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보 미안해
채복기 지음 / 문이당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모든것의 시작이요, 모든것의 완성이기도 한 '가족'은 아무리 강조해도 그 소중함이 과하지 않을것이다.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그리고 이젠 한부모가정도 너무나도 많아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가족이란 개념이 차츰, 아니 너무나도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가족'이란 말 한 마디에 모든 것을 잃어버려도 다시금 일어날 용기와 힘이 생기게 되는 것이 가족이었다. 그러한 가족이 있기에 우리는 살아갈 힘을 '가족'이라는 옹달샘에서 얻어가고 있었던 것인지도 모를일이었다. 저자는 가족은 '내 안의 나'다고 굳이 표현하고 싶다했다. 가족은 서로 반쪽이 되어 나머지 나의 반쪽을 채워주어야 하는 존재일것이다. 그리하여 가족은 곧 '나'가 되는 것이기도...
핵가족화, 그리고 한부모가정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현실을 보자면, 가정의 중심은 아버지라는 말이 상당한 어패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굳이 가정의 중심은 아버지라는 말에 반대하지 않는 이유는 나 또한 그 말에 동의하기때문이다. 가족구성원을 보자면,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누나,형,동생들 중에서 그들은 그들 각자의 자리에서 그들의 역활이 인식되어 왔던것이 사실이다. 아버지의 역활 어머니의 역활은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한 그러한 역활의 모양새가 아닌, 마음의 정신적인 모양의 형태라고 생각한다. 그러하기에 아버지가 가정의 중심이라는 결론을 항상 내었을것이다.
유감이다.
아무리 소설이라지만, 너무나도 비극적인 결말에 대한 개인적인 유감이라는 말이다.
아무리 가정이 해체되어가고 있는 현실이라 하더라도 아직까지도 건강한 가족들, 예로부터 내려오던 모양의 건강한 가족들이 아직도 많다. 가족의 소중함을, 가족 소설의 통속성을 새롭고 역동적인 소재로 바꾼 뛰어난 상상력이 너무나 아프게 다가온다.
작은 말다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일로 인해 아빠가 집을 나간 지 5일째가 되었다는 것으로 소설은 시작한다. 다희의 눈에서 흘러내리는 눈물의 의미는 앞으로의 기막힌 슬픔을 예고한 것이었을까. 아빠의 가출로 인해 다시금 아빠의 자리를 되돌아보고 아빠가 돌아오기만을 고대하며 모든 행동으로 옮기게 되는 가족들. 그리고 아빠의 빈자리를 바라보며 아빠가 그동안 어느만큼 큰 존재로 자리잡고 있었는지를 과거를 통해 다시금 되새기게 되는 일들. 그리고 숨도 쉴 수 없이 급박하게 추락하는, 끝도 없이 추락해버리는 아버지. 어쩌면 아이들이 아버지의 자리를 뒤돌아보면서 후회하는 것보다, 다희와 다영이의 엄마인 민지의 가슴이 더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음은 남편 현서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이 너무나도 컸기때문일것이다.
끝도 없이 추락해가는 아버지 현서에게 도르래라도 있지 않은것인지 찾아보게 된다. 아무리 사회가 변하고 가정이 변했다하더라도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그것에 대한 큰 소중함이 단순한 먹먹함으로 다가오는것이라고 말할 수 없음은 이 책을 읽고 한참동안 주체를 알 수 없는 흐느낌에서 먹먹함으로 그리고 뿌연시야속에서 들어오는 내 앞의 첫 모습에 그저 감사해서 안아주고 고마워. 미안해를 연발하던 그 모습을 뒤돌아보면서 소설속에서의 민지네에서 하루 빨리 도망치고 싶은 갈망은 앞으로의 가족에 대한 더 구체적인 노력에 대한 밑그림이 다시금 그려지고 있다는것을 알리고 싶은 마음이었을것이라고 위로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