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도시 전주를 탐하다 - 전주화첩기행
정태균 지음 / 이화문화출판사 / 2015년 1월
평점 :

사진이 아니라, 오로지 그림이다. 천년고도(古都) 전주를, 후백제를 시작으로 고려를 거쳐 조선을 그리고 근대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주를 여행하기에 앞서 편하게 접할 수 있는 '그림책 기행'이 될 것이다. 일정한 틀이나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수묵화와 펜 일러스트로 펜과 먹물 오른 붓끝으로 화선지에 그리고 종이에 옮긴 그림들을 먼저 만난다.
'전주'라는 도시는 참으로 가 본 기억이 희미하다. 수 년 전에 길을 잘 못들어서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위해 잠깐 이용했던 전주라는 도시는 톨케이트부터 웅장함이 느껴졌었다. 색다른 톨케이트의 모습에 우와~ 탄성을 질렀던 기억이 난다. 너무나 짧은 찰나의 시간, 스치듯 지나가는 공간을 사진으로라도 담고자 부랴부랴 꺼냈으나 제대로 담기에는 너무나 멀리 지나와버렸던 그런 아쉬운 기억이 있던 도시다. 톨케이트마저 그러할진대 도시 내부는 어떠할지 감히 상상이 가지만 그 뒤로 전주에 대한 기억은 그것이 고작이었다.
그러고 보니 전주톨게이트 한글 현판을 효봉 여태명 선생이 썼다는 것을 이 책에서 알게 되었다. 포근함과 친근함을 느끼게 해주는 전주톨게이트는 두 개의 관문으로 있다고 있다. 전주통게이트가 어머니라면, 호남제일문은 아버지 같은 이미지로 비유될 것 같다고 한다. 더욱이 놀라운 것은 호남제일문은은 강암 송성룡 선생의 현판 글씨라 하는데 그 묵직함과 웅장함은 아직까지도 어렴풋한 기억으로 자리잡는다. 호남제일문은 사람들이 지나다닐 수 있게 육교로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한 번 걸어봐야겠다.
아는 만큼 더 보이고, 아는 만큼 더 잘 들린다. 는 전주의 역사를, 천 년 전 후백제 견훤의 수도엿고, 오백 년 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본향인 황의 도시 전주, 특히 역사를 품고 있는 문화재 탐방 여행을 더 관심있게 눈여겨보고 있는 입장에서 단순하게 역사 유적지나 안내하는 그런 안내서가 아니라 더 다행이다.
이 책은 전주에서 만난 사람들, 여행길에서 마주친 사람들의 기억이 이 책의 첫 머리다. 여행은 사람들과의 만남이라고 하던데, 그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그 여행지가 더 인상깊게 다가오기도 하고 때로는 실망으로, 때로는 밋밋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그들은 그 나라의 그 도시의 인상이 확정되기도 한다. 참으로 많은 사람들의 표정,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탐방하고 누리고 있는 모습들이다. 그리고 서서히 도시를 거닐기 시작한다. 국내 유일의 후백제 유적지 '동고산성'에서 전주천변과 한벽당을 거닐어 치명자산과 동고산성에 이르기까지 남부시장과 한옥마을 골목길을 누빈다. 전주천변을 거닐다가 강암 송성용선생이 살았던 고택 '아석재'도 만날 수 있다. 사진으로 봐도 환상적일듯 하다. 아석재를 드리우고 있는 물그림자. 그 광경을 수채화 속에서 만난다. 참으로 디테일하다. 이 책의 매력이 이 디테일함이었나보다. 기접놀이 기싸움 장면은 한번 실제로 만나고 싶다. 경기전 앞에서 재현되는 '기접놀이'는 수원화성행궁에서 만났던 것과는 또 다를듯하다. 아니 그보다 훨씬 그 이상으로 볼거리가 더 많을지도 모르겠다. 그림을 봐서는 그 기대감이 오히려 더 커질뿐이다. 그 상상력이 더 할뿐이다.
귀한 화첩으로 떠나는 전주기행에 감사함을 느끼며...
2015.3.29.소지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