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서현 지음 / 효형출판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수많은 책들 속에서 서현이란 저자의 이름을 발견하고 열어보지도 않고 구입한 책.

 

그 만큼 처음으로 읽었던 서현씨의 책이 마음에 꼬옥 들었다.

그 이유?

1. 군더더기 없는 글씨기와 산큼한 표현력.

2. 건축이라는 일반인이 접근하기 힘든 주제를 가지고 책을 내는

    다른 건축가가 가보지 않은 길을 선택했기에

 

이 책도 내게 무한한 즐거움을 주었다.

한 분야의 전문인이 되고 그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책을 쓰는 사람도 부러운데 그는 책도 잘 쓴다.  부러워라~~~

아무튼 서두가 너무 길어졌다.

 

이 책을 읽고 결혼전 종로를 좋아하고 인사동을 좋아하던 나는 무심코 그냥 지나치던 나의 시선을 다시 바로 잡는 기회가 되었다.

 

건물의 외관은 물론 창과 향과 건축가의 의도까지도 읽어보려고 노력할 것이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  그래서 아는 것만큼 즐겁다라고 하고 싶다. 

 

 

아치와 이맛돌이 중요했던 시절이 지나고 지금은 이맛돌을 장식으로 쓴다는 이야기 뒤에

 

그러나 돌을 붙여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아치가 지녔던 의미는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이맛돌이 덩달아 무의미해진 것도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아직 아치는 돌로 된 건물의 곳곳에 장식적으로 등장하고 이맛돌은 거기서 박제처럼 매달려 있곤 한다.  가슴 벅찼던 그 순간을 찬미하는 화석이 되어 있는 것이다. <113>

 

 

 

건물에 들어서면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여겨지는 것들에 대해서 

 

백화점은 건축가가 만드는 시장이다.  따라서 백화점에는 부산함이 가득 채워져 있어야 한다. ....시장을 시장답게 설계하는 것이 건축가가 하는 일이다.  백화점을 설계하는 건축가가 할 이른 사람들에게 시장의 분위기를 느끼도록 해주는 것이다.  뭔가 신나는 일이 있을 것만 같은 들뜬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건축갇르은 가장 중요한 소도구들을 눈앞에 모두 늘어놓는다.  ...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복도가 모두 그런 것들이다.<146>

 

 

아래 글을 보고 당장 연건동에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서울 연거동에는 <대한의원 본관>으로 사용하던 건물이 있다.  그다지 크지는 않지만 1908년 대한제국의 탁지부에서 설계하여 완성하였단느 이력이 보여 주는 대로 그 역사적인 의미는 범접할 수 없는 것이다.  그 옆에 <서울대학교 병원>을 설계하게 된 건축가는 이 사적에 최대의 경의를 표하였다.  대학병원 건물은 일반적으로 그 크기와 복잡함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건물들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 큰 규모에도 불구하고 <서울대학교 병원> 건물은 두 팔을 넓게 벌려 <대한의원 본관>을 포용하느 듯한 자세로 배경에 물러서 있다.  그리하여 두 건물은 서로를 빛내 주고 있다.  사람으로 치면 전생에 이미 점지된 배필인 듯도 하다. <184>

 

 

이 책을 읽었을 때 클라이막스는 아마도 다리부분을 설명하는 것이었던 것 같다.  한강을 지나칠 때마다 보곤하는 수 많은 다리에 대한 약간의 지식(?)이 생겨서 이제는 좀더 다리를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지 않을까?  이 부분은 직접 읽어보세요~~

 

갑자기 건축에 대한 공부를 하는 것도 매력적이란 생각이 들었다.  누구에게 이 책을 선물해주고 싶다는 생각과 더불어...

 

항상 사진기를 갖다대면 인물(나)을 중심으로 찍었는데 이제는 간혹 멋진 건물도 함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이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