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속자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7
윌리엄 골딩 지음, 안지현 옮김 / 민음사 / 2017년 3월
평점 :
참 이해하기 힘든 책이었다.
처음 읽었을 땐 심지어 무얼 읽고 있는지도 모를 정도로 혼란스러웠고
두번째 읽었을 때 그제야 조금 나아졌다고 할 수 있었지만 정확히 잘 모르겠는 부분이 있어서 책을 한참을 뒤적였다.
이런 책은 처음이다.
윌리엄 골딩은 원시인인 네안데르탈인의 시선에서 이 책을 써내려갔다.
그들의 눈과 귀와 손과 발과 입이 되어 세상을 바라보고 있어서 묘사가 많았고 이해하기가 어려웠던 부분이 있었다.
그가 얼마나 창의적인 사람인지 이 책 한권으로 충분히 알 수 있었다.
세상에 네안데르탈인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세상이라니...
"그림이 있어"라는 말로 서로 의사소통하고, 밖의 나, 안의 나가 있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하는 부분 등 한 권의 책을 다 읽어낼 쯤이면 독자들이 네안데르탈인으로 빙의되게 만드는 그의 글쓰기는 분명히 힘들게 하지만, 두 번째 읽을 때는 내가 완벽한 네안데르탈인이 된 듯한 기분으로 읽을 수 있는 신기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윌리엄 골딩은 인간에 대한 깊은 사고를 했는지 모르겠다. 오랜 시대 함께 공존했던 네안테르탈인과 호모사피엔스!! 그리고 살아남은 호모사피엔스에 관심을 갖고 우리들이 그들에게 상속 받은 것은 무엇인가를 고민했던 게 아닐까 싶다.
나는 어디서부터 왔나?를 고민하기는 하며 부모 형제 등 조상에 대한 뿌리를 찾기는 하지만, 그 뿌리를 원시시대까지 찾아갈 줄이야.
이 책은 분량이 네안데르탈인이 압도적으로 많다. 마지막 몇장에서 호모 사피엔스를 다루는데 그 글에서 호모 사피엔스가 참 밉게 그려진다.
네안데르탈인을 몰살하지 않았다면 본인들이 싹다 죽었을 거라는 말로 자기 합리화하는 호모 사피엔스!!
아마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은 모두 네안데르탈인의 편에 설지 모르겠다.
본인이 때로 잔혹하다고 느끼는가? 어쩌면 그 유전자가 호모 사피엔스에서 왔을지도 모른다.
본인이 때론 순진하다고 느끼는가? 어쩌면 그 유전자는 네안데르탈인에서 왔을지도 모른다.
"그 사람들은 나무 구멍에 사는 굶주린 늑대 같아."
"그 사람들은 바위의 틈새에서 흘러내리는 꿀 같아."
"그 사람들은 둥근 돌에 담긴 꿀 같아. 새로운 꿀에서 죽은 것들과 불 냄새가 나."
"그들은 강과 폭포 같고, 그들은 폭포의 사람들이야. 그 무엇도 그들을 당해 낼 수 없어."
"그들은 오아 같아." 224~225쪽
"새로운 사람들은 늑대와 꿀 같아. 썩은 꿀과 강 같아."
"그들은 숲에 난 불 같아." 2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