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이 꼭 알아야 할 한국사 개념서 - 2009 개정 교육과정
박찬영 외 지음 / 리베르(학습)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역사! 한국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하더라도 사실 역사를 공부로 받아들이게 되면 어렵다. 하지만 할머니가 옛날 이야기 해주듯이 자연스럽게 적혀져 있는 글들을 읽어가노라면 마치 색다른 역사소설책을 읽는듯하다.

 

 

 

 

 

 

 

 

 

 

요즘은 한국사를 학교 교과공부로 하는 이들도 많이 있지만, 한국사시험에 준비하기 위해, 때로는 여러가지 시험을 위해 접하기도 한다는 것을 안다. 그들 모두는 보다 좋은 점수를 얻기위해 책의 내용과 함께 구성을 볼 것이다. 한국사시험을 준비하고 있기에 다른 한국사시험에 준비할 수 있는 책자들과도 비교를 하면서 읽어보게 되었다. 우선은 내가 배웠던, 또는 잊어버렸던 그 한국사들이 어떻게 눈에 쏙쏙 들어오게 알기쉽게 설명이 되어 하나의 책으로 잘 편집되어 있는지를 보게 되었으며 그것과 함께 내용의 구성면에서도 집중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꼼꼼하게 살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우선은 두 가지에 높은 점수를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다.

 

 

 

 

"어디 한 번 내가 알고 있던 역사속의 내용들이 얼마나 많이 나오나 살펴보자.." 라며 색안경을 살짜기 눈 언저리에 올려놓고 바라보는 리베로의 한국사 개념서는 설명서대로 책 속의 내용대로 글자를 따라 읽어가노라니 내가 알았던 아니면 내가 모르고 있는 역사 속 사실일지라도 전혀 부끄러움이나 그런 것을 느끼지 못하고 술술 읽어내려가게 만드는 마법이 있었다.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삼국시대를 보자면, 압록강 유역의 졸본 지방에 고구려를 건국하였던 동명왕, 그리고 한 군현을 공략하여 요동 지방으로 진출하였고, 옥저를 복속함으로써 군사력과 경제력을 키웠고, 이로써 황권이 크게 강화되어 계루부 고씨가 왕위를 독점적으로 세습하게 되었던 태조왕시대를 거쳐 왕위 계승이 형제 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바뀌었고, 부족적인 전통을 니녀 온 5부가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되었던 시기는 고국천왕때였다는 것을 빨간밑줄을 그어서 중요함을 나타내주고 있음을 보고 한 번 더 읽게 되는 효과까지 노렸으니 이렇게 책을 읽어가듯 역사속에 빠져들게 되면서 조금은 가벼운 한국사 공부를 하게 된다.

 

 

 

 

내신과 수능 기출 문제로 본 출제 POINT, 그리고 읽었던, 배웠던 내용을 다시 잡아주는 개념문제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담아두는 일에 자신감을 가지게 한다.

 

 

 

두껍지만, 두껍지 않은 책. 역사 속에 빠졌다가 다시 나오기를 반복하다보면 비로소 이 책이 주는 매력이 어떤것인지를 어렴풋이 깨닫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