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화해, 용서 그리고 새로운 출발' 자연이 현대인에게 던져주는 메시지.
 
왜 산을 오르냐는 세인의 말에 "산이 거기에 있어 간다"는 어느 산악인의 말은 이루 다 표현할 수 없는 대답에 대한 '선문답禪問答'이다. 인간이 끊임없는 전인미답의 야생을 찾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아마도 '사는 것이 이게 아닌데...'라고 느끼면서도 관계의 얽힘에 이끌려 하루 하루를 보내는 현대인들이 한치 앞을 알 수 없어 두렵도록 거대한 야생을 헤치면서 자신속에 숨어 있는 '살아야하는 답'을 구하기 위해 찾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살아오면서 풀지 못한 '미망未忘'을 준엄한 자연에 고백하고 털어내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세상에서 가장 많은 최고봉을 올랐던 어느 산악인은 인터뷰에서 '자연을 정복한 최고의 인간'이라는 소개에 당치 않는 소리라고 말하며 '준엄한 자연을 어떻게 정복할 수 있는가? 내가 오르도록 자리를 허許해준 자연에 감사히 생각하며 오를 뿐'이라며 '올랐던 산에 대해서는 두 번 다시 오르기 싫은 무서운 대상'이라고 말했다. 그의 가족에게는 항상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거짓말을 하면서 떠난다. 그리고 그들은 '이번이 생生의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떠난다. 그런 것처럼 '상민'은 고단한 삶을 등지고 산에 올랐고, '영교'는 이미 '채권자를 찌름'으로써 사회와 안녕을 하고 형을 따랐다. 그들은 문명으로 대변되는 장비와 식량을 최소화하고 인간의 모습으로 자연을 마주 대했다. 끝이 없는 크레바스와 쏟아지는 눈사태, 그리고 살을 에는 눈보라 속에서 고통받으며 '왜'라고 외치며 자연에게 답을 구했다. 알 수 없기에 미쳤다고 이야기할 수 밖에 없는 사람은 단지 애태우며 둘을 지켜본 '캠프지기'는 저자이고, 또 독자인 나였다. 그리고 그들을 통해 가슴 뜨거운 무엇을 느끼게 되었다.
 
최고봉을 오르거나 극지를 탐험하는 이들에게 우리가 박수를 보내는 이유는 지구상에 인간의 발자국이 안닿은 곳없다는 정복자의 자부심 때문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구도求道'의 판타지에 덤벼드는 그들의 용기가 부러울만큼 존경스러운 때문은 아닐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사력을 다해 노력하고 최소의 섭생과 수면으로 버텨가며 고군분투하다가 도중에 목숨을 잃거나 자연속에 하나가 되기도 하지만, 목적을 이룬후 다시 원래에 있던 자리로 돌아오는 과정에서는 손발이 얼어 동상에 걸려 손가락과 다리를 잘라내야 하는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그 무모한 짓을 지켜보면서 과연 그들이 버리고 온 것은 무엇이고, 얻어온 것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자연이 그들에게 길을 내주었듯이 인간에게 '용서하고 화해하라'는 말을 하진 않았을까?
 
90년대까지 신문연재소설의 최고를 자랑하던 저자 박범신이 절필을 선언하고, 미래의 신문이라 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에 연재를 하게 된 작품이 이 책 <촐라체>인 것은, 촐라체 북벽을 마주했던 저자가 떨쳐내고 구하고자 했던 '나아가야 할 바'를 대신하는 것은 아닌가 싶었다. 세상에 대한 용서와 화해 그리고 또 다른 시작을 하라는 이야기를 이 책이, 그리고 촐라체가 내게 말하는 듯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