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 아티초크 / 2025년 2월
평점 :
2025년 1월 31일, 윌리엄 해즐릿의 두 번째 에세이집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영국 최고의 문장가, 열정의 논쟁가˝로 불리는 해즐릿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어는 명사, 한국어는 동사가 중심인 언어라고 알고 있다.
윌리엄해즐릿의 문장은 나무넝클처럼 미사어구들이 명사들을 감추고 있는 것 같다. 현란한 어순을 따르다보면 무슨 말을 하고 있는가?
라고 생각이 들어 다시 앞으로 페이지를 넘겼다.
이 경우를 글이 나의 마음에 닻지 않는다고 하고 거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호기롭게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읽겠다고 구매하고,
몇페이지를 읽고 덮은 기억이 다시 생각났다.
19세기에는 이분들은 셀럽이나 예술계 사회지도층 정도 일텐데, 인적 이해와 문화적 축적이 없는 상태에서 이 작가의 자유로운 글은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시간이 지나고 어느 정도 내공이 쌓인다면
온전히 다시 읽고 싶다.
그래서, 윌리엄 해즐릿을 검색을 해보았다.
[ 윌리엄 해즐릿의 에세이는 19세기 영국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들로, 현대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깊은 통찰과 영감을 제공합니다.
해즐릿의 에세이는 2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강한 시의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의 글은 현대 독자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미치며, 인간 본성에 대한 보편적 진실을 담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해즐릿의 에세이집에서 가장 인상 깊은 부분은 그의 날카로운 통찰력, 강렬한 문체, 그리고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 주제의 탐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글은 독자들에게 인간의 본질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들며, 동시에 문학적 감동을 선사합니다. ]
위 글을 공감하는 날이 오길 바란다.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