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구려 1 - 미천왕, 도망자 을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불과 몇달 전에 백제의 '근초고왕'을 통해서 고국원왕을 만났고, 고국원왕의 선왕이었던 '미천왕'의 이야기를 김진명의 '고구려'에서 만난다. 어린시절 역적으로 몰려 소금장수며, 심지어 머슴살이까지도 하며 숨어 살았던 그였지만, 그의 고구려를 사랑하고 다시금 주변국들보다도 훌륭하게 세워보리라는 그 마음은 간절했었으며, 그와 함께 종조부의 사람이었던 '창조리'와 함께 새로운 고구려를 세우고 있는 과정이 웅장하고, 때로는 심박동을 체크해야할 만큼 흥미진진하면서 각 등장인물들의 무게감도 깊이 느낄 수 있는 탄탄한 스토리가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하게 만든다.
중국의 '동북공정' 즉, 지금의 현 영토안에 있었던 모든 역사들을 자신의 역사로 흡입하기 위한 과정들을 알게 되면서 우리는 얼마나 분노했었던가? 일본이 한반도를 침입하고, 일제 강점기까지도 거쳤던 우리 나라 사람들로서는 사실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부르며 자기땅이라 억지를 부리는 일본에 대한 반일감정이 더 강했었다. 하지만 동북공정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일본만을 의식하며 주변의 나라에 대해 너무 무관심하지 않았었나 자학하게 될 정도였으니. 과연 우리의 고조선, 우리의 고구려, 우리의 발해의 용맹함은 우리 민족의 뿌리깊은 자긍심이었으며, 그 이름만 들어도 흥분이 되었었지 않았었나를 기억하게 됨이니, 그러한 우리의 자랑이었던 우리의 역사를 감히 중국이 한시하고 멸시하던 변방들의 역사까지도 가져가며, 무시하던 그들에게 선심쓰는양 자신들의 국민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이 가식적이지만, 그러한 모습을 바라보는 우리들은, 치를 떨며 그들의 간악함에 제대로 직시해야 했다.
'고구려 재단'을 이어 '동북아 역사재단'이라는 이름으로 우리의 역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역사를 알기 이전부터 삼국지며 초한지를 필독서로 여기는 우리들에게 고구려! 우리나라의 용맹했던 그 역사를 잊지 말라한다.
을불,달가,창조리,돌고,양운거,아영,모용외,여노 이 모두가 을불과 더불어 용맹함과 지혜로움이 감히 시대를 호령할 만큼의 깊이와 넓이가 있었으니 그들과 함께 엮어지는 역사와 픽션의 경계가 모호하더라도 흥미진진함과 더불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이어 17년간의 자료조사를 통해 10월 3일을 택해서 '고구려'라는 글을 쓰기 시작한 저자의 그 깊은 뜻과 맞물려 그 시대의 역사를 이렇게라도 자랑스러움으로 만날 수 있으니 다행이다.
을불을 만나러 떠나는 양운거와 소청은 과연 어느때쯤이나 만날 수 있을까...
2편이 기대된다.