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 대미지의 일기
벨린다 스탈링 지음, 한은경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여성에게는 온갖 금기와 금지가 덧씌워져 있던, 오직 굴종과 대상화된 존재로서의 의미만을 지닌 세계에서 그 세계의 경계에 매달려 힘을 다해 버티는, 마침내 19세기 영국 사회를 지배하는 질서의 위선과 실체의 허상을 드러냄으로써 자기욕구의 온전한 자각과 공정한 성(fair sex) 질서를 복원해내는 한 여인의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에는 불구의 남편이 있으며, 간질발작을 일으키는 어린 딸이 있고, 생업을 위해 남성이 축조한 세계에 발을 내딛어야 하는 여인이 감당해야 할 권력으로서의 귀족사회와 백인남성, 제국주의가 있다. 그리고 인종주의적 인류학과 골상학 등 합리주의를 자칭하는 의사(擬似)과학과 이들 지성의 외피를 쓴 추한 욕망, 외설(猥褻)의 세계가 있다.

 

이렇게 적대적인 환경에 에워싸인 세상에 진입하여야만 하는 불가피성의 상황, ‘대미지 제본소의 주인 피터 대미지의 아내인 도라는 세계의 영역, 즉 지배질서의 공간으로 들어간다. 더 이상 손의 사용과 거동이 불가능해진 남편, 일감의 부족과 사채의 압박에 굴복한 터전 상실의 위협은 그녀를 밖의 세계로 밀어낸다. 여성에게 금지되어 있어 남편의 이름으로 작은 일감을 얻어내고 도라는 자신만의 감각으로 주어진 제본을 납품하지만, 제본협회의 중심인물이자 중개자인 디포로스에 의해 여성인 도라가 제본 작업의 실체임을 들키고 만다. 금지의 도전은 곧 권력으로부터의 위협이 되어 그녀를 향하고 이것은 여성의 실존을 한없이 취약하게 만든다. 약점을 확보한 권력은 결코 먹잇감을 놓치지 않는다.

 

불구의 남편, 간질 발작을 일으키는 어린 딸을 가진 여성, 남성의 영역에 은밀하게 들어 선 여성은 강고한 믿음과 신중함을 요구하는 일감을 받게 된다.

 

원초적인 반응, 다시 말해서 머리보다 몸이 먼저 반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이는 유해한 내용의 글에 족쇄를 채워서 보호함으로써 아무나 우연히

책장에 꽂힌 책을 꺼내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제본사로서 부인의 책임은 (....) 적절하고 유쾌한 덮개를 입히는 것입니다.

부인이 나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P 158)

 

데카메론을 시작으로 도라가 받게 되는 책은 관능적이면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되, 그 안에 담긴 놀라운 내용에 운만 띄워야하는 이중성을 요구하는 것들로 채워지기 시작한다. 외설물로서의 금서, 소유조차 금기시되는 책의 은밀한 제본, 절대적 비밀을 요구하는 것, 자기 삶을 지켜내기 위한 도라의 버텨내기는 살얼음판 위를 걷는 아슬아슬한 지대로 내몰리는 것이다. 지성의 위선 속에 숨은 귀족들의 내밀한 욕망충족의 하수인이 되는 것이다. 여성 제본업자에 대한 호기심은 해부학의 권위자인 의사이자 귀족인조슬린 나이틀리경과의 대면으로 이어지는데, 조슬린이 도라의 외모를 묘사하는 장면은 당대를 휩쓸던 골상학이라는 과학적 지성의 왜곡된 단면을 상기시킨다.

 

부인의 세련된 코를 보고 알았소. (....) 부인의 코에는 분별력과 사업에 대한 적성이 있어요.

경쾌한 턱을 보니 부인이 빨리 배우고 창의적이고 적극적이면서도 신중한 사람이라는 걸 알겠소.“

                                                                                            (P 149)

 

그녀가 제본하는 책들 -욕정의 투르크인, 혹은 동방군주의 하렘, 사티리콘과 남근 숭배의 글,프리아포스 숭배와 고대의 신비 신학의 관계에 대한 담화- 은 갈랑트리(galanterie)계열의 외설물로 점차 그 강도와 폭력의 세기는 강화된다. 윤리와 종교, 과학이라는 지성의 외피를 쓴 추악한 욕망의 세계를 상징하는 이러한 책들은 당대 지배권력 위선의 일면이 될 것이다.

