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가운 입김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멀리 있어야한다.  <본문에서>

 

이 책은 요리와 티타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내 마음에 닿는 메세지는

바로 저 글귀였다.

 

우리 모두 몸 안에 성냥갑 하나씩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혼자서는 그 성냥에 불을

당길 수 없다고 하셨죠.  방금 한 실험에서처럼 산소와 촛불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거에요.  예를 들어 산소는 사랑하는 사람의 입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촛불은 펑하고 성냥불을 일으켜 줄 수 있는 음식이나 음악, 애무, 언어, 소리가 되겠지요.  <중략> 사람들은 각자  살아가기 위해 자신의 불꽃을 일으켜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야만 합니다.  그 불꽃이 일면서 생기는 연소작용이 영혼을 살찌우지요.  다시 말해 불꽃은 영혼의 양식인 것입니다.  자신의 불씨를 지펴줄 뭔가를 제때 찾아내지 못하면 성냥갑이 축축해져서 한 개의 불도 지필 수 없게 됩니다.  <본문 124~125>

 

 

 

책표지는 폴 고갱이 그린 타히티 여인들과 닮아있다.

원시적, 원초적 느낌이 물씬 나는...

 

전체적으로 환타지나 만화같다.  쉽게 사람이 죽는다.  그런 죽음에 세밀한 심리묘사는 없다.

그저 스토리가 전개된다.  슬픔도 그리 느껴지지 않는다. 

티타가 만들어 준 요리를 먹은 사람들이 슬픔을 느끼다가 토하기도 하고

갑자기 사랑을 느껴 최음제같은 역할을 하기도 하고

 

음식을 먹고 사람들이 만들에 내는 리액션이

일본만화에서 보는 리액션과 닮아있다.

최근 심각한 책들만 읽다가 이 책을 읽으니 웃음이 막 터져나온다.

가볍다라고 느낄 수 있으나 이런 책 또한 필요한 것 같다.

 

먹는것과 사랑에 대해서 쓴 글이어서 그럴까? 

표지에서 느꼈던 것처럼 원초적인 느낌이 들었다.

사랑도 이성적인 현대적인 사랑이 아니라 육감적이고 충동적인 것 같다.

티타가 페드로를 사랑하게 된 것도 좀 충동적이지 않은가?

뭐 하나하나 따지고 들자면 어색한 부분도 있지만 이 책은 그런 점이 장점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 티타가 존의 사랑을 받으며 살아가지 못한게 아쉬웠다.

부드러운 햇살같은 존의 사랑을 티타가 받아들였다면 이 책이 싱겁게 끝났을까?

아 페드로는 티타를 사랑하기는 한걸까?

티타를 사랑했다면 티타가 존과 결혼할 수 있도록 허락해줬어야한다고 생각한다.

티타를 사랑한다고 그녀를 독점할 권리가 그에게 없고

그녀를 사랑하는 댓가를 그가 아닌 그녀가 치르지 않았는가?

책의 마지막부분을 읽고 이해가 되지 않아서 다시 되돌아가서 읽기를 반복한 끝에

결말이 이해가 되었다.

 

티타는 전통을 부정하고 자신의 삶을 찾아 떠날 수 있는 강인한 여성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녀가 페드로와의 사랑을 선택함으로 떳떳하지 않고 비밀스러운 사랑으로 평생 지속한 점이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