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작해야 364일
황선미 지음, 김수정 그림 / 포북 차일드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을 더 많이 받고, 명절이면 만나는 할머니에게 더 많은 사랑을 받고 용돈도 더 많이 받는지 생각하면서 세상은 불공평하다고 생각했었다. 그때는 그랬었다. 나도 그리고 우리 모두가...

 

그렇게 나만 고작해야 364일 먼저 태어난 윤조라는 녀석에게서 헌옷을 물려받아서 입어야 했고, 모든게 윤조가 쓰던 나머지것들을 그저 받게 되었던 인생, 할머니에 대한 사랑은 너무나 확연하게 차이가 나게 윤조에게만 기울어졌다. 저울로 잴수 있다면, 저울로 재서 남들앞에서 보여주고 싶을정도다.

 

그렇게 윤조에게 모두 빼앗기고 산다고 생각하는 명조가 그려가는 세상이다. 이 책의 이야기는.

 

윤조에게 모든 것들을 빼앗기고 그 남은 부스러기들이나 자기 차지가 된다고 생각하는 명조, 그래서 더더욱 윤조가 싫고 밉다.  그랬기에 스스로를 윤조 자신은 무지무지 운 나쁜 애라고 생각하고, 공평하지 못한 세상이라고 생각한다. 누구나가 그랬겠지만.

 

그럭저럭 괜찮았다. 할머니가 명조네 집으로 오시기 전까지는...

먼저 태어나 새로 산 옷이며, 새로 산 신발, 새로 산 가방등을 차지하는 명조에게 항상 물려 받아 사는 명조네. 명조아빠는 큰 아들이 아니었다. 하지만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할머니 혼자 계시자 시골에 있는 땅을 모두 처분하고 큰아빠네 가셨지만 녹록치 않았다. 결국은 큰아버지랑 다투고 할머니가 제일 기특해하는 막내아들인 윤조아빠네로 오시게 되었다. 할머니는 오시자마자 윤조방에서 '우리윤조 우리윤조' 하면서 제일 아꼈다. 모든게 엉망진창으로 된 것은 내가 봐 뒀던 운동화를 할머니가 사오셨던 날부터이다. 그 캔버스 운동화를 신고 싶었던 사람은 윤조가 아니라 명조였고, 일주일 내내 엄마한테 그게 얼마나 신고 싶은지 설명한 사람도 명조였고, 엄마가 할머니한테 운동화 값을 드린 것도 분명히, 명조 때문이었을 거다. 하지만 찬물도 위아래가 있는 법이라면서 형제가 뭐든지 우애 좋게 나눠야 집안이 잘되는 거라고, 며칠 좀 신는다고 신발 바닥 안 닳는다고 그 캔버스 운동화는 윤조에게로 갔다. 그럼 윤조는 어떤가, 할머니와 명조가 어떤 것으로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는지 관심도 없고 오로지 레고 조립만 하는 애. 그래도 좋은 건 다 가질 수 있는 얄미운 복덩어리 그렇기에 더더욱 고분고분하게 형 소리를 할 수가 없다. 고작 364일 먼저 태어난 윤조, 레고에 빠져 있는 윤조의 뒤통수를 노려보고 주방으로 가는 할머니 등도 명조 눈알이 빠질 것처럼 아프다 못해 눈물이 나올 때까지 쏘아보고 끈으로 조여 신는 하늘색 컨버스 운동화에 발을 넣어보지만 그것으로 직성이 풀리지 않았다. 결국은 베란다로 그 하늘색 운동화를 들고가 결국은 사단이 나는데.... 운동화가 다시 윤조에게 돌아오기까지, 그 과정에서 윤조의 사춘기가 시작하였고, 명조는 윤조와 함께 형제애를 나눌 수 있는 일이 생겼으며, 고분고분 말 잘듣는 윤조가 반항하여 자기가 원하는 취미를 가지게 되기까지 명조가 드디어 윤조네 가족의 한 일원이 되기까지 가족이 어떻게 흩어지고, 어떻게 뭉치게 되는지 명조의 시각에서 아주 잘 그려져 있다. 명조가 눈여겨 두었던 하늘색 컨버스화를 분홍색 컨버스화와 함께 짝짝이로 개성있게, 당당하게 멋스럽게 신고 다녔던 알고보니 쌍둥이 장나리, 장하늘 이 두 쌍둥이를 통해서 작가는 개성있는, 당당한, 멋을 낼줄 아는 스치듯 횡단보도에서 지나쳤던 요 또래의 당당함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았던 그 모습을 담아내었다 한다.

 

아이로 살아가는 시간이 얼마나 귀한지 알기를 원하면서 말이다.

 

 

 

2015.3.10.소지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