    

 

도라는 또한 조슬린 경의 아내인 레이디 나이틀리의 초대를 받게 되며, 미국에서 탈출한 흑인노예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서 그녀가 보호하는 흑인 남성을 대미지 제본소 도제로서 고용할 것을 부탁받게 된다. 이 국면은 남성대 여성의 불평등에서 식민지와 인종적 편견이라는 또 다른 불평등의 세계로 시선을 확장시키며, 인종주의에 도사린 곡해와 경계, 호기심이라는 양가적 감정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소설적 장치가 된다. 남편 피터의 도덕적 무장상태가 완전히 허물어지는 죽음과 흑인 의 등장은 도라에게 새로운 세계의 이해, 자기 욕망을 비로소 들여다 볼 수 있는 자기응시, 온전한 인격의 주체로 나아가는 과정이며, 여성 귀족사회의 흑인 남성에 대한 타락한 욕망의 세계 드러내기이고, 인종주의에 씌워진 불의한 논리 이면에 감추어진 백인 남성 중심체제의 불온성을 해체하는 여정이 된다.

 

은밀함이 위협되는 요인의 발생, 낯선 흑인 남성의 고용은 일감 중개자인 디프로스로부터의 믿음에 대한 증거의 요청과 딸 아이 루신다의 간질병 제거를 위한 음핵제거술의 실험대상화라는 폭력적 위기를 낳는다. 이것은 점차 자신이 죄악의 어두운 동굴로 끌려가고 있다는 자각과 함께 인피(人皮)제본이라는 사건적 상황은 평등과 자유라는 존재적 저항의 세계로 도라를 이끈다. 백인 평민 여성인 도라와 흑인 남성 딘과의 사랑, 여기에 조슬린으로부터 혼혈아로 의심되는 아이를 낳았다고 쫓겨난 레이디 나이틀리(실비아)의 의탁은 당대를 지배하는 질서의 조악함과 위선의 까발림을 동시에 이야기 한다.

 

결국 이 저항은 금지위반의 여성이 삶을 버텨내기 위해 권력에 굴복, ‘먹잇감으로서 여성이 되어 손쉬운 욕망의 대상화와 도구로 이용되지만자기 직시를 통해 지배 권력에의 저항을 위한약자 연대를 하며죽음의 쟁투를 겪어내고 마침내 그 금지된 경계를 허물고, 권력을 해체함으로써 자유, 평등, 온전한 존재자로서 성립하게 된다는 치밀하게 구성된 페미니즘의 도식을 떠올리게 한다. 바로 이 도식적 구조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말하려는 주제가 더욱 강렬하고 힘차게 전달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것, 낯선 것에 대한 멸시와 경계, 그리고 호기심은 자신에게 복종하는 한 배제를 유예하지만 그것이 저항하는 순간 배제의 원칙은 공고하게 그 힘을 행사한다.

 

내겐 도라와 딘의 열정적인 정사장면을 비롯해 인상 깊은 몇몇의 장면이 있는데, 도라의 피부에 문신을 강제로 새겨 넣는, 즉 권력이 배제의 힘을 행사하는 장면은 단연 최고로 꼽고 싶다.

디프로스는 백인 귀족 남성사회로 대변되는 지배 권력의 사신이라 할 수 있는데, 그는 도라가 가장 우려하는 루신다에 대한 폭력적 수술이 아니라 그녀의 피부에 문신을 새겨 넣는 것이다. 인체의 피부에 문자, 그림, 기호를 새기는 이 행위는 소위 완전한 소유에 대한 갈망이라 할 것이다. 권력에 도전하는 신체에 문자를 씀으로써 그 존재의 주체성을 무화시켜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하는 것, 그런데 디프로스는 여기에서 더 나아간다. 조슬린 경에 대한 그의 과잉 충성은 새겨 넣은 피부만을 원하는 것이며, 그래서 그녀를 살해하는 것이 최종 도착지가 된다. 도라는 자신이 책의 표지가 될 운명을 감지하지만 그 결과는 디포로스의 죽음, 다분히 상징적인 결말을 보여준다.

 

도라가 거둔 이 싸움에서의 승리에는 실비아(레이디 나이틀리)가 보낸 딘, 그리고 조슬린 경의 가장된 의료행위가 있다. 여기에는 쫓겨난 귀족 여성, 흑인 남성 이라는 약자들의 연대와 자신의 실존적 안위를 지켜내기 위해 친자를 외면해야 했던 귀족 남성의 이면에 놓인 진실이라는 배후가 있다. 작가의 용의주도한 서사는 이것으로 그치지 않는데, 도라와 실비아의 흐릿한 동거적 삶의 형상으로 굴종으로부터의 해방, 완전한 자유를 쟁취한 고고한 여성을 마침내 세워내는 것이다. 외설 서적 제본이라는 독특한 소재는 물론, 짧은 호흡으로 거침없이 질주하는 서사, 멜로 드라마적 사랑의 열기까지 더해 성()과 계급, 인종에 대한 인문학적 성취까지 이뤄낸 페미니즘 문학의 정수라 하여야 할 것이다. 어쩌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독자들의 반응이 깊어질 작품이라 해도 한 치의 과장도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