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는 왜 생각주간을 만들었을까 - 매 순간 최고의 결과를 얻는 사람들의 비밀
대니얼 패트릭 포레스터 지음, 이민주 옮김 / 토네이도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디지털 시대의 생존자는 생각하는자thinker가 될 것!

 

혹시, 오늘 아침 출근길 지하철 풍경을 떠올릴 수 있는가? 아마도 첨단의 스마트폰으로 어제 못 본 드라마와 영화를 보느라, 게임을 하느라, 혹은 카톡을 하느라 지하철 풍경을 자세히 보지 못했거나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잘 안다, 오늘 아침 나도 그랬으니까. 열에 아홉 명은 귀에 이어폰을 끼고 스마트폰을 지켜보거나 두드리고 있다. 3년 전만 하더라도 이런 모습이 아니었다. 단잠에 빠지거나, 무가지 신문을 읽거나, 몇몇은 책을 읽었다. 하지만 고개를 숙이고 오랫동안 스크린을 지켜보는 사람들의 모습은 그림자와 빛이 겹쳐 흡사 좀비를 닮았다.

 

내 스마트폰 속에 들어 있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 다양한 유무선 기술의 애플리케이션들은 혼자 있는 나를 외롭지 않게 해준다. 하지만 공짜는 없다. 대신 내게서 ‘생각하는 시간’을 빼앗아가고 있다. 그렇다. 지금 우리는 하루 종일 ‘바쁘게’ 살아갈 뿐, 정작 생각하지 않고 살고 있다. 그렇다고 생각조차 할 수 없을 만큼 바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생각할 수 있는 조용한 시간이 생기면 참지 못하고 스마트폰을 켠다. 혹 잠깐이라도 생각에 빠지면 ‘쓸데없이 멍~ 때린다’고 핀잔을 듣는다. 그래서일까. 언제부턴가 잠깐의 침묵에도 우리는 쉽게 외로워지고 불안해진다. 그리고 곧 스마트폰을 켠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 빌 게이츠는 1년에 두 차례 짐을 꾸려 인적 없는 호숫가 통나무집을 찾아가 2주일간 ‘생각 주간(think week)’을 만들어 생각에 몰입한다. 그는 ‘생각 주간‘ 동안 임직원이 제출한 프로젝트와 보고서에 열중하며 치열하게 미래를 준비한다. 빌 게이츠 뿐 아니다. 세계 최고의 부자 워런 버핏은 1년에 50주 동안 생각하는데 쓰고, 남은 2주 만을 일한다고 말한다.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은 하루 10분 이상은 반드시 ’생각하는 시간‘으로 쓴다. 구글의 전 직원들은 ’20퍼센트 타임제‘라고 해서 업무 시간의 20퍼센트를 자유시간으로 쓸 수 있다. 그 시간에 구글러들은 마음껏 자신이 원하는 프로젝트에 몰두할 수 있다. 구글 뉴스, 애드 센스, 구글 맵스, 구글 어스, 구글 토크 등은 20퍼센트 타임제를 통해 탄생했다.

 

‘은둔의 경영인’으로 잘 알려진 삼성그룹의 이건희 회장은 ‘신경영 선언’과 같은 큰 생각을 만들 때면 예의 한남동의 승지원에 들어가 몇 시간이고 꼼짝 않고 생각에 잠긴다고 한다. 종종 초밥 서너 개만으로 하루를 버티며, 생각에 빠지면 48시간 동안 잠을 안자기도 했다 한다. 그에게 있어 ‘사색의 시간’은 중요한 일과이며 에너지의 원천이다.

 

 

 

 

