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독서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유시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진정한 리뷰가 뭔지를 알게 하는 유시민의 고전 리뷰 모음집 

  책도 물건에 들어가는가 보다. 읽고 또 읽으면서도 내가 읽지 못한 남이 읽은 책은 내가 읽은 책보다 더 나아 보이는 듯 읽고 싶고 읽은 그가 부러워진다. 욕심.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사악한 감정은 책에도 반영되는가 보다. 유시민의 책 <청춘의 독서>은 그런 욕심에서 집어든 책이다. 오늘의 당신이 어제 읽은 것은 무엇이더냐? 궁금했기 때문이다. 책장을 넘겨 차례를 읽고 속이 상했다. 최인훈의 광장을 제외하곤 제목으로만 듣던 책이었다. 고전이라 불리는 명저들. 제 잘난 척이더냐? 반문하고 싶었다. 은근히 빈정이 상해 차마 책장을 시원히 넘기지 못했다. 

  독서기讀書記란 원래 조심스러운 글이다. 글 속에 들은 책의 내용과 생각은 독자가 그 책을 읽은 시절의 느낌이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마치 여드름이 그득한 한 때 밤을 하얗게 새워 써둔 연서戀書를 한낮에 읽고 부치지 못하는 것처럼 언젠가 쓴 독서기를 읽을 때면 얕기만 한 글의 깊이에 늘 얼굴이 붉어진다. 책을 읽지 않아도 세월은 생각의 수심을 깊게 한다. 책을 읽으면 깊이는 더해질 터, 그래서 지난 날의 독서기는 늘 얕고 편협한 생각의 총제로만 보인다. 지금 쓰는 이 글도 그 길이만큼 얕아지겠다 싶어 조심스럽다.

  남이 쓴 독서기를 읽고 재차 독서기를 쓰기란 재탕한 한약 같다는 생각에 소용이 있을까 싶다만 읽고 난 감상이 많아 쓰지 않을 수가 없다. 국가대표급 운동권인 청년이 여권의 정치인이 되고 또 다시 野人이 된 지금 저자가 젊은 시절을 뒤돌아봄이 수상했다. 책을 든 다음날 ‘대선출마’에 대한 언급을 듣고야 책을 쥔 손에 힘이 들어갔다. 그 시절의 열정을 재충전하게 했던 원고였던가 싶어서다. 그 생각은 틀림이 없었다. <청춘의 독서>에서 소개된 책 모두 그가 하고 싶었던 ‘오늘을 고告함’을 대변하고 있었다. 



 

  

  유시민은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을 통해 비범한 사람들이 인류를 구원하려는 신념은 위험한 전체주의적 발상이며, 인류를 구원하는 길은 다수의 ‘평범한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을 구원한다는 것을 말하고, 역사의 종말을 예언한 카를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모순을 개선하지 않는 한 언젠가는 찾아올 종말이 올 때 까지는 유효한 종말론임을 밝히며 경계했다. 한편 금이 간 거울이 되어버린 맬서스의 <인구론> 오늘을 논論하는 자신의 생각과 주장이 과연 옳은지, 그릇된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일그러지지는 않았는지 반성하는 도구로 삼았고, 보수주의의 대명사인 <맹자>의 생각엔 불편함을 느끼면서도 자신의 사상에 대한 변함없는 마음에 정적政敵인 그에게 진정한 보수주의를 찾았다.



 

    이 책은 명저名著의 줄거리 사이 마다 녹여낸 그의 글 전반은 지난 시절에 읽고 느낀 바에 대한 그릇됨의 기록이었다. 오해와 착각으로 첨철되었음을 고백하는 그의 반성은 솔직해서 멋지다. 책이 던지는 메시지의 더 깊고 너름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는 득오감得悟感은 재차 읽은 자들만이 누릴 수 있는 기쁨이리라 싶어 부럽기까지 했다. 글의 나머지의 절반은 오늘에 대한 성찰이었다. 그가 오래전에 책을 읽으며 느낀 세상의 모습은 수십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변함이 없거나 오히려 그 시절보다 더 후퇴한 것에 대한 회한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변화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그 중에서 하인리히 뵐의 <카나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에 대한 글은 정부와 언론이 밀월관계를 갖게 되면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낳게 되는지에 대한 우려의 반영이었다.

  리뷰란 이런 것이다. 한 권의 책을 읽고 줄거리를 읊어대는 것이 아니라, 그 책이 내게 무어라 말했는지, 난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노래하는 글이다. 나아가 책을 읽기 전후로 조금 더 큰 자신을 발견했음을 깨닫는 글이다. <청춘의 독서>는 진정한 리뷰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책꽂이에 꼽혀야 할 책은 두 번 이상을 읽은 책이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또 다시 읽고 싶게 만든 책이야말로 나를 키워주는 책이라는 말뜻이겠다. 한 번 읽고 난 후 책 내용과 내 생각을 한데 섞어 곰삭힌 후에 어느 때 다시 읽는다면 두 번째 읽는 책 맛은 세월이 더해져 더 깊어지리라. <청춘의 독서>에 소개된 열 네 편의 고전이 유시민을 만나 그가 보는 세상으로 거듭 태어났다. 

  지식인이란 이래야 한다. 고백의 마음을 가질 줄 아는 자여야 하고, 배움을 그치지 않아야 한다. 돌아봄에 후회할 줄 알고, 잘못을 깨달을 줄 아는 자 여야 한다. 이런 자신의 모든 생각을 글로 옮겨 세상에 알릴 줄 아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그래야 후학들이 그들의 지식을 믿고 따르게 된다. 단순히 지식인이라 해서 이미 배운 자, 이미 갖춘 자가 아니라 오늘도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줘야 후학들은 가슴으로부터 우러난 존경을 표하게 된다. 유시민은 지식인이다. 참지식인이다. 시시비비를 논리적으로 가릴 줄 알고, 옳다 그르다는 것을 당당히 밝힐 줄 아는 용기를 가진 사람이다. 그래서 차마 꺼내어 놓고 말할 수 없었던 사람들은 토론장에 들어서 열변을 토하며 대신 말해주는 그에게 때로는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그런 그가 이 세상에 있음은 감사할 일이다. 

  유시민. 그는 책을 지도라고 평가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말처럼 무거운 짐을 어깨에 매고 끝을 알 수 없는 길을 묵묵히 걸어가는 것이 인생이라면 필경 외롭고 두려운 여정이다. 책은 사람의 외롭고 두려운 인생의 길에 벗이 되고 희망을 준다. 그는 지도를 살펴 길을 찾았고, 찾아낸 바를 다시 모아 또 다른 지도를 만들었다. <청춘의 독서>에 소개된 사마천의 사기를 읽으면서 나는 유시민이 이 책을 쓰면서 든 마음은 사마천의 마음이었을꺼라 생각되었다. 사마천의 비분강개가 아니라, 옳음을 알려 후학들에게 깨달음의 기적을 제공하고자 하는 마음이다. 며칠 전의 대선출마 소식은 <청춘의 독서>를 통해 사그러들었던 호연지기가 일어난 걸까, 그의 말을 찾는 수많은 독자들의 손길이 그에게 열정이 다시 솟아나게 한건 아닐까. 알 수 없다. 하지만 나는 그가 후세가 올바른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지도를 그리는 사람으로 계속 남기를 바란다. 세상의 옳고 그름을 감히 말할 수 있는 논객, 지금의 모습으로 오래도록 남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