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맨 처음 이 책을 추천받아 읽을 때는 첫 부분부터 잘 읽을 수가 없었다.  

두 번째 시도는 몇년이 지나서 동아리에서 이 책을 읽기로 정했을 때였다.

읽고 또 읽고 그래도 역시나 첫부분부터 잘 안된다.

 

그러다 아주 추운 겨울날 설매재 휴양림에 이 책을 읽었다. 

눈이 하얗게 내렸고 산 꼭대기 휴양림에서 가족이 모두 잠들고 나서

읽기 시작하니 내가 꼭 성 안에 갖힌 사람들 중 한사람이 된 것 같았다.

 

병인양요를 아주 자세하게 소설로 썼다.

청나라가 쳐들어오자 세자와 왕비는 강화도로 피신했고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했다.

남한산성에서 문을 굳게 걸어잠그고 버티는 과정이 고스란히 녹아있었다.

너무 추워서 발이 얼고 병사들이 죽어나가고

먹을 것이 동이나기 시작하면서 굶어 뼈가 앙상한 말들이 한마리씩 쓰러지면

그 말을 병사와 사람들에게 죽을 끓여먹이고

신하들은 두 패로 나뉘어 싸워야한다는 쪽과 항복해야한다는 쪽이 끊임없이 싸운다.

이저 저도 못하는 인조는 인자하지만 우유부단한 듯이 묘사된다.

 

나는 책을 읽고 탁 접으며 한숨을 쉬었다.

작고 힘이 없는 민족이었음이 속상해서였기도 했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인조가 화가나기도 하지만

내가 왕이었어도 뾰족히 좋은 수가 생각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왜 작가는 많고 많은 역사 중에 가장 치욕스러운 조선의 역사를 이렇게 소설에 담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또 많은 독자들은 조선의 치욕스러운 역사를 다룬 소설을 왜 읽는가?궁금해졌다.

청은 왜 왕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인조왕을 세웠는가? 

 

궁금한 것이 많이 생겼다.

 

대학교 때 한 교수님이 이런 말씀을 하셨다.

"한국 젊은사람들의 프라이드가 너무 높아져서 걱정이다.  국력이 받쳐주지 않는데

프라이드만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위험하다."라고. 

그때 나는 교수님이 이해되지 않아 반박했고 그런 나의 겁(?)없음에 놀라신 교수님이 

3시간 넘게 나를 앉혀놓고 설교하셨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지금의 나는 그 교수님의 마음이 이해된다.  

아마도 우리민족의 이런 역사에 비추어 말씀하셨을 것이다.

 

작고 힘없는 나라.  지금도 유효한지 모르겠다.

조선시대에는 명이나 청에 조공을 받치고 살았다면 지금은 미국에 의지해서 살고 있다.

어쩌면 그 방법이 최선인지도 모른다.

우리는 작은 나라가 아니던가.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건 뭘까?

절망감을 주고자함인가?  독자들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일까?

 

항복해야 할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이 책의 인물 중에서 이시백이 눈에 들어왔다.

자신의 맡겨진 일을 묵묵히 충실히 행하는 그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내게 맡겨진 일을 끝까지 최선을 다해서 해내는  그의 모습이 내게 닿는다.

나는 그를 닮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