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 쉼 없는 분주함 속에 미처 깨닫지 못했던 소중한 것들
수영.전성민 지음 / 루이앤휴잇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 선생님이 두 명의 학생에게 똑같은 모양의 통나무와 칼을 나눠준 후 작품을 만들게 했다고 한다. 얼마 후 한 학생은 멋진 배를 완성했지만, 다른 학생은 깎다만 나무조각만 수북이 쌓아 놓았다.

 

 

책의 본문에 나온 이야기다. 왜 그런 결과를 낳았는지에 대해 '생각의 차이'때문이라고 하지만, 어떤 과제에 대한 삶의 목표, 방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루 24시간이 부족해 48시간이었으면 좋겠다며 생활하게 된 지도 수 년이 지났을 정도로 도대체 무엇을 해가는지, 무엇때문에 살아가고 있는지도 이젠 생각도 못할 정도로 바쁘게 바쁘게 열심히 달려가고만 있다. 때로는 시골의 여유로움이 부러울 때도 있고 그들은 삶의 목표와 방향이 정해져서 느긋하게 무던하게 살아가고 있는것마냥 보일 때도 있었다. 하지만 사람 사는 것이 모두가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지 않았던가. 여튼 도시에서의 생활은 항상 무언가에 쫓기듯 그렇게 정신없이 살아가고 있으며, 또한 그렇게 살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에게 쳐지는 것 같아서 안절부절하게 된다는 것이 현실이다. 도대체 내가 꿈꾸는 삶의 종착지는 무엇인지, 내가 원하는 삶의 모습은 어떠한 모습일지에 대해 깊이있게 생각해본적도 너무나 오래되었다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나만이 그렇게 살고 있는게 아니라고, 다른 많은 사람들도 그렇게 정신없이 앞만 보고 달리고 있지 않느냐고 스스로 위로를 해보지만, 그래도 그것으로 삶에 대한 물음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었다.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꿈은 하나의 에너지와도 같다. 살아가는 동안 꼭 이루고 싶은 꿈을 적어보는 것만으로도 삶을 추스르고 다시 전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비행기가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은 채 이륙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소동이 있었다. 출발 전 반드시 정비를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누구도 정비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다. 중간 중간 정비를 해야 한다. 건강검진을 통해 몸을 체크하듯 연약해진 것은 없는지, 부족한 것은 없는지, 살면서 받은 스트레스와 분주함으로 마음이 강퍅해지지는 않았는지, 사랑이 메마르지는 않았는지, 혹은 고장난 부분이 있지는 않는지를 점검해보고 바로 잡아야지만 그래야지만 자신이 원하는 삶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여러 유명인사들의 삶과 그들이 남겼던 삶의 교훈들을 만나면서 지쳐있는, 때로는 열심히 앞만 보고 달리고 있는 이들에게 자신이 나아가고 있는 삶의 화살표에 대해 다시금 정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이 바른길로 가고 있는지, 그리고 달리다가 지치지 않을 자신감을 얻기 위해 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시간이 될듯하다.

 

 

 

 

 

2013.6.9. 소지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