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 입문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재현 옮김 / 살림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로이트, 융과 함께 아들러는 심리학의 3대 거장으로 일컬어진다. 그는 내과의사였지만 나중에는 결국 정신과의사로서 진료목적으로 의학을 사용하는 것을 즐겨했었다고 한다. 그는 그가 연구한 심리학을 책으로 내는 것보다는 대학에서 강의할 때, 연구모임에서 심리학을 열변을 토하며 토론할 때에 더 많이 사용했다. 그의 '미움받을 용기'에 대한 그의 심리학을 보자면 그는 용기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 한다. 모든 문제는 인간관계에서 온다고 하는데, 결국은 나 자신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의학적으로 심리학적으로 나 자신이 자신의 의도한 방향대로 이끌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흔히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신경을 쓰다가 그러다 보면 정작 내게 중요한 무언가를 위해 행동해야 할 때를 종종 놓치게 되어버리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어떠한 것을 하고 싶다거나 어떠한 일이 좋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러한 것에 있어서 판단을 해야 할 때가 있지만, 자꾸 머뭇거리게 되는 이유는 내가 이런 행동을 하게 되면, 다른 사람은 나를 어떻게 볼까, 그리고 나와 관계된 나의 부모님이나 나의 반려자 아니면 친구가 놀리거나 지인들이 어리석다고 비웃지는 않을까 하면서 꼬리에 꼬리를 무슨 생각으로 결국은 판단을 유보할 때가 참으로 많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나 또한 그랬으니까. 나처럼 다른 사람들도 다들 그렇게 살아왔고, 그리고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타인과 함께 살아가는 모습이라고 당연시 했었다. 하지만, 아들러는 말한다. 나를 지키고 나를 사랑하는, 내가 행복해지고 싶거든 당당히 타인의 눈에서 멀어지라고 한다. 타인의 눈에 내가 어떻게 비칠까, 그들의 마음까지 신경써야 하는 기존의 습성에서 과감히 벗어나라고 조언한다. 나를, 나의 행복을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배려, 즉 센스쟁이가 되는 것에서 멀어지라고 한다. 좋으면 좋다, 나쁘면 나쁘다. 하고 싶으면 하고 싶다, 하기 싫으면 하기 싫다. 자신의 의지를 분명하게 하고 남이 어떤 것을 바라는 것인지 미리 추측하고 그 사람의 마음에 들도록 하는 일에 멈추라고 한다. 내가 나의 마음을 나타내지 못하고 생각하고 있던 방향으로 타인이 배려해 주지 못한다고 해서 화가 나거나 멍청하다고 매도하는 일은 결국 나 자신에게 나의 감정에 있어서 솔직하지 못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타인의 기대에 얽매이지 않고 아이가 삶에 자기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키우는 데 있어서 아들러 심리학만큼 큰 도움이 되는 이론도 드물다. 이 책은 우리가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가?'라는 인류의 오랜 물음에 대해 아들러 심리학으로부터 들을 수 있는 대답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아이들을 키우고 교육시키는 데 매우 유익한 통찰을 주는 이 책은 자유롭고 행복해질 용기를 배우게 해준다.

 

아들러는 생전에 나치 수용소에 수감된 적은 없었지만, 아들어 학파 사람들의 대부준은 수용소로 보내졌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서는 아들러 심리학은 아우슈비츠에서 사라졌다고 말할 수도 있을것이다. 심리학자로 알려진 프로이트와 융과 함께 아들러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지 못한 이유라고 말하고 싶은 대목이기도 하다.

 

아들러의 심리학에서 눈에 띄는, 기억해야 할 부분은 인생의 과제에서 도망치고자 할 때, 흔히들 사용하고 있는 것들이, 그 핑계들이 '인생의 거짓말'이라는 것이다. 열등 콤플렉스, 강한 열등감이라고 사용하는, 예를 들어 어떤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이유가 카드놀이 때문이라고, 스카트폰 게임때문에 공부를 못한다고 말하는 것. 이런 것들은 아들러가 보기에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런 구실을 통해 타인뿐 아니라 자기 자신도 속이고 있다는 것, 그와 같은 구실을 '인생의 거짓말'이라고 불렀는데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들 속에서 우리는 이러한 '인생의 거짓말'을 어느만큼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기억하고 싶은 말은,

"당신에게 당부한다.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는 사람이 되지 말 것을."

 

아들러 심리학으로부터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고 관계 속에서 받은 상처를 치유하는 법,

칭찬과 비난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법,

그리고 삶에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

 

이러한 것들로 인해 현재에 아들러의 심리학은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2015.2.15. 소지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