는 것"까지여야 합니다.  1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