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미술관에 가다 - 미술 속 패션 이야기
김홍기 지음 / 미술문화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당대 최고의 패션과 모델들이 미술작품 속에 있다 ?!
 

 


  아담이 금단의 사과를 한 입 깨뭄과 동시에 부끄러움을 알게되고, 출산의 고통을 얻게 되고, 땀의 결과로 생명을 이어가게 되며, 그럼에도 유한한 생명을 갖게 되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면서 깨문 한 입의 사과가 아담과 이브가 누릴 수 있는 수많은 특혜를 잃게 만들었지만, 그 덕에 인류는 태어나고 지금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와 함께 '노출의 수치감'으로 인해 성기위에 가려진 나뭇잎은 또한 최초의 의복이 되었고, 지금껏 우리 인류와 함께 하고 있다.
 




 
  의복(옷)은 인간의 육체의 보호라는 원초적 기능에서 탈피해 나아가 의복을 착용한 주체의 진정한 자아를 드러내는 하나의 코드로 발전하여 자리잡고 있는데, 한 개인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데 있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 사람의 옷차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틀림없어 보인다. 의복은 상대방의 첫인상을 좌우하기도 하고, 성격을 짐작하게 하며, 사회적·경제적 배경을 드러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의복은 때때로 그보다 더욱 은밀한 것을 속삭이며, 심지어 자기 자신조차 깨닫지 못했던 깊은 마음속의 비밀을 의복을 통해 드러내기도 한다.
 
 



 
  인류에게 역사가 있듯이, 의복의 변천 과정 역시 역사를 갖는데, 여기 미술과 패션을 좋아하여 본업도 아닌 '미술을 통한 복식사의 재조명'을 평생의 화두로 삼고 있는 한 남자가 기존의 미술사에 복식사의 시각을 더해 이 두 분야의 서로의 옷을 벗겨 더욱 생생하게 만들고자 펴낸 한 권의 책이 있다. 다음 블로거 김홍기의 [샤넬, 미술관에 가다]가 그것이다.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투자수단으로서의 미술작품에 대해 관심은 있었지만, 문외한인 내가 그것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어려움을 겪던 중에 '패션으로 들여다 본 미술작품' 이라는 시각에 흥미를 느꼈다. 작품의 이해방법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었다.
 




  주로 빅토리아 시대의 패션을 주로 다룬 이 책은 앵그르와 휘슬러, 티소 등 70여 명의 유명화가의 작품 120여 편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는데, 책에 소개된 작품들 만으로도 유명 화가의 작품전을 보는 듯 했는데, 저자는 작품 속에 나타나는 복식의 작은 디테일이 그림 전체의 의미를 설명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한다. 카메라와 사진이 없던 옛날 당시의 패션사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유일하게 미술작품을 통해서 일텐데, 최고의 화가와 최고의 모델 그리고 당시에 가장 유행했던 의상으로 표현된 작품들은 현재의 의류화보를 버금가는 듯 했다.
 
 





  '꿈보다 해몽'이라고 했나? 작품과 화가 그리고 모델, 그리고 모델이 입은 의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좌우측으로 패션 디자이너와 큐레이터를 옆에 두고 작품을 감상하는 기분이 들게 했다. 전공을 하지도, 본업으로 삼고 있지도 않다고 하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엄청난 내공을 책에서 마음껏 발산한다. 작품이 표현된 당시의 흐름과 미술가에 대한 디테일까지 어느 하나 부족함을 느낄 수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책을 쓰기 위해 참고된 참고문헌만 국내외 단행본은 100여 편에 이르고, 논문도 20여 편에 달하니 이 책에 들인 저자의 공력과 복식사에 대한 열정을 느끼게 한다. 그의 현란하고 자세한 설명은 미술작품과 그림속 패션을 한층 빛나게 했다. 
 
 
 


 
 
  이 책을 보는 가장 큰 즐거움은 미술작품에 있었는데, 손에 잡힐 듯한 의상들의 표현력과 모델들의 표정 그리고 포즈는 한참동안 넋을 놓게 만들었다. 클로드 모네의 [일본 여인- 기모노를 입은 카미유]에서는 손에 잡힐 듯 튀어나오는 듯한 기모노의 묘사나 금박을 뿌린 듯 빛을 발하는 듯한 표현들은 눈을 뗄 수 없게 하고, 제임스 티소의 [옷 가게의 젊은 점원]은 마치 점포의 안에서 점원에게 말을 걸어야 할 만큼 현실감을 느끼게 한다. 검은색 새틴 소재의 이브닝드레스를 입고 도발적인 포즈로 정면을 응시하는 콜렌 캠벨 부인의 모습(조반니 볼디니作)은 가슴이 덜컹 내려앉을 만큼 매력적이고, 마치 헐리우드 배우같은 미모를 지닌 마리 루이즈 엘리자베스 비제 르브룅의 작품들은 시간을 잊은 채 시선을 멈추게 만들었다. 그 뿐인가? 금방이라도 바스락 거릴 듯한 벨벳의 감촉이 느껴지는 [세농부인의 초상]이나 모피의 풍성함과 따뜻함이 묻어나는 [검정의 배열- 아치볼드 캠벨 부인의 초상] 작품 속에 살아 숨쉬는 의복들은 시간을 거슬러 그녀들에게도 안겨있었다.
 
 








 
  피부를 덮는 제 2의 피부라 불리는 의복은 그 단순한 기능을 넘어 의복을 입는 주체의 사회적 지위와 심리상태를 표현하고 나아가 시대의 흐름과 사조를 반영한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좀 더 아름다워 지기 위해 변신을 거듭하는 여성들의 모습은 단순히 유행을 넘어 시대성에 대한 표현임을 알게 되었다. '어느 사물이나 관념에 미치듯 몰두하고 있는 사람'을 들어 우리는 '매니아'라고 한다. 저자의 '미술을 통한 복식사의 재조명' 에 대한 매니아적 사랑은 전문가의 그것을 뛰어넘는 지식과 열정이 이렇듯 훌륭한 책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닐까 싶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저자의 책이라는 점에서 뿌듯함마저 느꼈다. 미술 또는 패션에 관여하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많은 지식과 큰 즐거움을 선사해 줄 책이다. 무더운 여름밤에 더위를 잊고 갤러리를 걸은 기분을 안겨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