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오바마 - 변화와 희망의 퍼스트 레이디
엘리자베스 라이트풋 지음, 박수연 외 옮김 / 부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버락 오바마가 미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을 때 그 옆에 서있던 그녀도 궁금했었다.   흑인에 대한 편견이 없지 않았던 내게 그들은 내가 아는 흑인의 이미지가 아니었다.  지적이고 명석해보이는 그들의 이미지는 내가 흥미로워할 만했다.

 

그럴 찰나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렇지만 내가 기대했던 책은 아니었다.  나는 그녀가 어떻게 남편이 미국의 대통령이 되기까지 어떤 노력을 했으며 그녀의 꿈을 어떻게 이루었는지가 궁금했었던 것인데  미셸 오바마가 선거운동으로 바빠서 인터뷰에 응하지 않았기에 주로 언론이나 선거운동에서 보여준 그녀의 모습 등을 격식없이 풀어낸 책이다.  덕분에 미국대선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는 듯했다. 

 

미셸은 성격이 불같고 승부욕이 대단했다고 한다.  초등학교 때 선생님이 미셸의 성격에 대해 한 마디 하자 미셸 엄마는 그 선생님한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맞아요.  우리 아이 성격이 보통은 아니죠.  그래도 우리는 딸애를 그냥 이렇게 키우기로 했답니다." 미셸의 눈부신 유머 감각은 어머니로부터 온 것인가보다.

 

인상적이었던 건 힐러리와는 다른게 미셸은 엄마로서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면서 자신의 일을 했다는 점이다.  베이비 시터를 두지 않았기에 자신의 면접 보는 장소에 아기를 카시트에 태워서 데려가는 일도 생겼다고 한다.   이 부부가 두 아이를 키우며 겪었던 문제들을 토대로 일하는 여성에 대한 고충을 더 잘 알 수 있었고 미셸은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오바마를 도울 것이란 확신도 들었다.

 

미셸은 프린스턴, 하버드 로스쿨을 거쳐 일류 변호사 회사에서 일하다가 버락 오바마를 만났다고 한다.  물론 그때 버락은 하버드생으로 이 회사에 인턴으로 근무하러 왔기에 미셸이 상사인 셈이었다.  버락이 미셸에게 데이트를 청했고 미셸은 그 데이트에 응하지 않았지만 후에 버락 오바마의 감동적인 연설을 듣고 그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미셸 오바마가 미국 언론에 그렇게 화제가 된 것은 그녀는 버락과 달리 미국의 시카고에서 노예였던 흑인의 자손으로 평범한 가정에서 자라 하버드를 졸업하였으며 출중한 외모(키가 180), 화려한 말솜씨, 당당함 때문이란다.   아마도 흠잡을 데 없는 이 흑인 여성이 아마도 껄끄러우면서도 궁금했었나보다.

 

그녀의 패션에 대해서도 화제였다.  경선에서 남편이 승리를 선언하던 날 미셸은 밝은 보라빛 칵테일 드레스를 선택했다.  이를 두고 정치적인 메시지가 담겨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미국의 빨간 주와 파란 주가 하나의 미국으로 통합되어야한다는 의미에서 빨강과 파랑을 혼합해서 생기는 보라색을 입었지 않았을까하는 의도는 아닐까라며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또 ABC의 <더 뷰>에 출연했을 때 미셸은 흑백 꽃무늬로 가득한 기성복을 선보였는데 그 옷의 브랜드 이름이 화이트 하우스/블랙 마켓이었다는 것이다.   그녀로 인해 이 옷은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백인과 흑인의 화합을 원하는 그녀의 메시지였을까?  패션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보다 강력하고 정확하게 표현한 그녀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었다.  

 



미셸 오바마가 앞으로 미국의 영부인으로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더욱 궁금해진다.

 

플라톤의 명언

"내가 아는 한, 아들을 최고의 남자로 만드는 것보다 아버지로서 가치있는 야망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