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에 대하여 - 현대 일본의 본성을 묻는 20년의 대화
서경식.다카하시 데쓰야 지음, 한승동 옮김 / 돌베개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식민 지배 전쟁 범죄에 대한 부정으로부터 시작된 최근 일본의 망동에 많은 이들이 분노하고 있다. 화이트리스트 배제 등 '경제 보복'이 문제인 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그것이 과거 침략 역사에 대한 부정에서 시작되었고, 그들이 꿈꾸는 동북아의 미래는 평화, 화해, 공존이 아닌 "대동아 공영론"에 잇닿는 다는 점(그래서 과거를 사죄하지 않는다)에 있다. 아베와 일본 국민은 다르다, 는 주장도 있지만(원론적으로야 맞는 이야기다), 지금 우리가 직시해야 할 일본 정부-국가-사회-체제는 "전체주의의 완성"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전체적으로 꽉 막힌 모습이다. 자민당 중심 아베 정권과 극우세력, 일본회의가 일본 정치를 장악하고 주도하는 것은 자명하지만, 여기에는 '식민주의'라는 핵심적인 문제에 무기력하거나 극우 세력에 동조하는 소위 일본식 리버럴(우리가 흔히 아는 일본형 비판적 지식인들이 모두 속한다!)과 '착하고 무기력한' 이들의 공모가 있다. 개별적으로야 착하고 선량할 수 있겠지만, 구조'맹'은 결국 사회적으로 악한 일을 벌인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내에서 분투하는 정말 흔치 않은일본 본토 지식인 다카하시 데쓰야와 재일조선인 지식인 서경식의 귀한 대담. 인간으로서의 '책임'을 바탕으로 일본 사회가 반성적으로 사유하고 변화해야 하는 이유를 절실하게 말한다. 2차대전 패전 이후 미국의 아시아 핵심 동맹국으로 근본적인 변화 없이 70년을 넘게 버틴 일본은 동북아의 새로운 흐름 속에서 선택의 기로에 섰다. 침략을 긍정하는 군국주의 국가인가, 물꼬를 틀어 식민을 반성하는 민주국가로 거듭날 것인가. 중요한 건 일본이 근본적으로 변화하지 못한다면, 도태는 순식간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경고와 쓴소리가 아베와 일본에게는 더 많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대기 - 택배 상자 하나에 얽힌 수많은 이야기 보리 만화밥 9
이종철 지음 / 보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을 진짜로 만드는 사람들에 대해서, 즉 나와 우리 자신에 대해서 잊어버리게 하는 시국이라서 더욱 소중한 이야기. 4차산업혁명이나 초연결사회 운운이 우스워진다. 땀과 노동과 인간을 존중하기에 따뜻하고 진솔하면서도 꿋꿋하다. 담담하게 마음을 울린다. 여전히 재벌과 가진 사람들 중심으로 나라를 운영하면서 노동 존중을 포기한 현 정부 당국자들이 읽고 반성하도록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상된 아메리카 - 1945년 8월 이후 한국의 네이션 서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장세진 지음 / 푸른역사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미국을 빼고는 파악 불가능한 대한민국의 (초기) 담론 경향을 분석했다. 미국 스스로도, 한국에게도 아메리카는 ‘상상된‘ 것이었다. 미국의 동북아 전략을 기본 배경으로 토착 권력과 담론이 조응하는데, 이는 완결적이지 못하고 뿌리가 얕다. 그 근저의 가치관은 지금도 이어지지만 자생성은 여전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해봤다. 17장이 가장 흥미로운데, 결국 균열 지점은 ‘실제 현실과 담론의 괴리‘, ‘민족(남북)과 국가(대한민국)의 불일치‘, ‘타자로서의 외세(미국)‘, ‘다자적 국제 정세‘ 인식에서 발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서와 북한 영화는 처음이지 - 예술영화 [우리 집 이야기]를 통해 본 북한
전영선 지음,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기획 / 늘품(늘품플러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북 합의 이행이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다면 직접 봤을 텐데, 영화는 못 보고 영화 소개 책을 먼저 보게 되었다. 일종의 영화 소개 프로그램을 본 것이라 위로 삼는다면, 영화를 보고 싶게 만드는 "잘 만든" 소개 책자다. 저자의 말 처럼 통일을 위한 '문화 번역'이 잘 이루어진 듯. 이런 소개가 자주 이루어지고, 직접 접할 수 있다면 남북 문화에 대한 이질감은 그리 걱정할 문제는 아닐 듯 싶다. <우리 집 이야기>를 더 보고 싶어 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양, 제가 한번 가보겠습니다 - 당신이 지금 궁금한 '요즘 평양'
정재연 지음 / 넥서스BOOKS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한(!) 영어 강사의 북한 여행기. 아마도 처음 북한에 가본 다수의 사람들이 이렇게 느끼지 않을까 싶은 보편성이 있다. 따뜻하고 신기하고 어색하고 불안하지만 또 가고 만나고 싶은 저자의 감정이 쉽게 느껴져 좋다. 통일에 있어 남북의 차이는 그리 결정적인 문제는 아닌 듯. 그보다 근본적인 민족적 공감이 훨씬 세다는 생각을 했다. 문재인 정부가 핑계대지 말고 남북합의 이행에 적극 나서서 나도 곧 평양과 북한 곳곳에 가볼 수 있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