<빌 게이츠는 왜 생각 주간을 만들었을까>(토네이도)는 ‘생각의 시간’을 강조하고 있다. 포춘 100대 기업과 미국 연방정부 조직들의 전략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세계적 경영 컨설턴트인 저자, 대니얼 패트릭 포레스터(Daniel Patrick Forrester)는 기업과 비즈니스맨들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열쇠는 ‘씽킹 타임(thinking time)’이라고 손꼽았다. 그는 글로벌 기업 마이크로소프트가 미래를 이끌어가는 중심에는 ‘빌 게이츠의 생각 주간’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개인에 있어서도 일과 삶 전체적 흐름을 통찰할 수 있는 ‘생각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면 빌 게이츠처럼 ‘현명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한때 IT전도사였던 니콜라스 카(Nicholas G. Carr)는 어느 날 독서 시간을 채 30분도 넘기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했다. 책을 읽고 있어도 전혀 몰입을 할 수도 없었다. 예전의 독서 몰입도가 잠수부였다면, 지금은 서핑을 하는 서퍼처럼 느껴졌다. 그는 이유를 각종 ‘스크린’ 때문이며,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망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라는 제목의 책에 고백했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은,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중국의 교양을 대표하는 시인 도연명(陶淵明)은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다독(多讀)하고, 다작(多作)하고, 다상량(多商量)하라“고 말했다. 즉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해 보라는 뜻이다. 도연명의 이 말은 글을 잘 쓰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을 말하지만, 순서를 바꿔보면 지식의 탄생과정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읽는 것이 인풋(In-put)이고, 쓰는 것이 아웃풋(Out-put)이라면, 생각하기는 아웃풋을 위한 과정(Process)이 된다. 아무리 훌륭한 글을 읽는다고 해도 생각하지 않으면, 그대로 베끼기만 될 뿐 나만의 훌륭한 글은 결코 만들 수 없듯이 세상을 바꾸는 좋은 아이디어는 깊은 생각에서 나온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이렇게 생각하기를 강조하는 걸까? 학습(學習)이라는 말이 있듯 읽어 배웠으면 익히는 과정이 바로 생각하기다. 오늘 배운 것과 어제까지 배운 것 그리고 내가 경험한 것이 한데 뭉쳐 발효되고 숙성되는 시간, 이 시간이 바로 ‘생각하는 시간’이다. 시골의사로 잘 알려진 청춘들의 멘토 박경철 원장도 책<자기혁명>에서 ‘배우는 것이 벽돌이라면 생각하는 것은 쌓는 것이다. 벽돌을 아무리 많이 찍어내도 쌓지 않으면 집을 지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사이불학즉태(思而不學則殆)’라는 공자의 말씀이 있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리석어지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로워진다.’는 뜻이다. 이처럼 생각하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생각이 깊어지면 사물에 대한 예리한 관찰력과 감수성(感受性)도 더불어 깊어진다. 그러면 매 순간 만나는 현상, 즉 스치는 바람과 흘러가는 뜬구름, 잎새 하나, 발에 차이는 돌맹이 하나 그 무엇 하나에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오귀스트 뒤팽, 제인 마플, 아가사 크리스티 등 명탐정들은 모두 최고의 관찰력을 갖고 있다. 범인을 추적하는 탐정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주변에 흩어진 사실(fact)에 대한 관찰이다. 범인을 추론하는데 이어 정확한 정보수집과 분석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관찰력에 있어 단연 최고의 명탐정은 셜록 홈즈일 것이다. 그들은 사실 너머의 사실, 발생할 수도 있었으나 발생하지 않은 사실, 즉 ‘보이지 않는 사실(invisible fact)'을 본다. 그가 보이지 않는 사실을 볼 수 있는 것은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관찰하기 때문이다. 즉 보면서 두뇌를 사용해 생각하고, 뭔가를 찾아내고 발견하기 위해 시각적 감각과 사고력을 연결시켜 종합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생각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멀티태스킹 능력을 믿지 말라’고 말한다. 두 개, 세 개, 네 개, 멀티태스킹이 늘어날수록 생각은 그만큼 줄어든다고 보면 된다. 미국 유타 대학교에서 실시한 한 연구에서 대부분의 사람은 멀티태스킹이 불가능하며(2퍼센트만 가능하다) 하나씩 일을 처리할 때보다 현저히 업무효율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저자는 멀티태스킹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남의 생각을 그만큼 더 많이 들을 수 있음을 의미할 뿐, 내게서 비롯되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한편 예일대학교 교수인 윌리엄 데레시에비츠는 “생각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끊임없이 방해를 받아가면서 또는 아이팟을 듣거나 유튜브의 무언가를 보면서 한 번에 20초 동안 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생각은 그냥 솟아나는 것이 아니다. 온전히 생각에 빠져들 시간과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저자는 생각에 몰두하기 위해서는 링컨대통령이나 이건희 회장처럼 아무에게도 방해받지 않는 자신만의 ‘생각의 공간’을 만들기를 권한다. 아울러 지금 나의 신경을 건드리고 있는 모든 정보와 대화의 스위치를 오프off로 내리고 온전히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생각의 시간’을 가지라고 말한다. 그런 점에서 잠은 또 하나의 ‘생각의 시간’이다. 저자는 생각에 집중을 잘하는 사람은 에너지를 남김없이 소진하기에 잠도 잘 잔다고 말한다. 잠을 뒤척이면 집중력과 실행력, 단기 기억력, 기술 개발능력 등 많은 것들을 잃고 만다. 숙면을 취하고 싶다면 역시 모든 켜져 있는 것을 끄는 것은 기본이다.

 

매일처럼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전전긍긍 사는 우리에게 ‘생각의 시간을 가지라’는 말은 마치 <월든>의 헨리 데이빗 소로우처럼 ‘자발적 구속’을 외치며 호숫가의 숲 속에 들어가 통나무집을 짓고 밭을 일구면서 소박하고 자급자족하며 살라고 말하는 것처럼 들린다. 하지만 “전 세계가 바쁘게 돌아가고 있다. 그리고 곧 아날로그 세대의 자리는 사라지고 디지털 세대가 비즈니스의 주요 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급변하는 시대를 살아남는 건 ‘생각하는 자(thinker)'가 될 것이다.”는 저자의 마지막 조언은 그것이 곧 ‘아름다운 구속’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 지금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의미를 다시 새겨볼 때다.

 

 

이 리뷰는 코오롱 그룹 사보 <KOLON>(4월호) '북소믈리에 칼럼'에 실린 리뷰 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4-11-27 2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통찰력있는 글에서 책보다 더한 감동을 받았습니다

리치보이 2015-01-21 12:08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