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할 때와 죽을 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6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지음, 장희창 옮김 / 민음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과 사랑

아마 이 책의 핵심어일 것이다.

그런데 전쟁으로 인해서 벌어지는 처절한 상황과 애뜻한 사랑을 그렸다기보다

뭔지모를 차분함이 있다.

독자가 다른 그 무엇에 집중하도록 하려는 의도일까?

 

내가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전쟁으로 인간이 어떻게 변해가는가가 아니라

전쟁에 참전한 한 군인이자 이 책의 주인공인 그래버가 왜 전쟁을 해야하고

왜 전쟁은 계속되는가를 고민하는 모습에 포커스가 맞춰진 책같다.

 

배경은 세계2차 대전 러시아와 독일이다.  독일군인인  그래버가 3주간의 휴가를 나왔다.

불타버린 마을을 보고 자신의 부모님을 사방으로 찾다가 만나게 된 동창생 엘리자베스와 사랑에 빠지고

결혼한다는 것이 중심이야기이다.

 

그래버는 적국인 러시아군을 죽여야함에도 불구하고 더이상 사람을 죽이고 싶지 않다는 아주 개인적인 생각을 한다.

만약 그래버가 러시아군을 죽이지 않는다해도 러시아군이 독일군을 발견하면 그들도 똑같이 그래버를 참혹히 죽일 것이다.

책에서도 그래버가 러시아 포로를 놓아주었음에도 그들에게 죽임을 당하는 부분이 나온다.

내가 적을 죽이지 않으면 내가 죽임을 당한다.

 

국가는 무엇인가? 

나를 지켜주는 보호막인가?

생명을 존중하는 것보다 국가를 위해 싸우는 것이 더 중요한가?

왜 인간은 국가라는 경계를 그어놓고 서로를 죽이는 전쟁을 하는가?

지금의 국가경계가 많은 시간이 흐른뒤에는 달라질것이고

서로가 서로를 죽이는 적이었다가 후대에 한 나라가 될 수도 있는 것이 아이러니다. 

 

지도자를 잘 뽑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소수의 지도자들이 전쟁을 택하기도 하고 평화를 택하기도 한다.

그들의 선택이 그 나라에 살고 있는 개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가?

정치는 생명이다라고 나꼼수에서 들었을 때 그 당시 정치와 거리가 먼 나로서는 좀 부담되고

과장된 말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사랑할 때와 죽을 때>를 읽고나니 갑자기 그 말이 떠오른다.

 

정치는 생명이다.  나와 내 가정, 그리고 내가 살고 있는 이 나라를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