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까지 없던 세상 - 당신이 만날 미래의 業
이민주 지음 / 쌤앤파커스 / 2015년 9월
평점 :
15년
후, 내 자녀가 만날 직업
15세기 유럽에서 필경사는 일반 노동자보다 수십 배 높은 수입을 받던 고소득
전문직이었다.
필사본
성경 한 권을 쓰면 60
굴덴을
받았는데,
이는
어지간한 농장 하나를 살 만큼의 돈이었다.
하지만
구텐베르크에 의해 인쇄술이 개발되어 저렴하고 대량으로 책이 만들어지자 필경사들은 모두 일자리를 잃고 비숙련노동자로 전락했다.
1770년
설립된 백과사전 출판 기업 브리태니커는 한때 정규직 편집자만 100여
명이 넘는 세계 최고 권위를 인정받는 지식기업이었다.
이들이
250여
년 동안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만들고 편집하는데 쏟은 돈만 해도 10억
달러(약
1조
원)가
넘었다.
그러나
브리태니커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한순간에 날아갔다.
2012년
브리태니커는 역사와 전통이 깃든 인쇄본 백과사전의 생산을 중단했다.
전
세계 네티즌들이 참여한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 밀려난 것이다.
인터넷이
등장했을 때,
이들은
위험을 감지했지만 변화를 시도하기 보다는 그저 무의식적으로 출퇴근을 반복하다 순식간에 일자리를 잃고 말았다.
세계적인
행동주의 철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저자인 제러미 리프킨은 <노동의
종말>을
통해 현재 인간의 노동이 서서히,
그리고
필연적으로 감소해 가는 역사적 전환기에 진입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는데,
우리는
이러한 ‘노동의
종말’을
지금도 일상적으로 목격하고 있다.
은행
직원을 통하지 않고 자동입출금기기ATM를
통해 현금을 인출하고 있고,
공항에서
카운터 직원의 도움이 없이도 무인 발권기에서 항공권 출력과 좌석 배정을 받을 수 있다.
은행
창구에서 현금을 꺼내주던 은행원,
공항에서
발권기 출력을 안내해주던 직원은 다 어디로 갔을까?
그렇다.
그들은
모두 해고되었다.
미래
트렌드 전망 및 기업 분석 권위자이자 I.H.S
버핏연구소
소장인 저자 이민주는 <지금까지
없던 세상>에서
이 같은 현상의 이면에는 ‘고용사회employee
society’의
붕괴라는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책에서 요즘 대다수의 사람들이 삶을 버거워하는 반면,
한편에서는
이전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큰 성취를 해내는 사람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의 근저에는 ‘고용사회의
종말과 신기술의 등장‘이라는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고용사회란
사회 구성원의 절대 다수가 기업,
공공기관
등 조직의 구성원으로 일하는 사회,
한국은
물론이고 세계 각국의 경제를 움직이는 근간이자,
개인
삶의 표준이 되는 사회(12쪽)로
포드 자동차의 포디즘이 만들어낸 사회다.
하지만
한때 미국의 성인 인구 중 공장 노동자가 60%에
달하도록 증가시켰던 포디즘의 고용 사회는 100여
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종말을 고하고,
2000년대
들어 다니엘 핑크가 동명의 책에서 말하던 <프리에이전트의
시대>를
맞이했다.
프리에이전트란
기업에 고용돼 있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일하는 전문가,
프리랜서,
컨설턴트,
자영업자로
미국 제조업 노동자 수의 2배,
노동조합
조합원의 2배
숫자에 달한다.
한편
한국은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 한국 정부는 정리해고와 파견 근로제의 합법화하면서 고용사회가
종말을 고했다.
종신고용제였던
우리나라는 IMF
위기를
겪으며 정부는 구조조정을 용인했는데,
기업과
경제를 살리는 것이 노동자의 고용 안정보다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한 때 200만
명이 넘는 실업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2015년
1월
현재는 한국의 경제활동인구 1,800만
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800만
명이 비정규직이다.
반면
대기업 정규직은 10%인
180만
명에 불과하다.
이러한
고용사회의 붕괴와 프리에이전트의 시대의 개막은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컴퓨터와 인터넷이라는 신기술이 열었다.
주목할
것은 신기술은 단지 생산성 향상에만 그치지 않고,
세상의
풍경과 패러다임 자체를 바꾼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제임스 와트의 증기기관 등장을 계기로 인류는 상업 자본주의를 뒤로하고 산업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세상을 이해했다.
헨리
포드의 포디즘도 마찬가지다.
