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00만부 기념 소장본 - 전2권 - 칼의 노래 + 칼의 노래 자료집 : 김훈을 읽다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김훈의 펜에 의해 오감으로 이순신과 임진왜란을 체험할 수 있었던 소설!
 
 소설을 읽는 가장 큰 재미'소설의 글들이 추임새가 되어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다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을 넘고, 인종을 불사하고 독자인 내가 만드는 상상의 화면 속에서 나는 감독이 되고, 주인공이 된다. 각본 역할을 하는 것이 소설이다. 그래서 내가 소설을 읽고, 잘된 작품이다 아니다 하는 것은 내가 충분히 감독역할을 하며 그 '각본'을 즐겼느냐 아니냐에 가름하는지도 모른다. 현대물에서는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내가 살아온 인생이 있기 때문에 그에 판가름해서 '있을 수 있다 혹은 없다'가 첨가되어 더욱 비평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다. 그렇기에 현대물의 소설은 '영화 각본'이 아니라 '다큐멘터리의 그것'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보지도 듣지도 못한 과거 또는 미래물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작가의 '각본'에 의존한다. 그래서 내가 갖는 상상력을 훨씬 뛰어넘는 표현과 영상을 경험하게 된다면 '걸작'이라고 이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놓고 본다면 '걸작'을 만나는 것도 행운이지만, 내가 사는 '동시대'에 훌륭한 '작가'가 있다는 것도 큰 행운이 아닐 수 없다. 내게 있어 행운과 같은 '작가와 작품'이 있으니 그것은 김훈 선생의 [칼의 노래]이다.   
  

 
소설 [칼의 노래]는 당대의 영웅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이순신이 백의 종군부터 이야기가 시작되는데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명량해전에서부터 이순신의 죽음까지 이어진다. 난중일기를 토대로 한 이야기인 바탕인 만큼 역사적 사실을 기초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영웅이 아닌 한사람의 무관으로서 한사람의 남자로서의 이순신이 장대하게 펼쳐진다.
 
  사학자도 아니고, 평론가가 아닌 독자로서 역사소설을 대하기는 몇년 몇 월 며칠에 무슨일이 있었는지를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그것은 교과서라도 충분하니까) 그 때에 있었을 법한 사소하고 지저분한 일상의 사건 속에 전쟁을 간접체험하는 것에 몰두한다. 그런 면에서 작가 김훈은 수 백 년 전의 임진왜란을 머나먼 과거의 역사가 아닌 현재 내가 겪은 듯 혹은 내 바로 위의 선조에게서 듣는 듯 표현한다. 그래서 그의 필력에 묘사된 전쟁속에서의 이순신은 나에게 친숙하게만 느껴졌던 영웅 이순신이 아닌 무관으로서, 아버지로서, 한사람의 남자로서 다가오며 그가 느꼈던 절망을 함께 공유할 수 있게 만든다.
 
  제목 [칼의 노래]처럼 자신의 칼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자리 (사지死地)를 찾는 이순신의 면면은 아름답기까지 하다. 명과 일본의 조약을 기다려 마지막 싸움을 회피 할 수 있었던 이순신은 백성들을 지켜주지 못했던 자신의 무력함, 자식을 죽음에서 구하지 못했던 아버지로서의 한, 전쟁을 통해 수없이 죽어갔던 백성들의 한, 무엇보다 자신의 자존감을 확인하기 위해 마지막 결전을 피하지 않는다. 이순신이 죽음을 선택한 것은 아니지만, 퇴로를 차단함으로써 그토록 자신이 원했던 사지를 찾아 그곳에서 죽음을 완성한다. 저자의 실적인 묘사와 1인칭 시점에서의 서술은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전개를 이끌어 냈다. 출격과 동시에 승패를 결정지었던 여타의 책들과는 비교 자체를 거부한다. 사실적인 해상전투의 묘사는 영화를 보고 있는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자신의 여자와 전쟁의 참혹함을 묘사하는 장에선 "씻지않은 여진의 몸에서는 오랫동안 뒷물하지 않은 여자의 날비린내가 나고, 자른 목들은 썩은 물이 줄줄 흘러 내렸다. 장수들은 겨를이 나면 종을 물러 서캐를 잡게 하였으며, 전쟁뒤 떠오른 시체들로 물은 썩어 역병을 일켰다. 죽은 시체들로 인한 악취는 사라지지 않는다."라 표현할 만큼 사실적 묘사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그 속에서 한 인간으로서의 이순신이 가진 고뇌와 절망감은 보는 이로 하여금 그의 고통을 공유하고자 만든다
 
  나라의 절반 이상이 빼앗긴 절망적인 상황속에서 '신의 몸이 아직 살아 있는 한 적들이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 라고 임금을 향한 충정심을 보였던 무관이자, 자신의 아들을 반으로 갈랐던 일본의 장수와의 만남에서 떨림과 울음을 멈추지 못했던 한사람의 아버지, 하루살이와 같은 상황에 놓였던 백성들을 버리지 않았던 모습들 속에서 한 사내가 만날 수 있는 여러 위지의 모습을 경험하게 된다. 머리와 코가 베여지는 전쟁속의 죽음이 너무 가볍게 느껴지기에 다소 어두웠던 책 속에서 그의 모습은 어떤 미사어구와의 결합이 필요없을 만큼 장대하고 아름답다. 작가의 유려한 문제와 함께 이순신의 삶과 죽음은 다시 재조명되었다. 전쟁은 그 어떤 이유로든 합리화 될 수 없는 불행이라는 것을 알게 하고, 수많은 병사의 시체를 밟고 일어서는 자의 이름이 영웅이라지만, 그 역시 이미 마음은 제 발 아래 깔려있는 병사들처럼 죽었음을 느끼게 한다. 혼란스럽고 처절하리만치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제 갈 길을 알았던 한 사내를 나는 만났다. 최고의 역사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