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문장론 -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하여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홍성광 옮김 / 연암서가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우선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의 글을 많이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창조도 모방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듯이
말이다.
글에도 그러한 보이지 않는 진리가 있을것이라 생각했으며, 훌륭한 작가들의 책에는 먼저 눈을 돌려 책을 읽어보는 일에 게으르지 않도록
하였다.
많은 것을 돌아보고 관찰하고 그 것들을 글로 나타내는 일은 다소 어려울 수 있겠으나, 그러한 행위를 즐거움으로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나도 그렇게 즐거움으로 느끼던 사람중에 하나다. 하여 소소한 일상을 글로 담아내는 행복함을 느끼기도 하였었다. 그러다가 조금씩 글쓰는
재미에 붙이고 어떻게 써야 글을 읽기에 편하고 잘 썼다고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게 되었다. 그렇게 되면서 글쓰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님을 실감하게
되었으며, 글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기 시작했다. 역대 유명한 작가들의 책을 많이 읽어볼 수록 내가 글을 쓰기에도 더 수월해질
것이라 생각했으며, 유명한 작가들의 글을 읽으면서 나름의 자신감을 채워가기도 하였다. 글을 잘 쓰고 싶어서
글을 잘 쓰는 인기있는, 유명한 베스트셀러 작가들의 책을 모방하고 따라쟁이처럼 그러한 글들을 쓰면 되는 줄 알았다. 그렇게 하면 나도 글을
잘 쓰는 사람이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문장론에서 발견한 것은 내가 스스로, 아니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러한 따라쟁이나 모방이 아니었다. 오히려
무턱대고 책을 많이 읽는 것에 반대한다. 그러다가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잃어버릴 염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니체의 말에 의하면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사고를 더 잘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 말은 전달할 가치가 더욱 큰 것을 생각해내고, 그것을 실제로
전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위대한 문체란 아름다운 것이 괴물에 승리를 거둘 때 생겨나며, 좋은 문체란 좋은 인간에서 나온다고 말한다.
문체란 "정신의 관상"이라는 쇼펜하우어의 말과 같은 취지의 표현이다. <본문 12페이지>
독서란 자기 머리로 생각하는 대신 다른 사람의 머리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고 했다. 인간은 남이 밟아서 다져진 길에 익숙하다. 그런 길을
걸으면 다른 사람의 사고 과정을 따름으로써 자신의 사고과정이 생소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독서할 때보다 현실 세계를 바라볼 때 독자적 사고를 할
계기와 기분이 훨씬 빈번히 일어나기에 책을 읽느라 현실 세계의 모습을 완전히 외면하지 않도록 해야 함을 알려준다. 또한 김훈님의 '밥벌이의
지겨움'이 생각나기도 하는 글쓰기가 밥벌이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에서도 외면할 수 없듯이 글쓰기가 소득을 얻기 위해 글을 쓰는 저술가는 마치
돈에 어떤 저주라도 붙어 있는 것처럼 곧 타락하고 말것이라고 경고한다. 위대한 인물의 가장 뛰어난 작품은 모두 아직 돈을 받지 않거나 또는 극히
적은 원고료를 받고 글을 써야 했을 때 나왔다고 한다.
거창하게 쓰는것보다 소박하게 쓰는것이 왜 중요하다고 생각할까? 소박하게 쓰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색과 독창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는
니체와 마찬가지로 쇼펜하우어도 간결함과 단순함을 높게 평가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소소한 일상을 글로 나타내고자 함에 있어서 조금의 욕심을 보태 삶을 나타내고자함에 있어서 올바른 기준점 하나를 만날 수 있었다.
2013.5.19. 소지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