최근을
주도하고 있는 혁명적인 신기술은 바로 모바일 기술이다.
2007년
6월,
애플의
스티브 잡스(1955~2011)는
아이폰을 내놓으면서 “이
손안에 있는 것이 세상의 모든 것을 바꿀 것”이라고
공언했는데,
그의
예언은 적중했다.
2007년
6월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세상에 내놓은 지 8년이
지난 2015년
4월
현재 지구상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전 세계인구 27%에
해당하는 20억
명에 달하고 있다.
이미
스마트폰의 판매량은 이전의 혁신적인 기기로 일컬어지는 PC보다
5배가
넘고,
2020년이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40억
명으로 지금의 두 배로 늘어날 전망인데,
지구상의
인구의 과반수,
경제
활동 인구의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모바일의 뛰어난 확장성은 인류를 실시간으로 하나의 세상으로 연결시켜 ‘연결된
세상’으로
만들었다.
저자는
포디즘의 고용 사회처럼 인류 사회에 새로운 질서가 정착되는 그런 세상은 영원히 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왜?
“이유는
간단하다.
신기술은
세상을 바꾸는 핵심 동인인데,
시간이
흐를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쏟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모바일 말고도 획기적인 신기술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쏟아지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사물
인터넷,
핀테크,
전자
결제,
산업
자동화,
바이오,
줄기세포,
의료기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하나하나가
만만치 않은 파괴력을 갖고 있다.
이런
신기술은 앞으로도 더 많이 쏟아질 것이다.
자본주의는
신기술의 개발자에게 보상하는 체제기 때문이다.”
(105쪽)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저자는
지금은 ‘우리
앞에 닥친 변화의 진정한 원인이 무엇이고,
해법이
뭔지를 정면으로 응시해야 할 때‘(12쪽)라고
말한다.
미래의
일자리를 이야기한 <유엔미래보고서
2045>에
따르면 2030년까지
현존하는 일자리의 80%,
즉
20억
개의 일자리가 소멸되거나 대체된다고 주장한다.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전망은 자칫 위기처럼 느껴지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무언가가
사라지면,
다른
무언가가 생겨나는 법.
저자는
미래에는 누구나 ‘생산
수단’을
보유할 수 있게 되고,
창의성을
발휘하는 자에게 반드시 보상하며,
변화가
일상적인 만큼 기회도 수시로 반복되므로 이 세 가지 특징을 적절히 활용하는 자는 미래에 살아남을 수 있을 거라 강조한다.
또한
저자는 다가올 새로운 시대의 최대 수혜자는 소설가,
만화가,
방송
작가,
시나리오
작가 같은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가수,
영화배우,
스포츠
스타,
영화감독,
게임
개발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디자이너
같은 창의적인 생산물을 기획하고 만들어내는 창자자와 능력 있는 CEO,
그리고
창업자가 될 거라 손꼽았다.
모바일과
소셜 미디어가 시장을 지구촌 단위로 확장시키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결말에
이르러 저자는 특히 창업을 강조하며,
앞으로
창업을 준비한다면 비전문가라도 한번쯤 성공의 기회를 엿볼 수 있는 6대
슈퍼 섹터도 엄선했는데 다음과 같다.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빈부 문제를 역으로 활용하는 금융 섹터,
친환경ㆍ친감성
혁신에 빈틈이 많은 자동차 섹터,
리스크는
크지만 가장 확실한 성장 동력 정보기술(IT)
섹터,
고령화
시대임에도 여전히 후진적인 의료 및 제약 섹터,
아이디어와
노트북 하나만으로도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 섹터,
언뜻
진부해 보이지만 파워풀한 소비재 섹터
이제껏
읽은 미래전망서들이 저자의 권위와 기관의 명성을 강조해 주장을 펼쳤다면,
<지금까지
없던 세상>은
충분한 설득력을 지녔다.
집필과정에서
500여
권을 읽었다는 저자의 노력 덕분이리라.
특히
자녀를 둔 부모로서 이 책은 생각할 여지를 많이 남겨줬다.
저자에
따르면 당장 바뀌어야 할 것은 바로 공교육이다.
지금의
공교육 커리큘럼은 여전히 고용 사회를 전제로 짜여 있고,
학생들에게
대기업 취직만이 안정적이고 편안한 선택이며 한 눈 파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속적으로 주입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순위가
이럴진대 정부는 이 시간에도 여전히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이라는
시대에 뒤떨어지고 도달하기도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느라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런
허무맹랑한 뉴스를 믿느니 이 책을 거듭 읽으라고 권하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